목차
제 1 절 독점적 경쟁과 국제무역
1. 폐쇄경제에서의 독점적 경쟁시장 모형
2. 성장, 무역 및 요소의 이동 효과
제 2 절 불완전경쟁과 국제무역
1. 불완전경쟁과 국제무역
2. 불완전 경쟁하의 가격책정
1. 폐쇄경제에서의 독점적 경쟁시장 모형
2. 성장, 무역 및 요소의 이동 효과
제 2 절 불완전경쟁과 국제무역
1. 불완전경쟁과 국제무역
2. 불완전 경쟁하의 가격책정
본문내용
한다. 여기서는 불완전경쟁하의 무역을 설명하는 모형의 하나로 제품다양성(product differentiation)을 수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선행문제를 다룬 Dixit and Stiglitz(1977)의 모형을 소개하기로 한다.
) Dixit, Avinash K. and Stiglitz, Joseph E. 1977, Monopolistic competion and optimum product diversity, American Economic Review, 67, 297-308.
소비자의 선택대상인 상품중에는 같은 제품에 속하는 n가지 다양한 종류가 있고 그 가격은
p sub j
, (j=1, ... ,n)라고 하자. 소비자는 두 단계를 거쳐 소비상품묶음을 선택하는 선호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첫째 단계로서, 소비자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지출 총액을 결정하고, 둘째 단계로서는 이 총액을 다양한 종류에 배분한다는 것이다. 이 차별화된 상품(differentiated product)의 모든 종류에 대한 소비자의 효용은 다음과 같은 하위 효용함수(sub-utility function)에 의해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X ~=~ [{sum from j=1 to n x sub j} sup {{epsilon-1} over {epsilon}} ] sup {{epsilon} over {epsilon-1}}
----- (10-16)
단, 여기서
epsilon
>1는 수요의 개별 종류의 가격에 대한 탄력성이다.
) 만약 위 식 (25-16)에서 모든 종류가 같은 수량으로 생산된다면, 그 식은
X= xn sup epsilon/(epsilon-1)
와 같이 나타날 것이고, X는 x에 대해서는 CRS 그리고 n에 대해서는 IRS를 나타낸다. 왜냐하면 ε>1 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그 재화의 모든 종류에 대한 지출은 개별 종류들의 가격지수
P=P(p sub 1 , ~...~, p sub n )
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탄력성은 일정 상수가 된다. 그리고 그 가격지수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은
mu
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값은
epsilon
보다 적게 나타날 것이다. 어떤 한 종류에 대한 수요
x sub j
는 그 종류의 가격에 대해서 그리고 그 종류 가격과 가격지수의 상대가격에 대해서 각각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일정한 상수이다.
x sub j ~=~ a ( p sub j / P ) sup {epsilonp sup-m -mu}
----- (10-17)
이제 각각의 종류가 개별 기업에 의해 생산된다고 가정하고
x sub j
라는 종류를 생산하는 기업은 다른 기업의 매출량이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자신의 매출량을 결정한다는 Counot적 기업행태를 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자. 그러면 기업 j의 한계수입(mr)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mr sub j = p(1-e sub j )
----- (10-18-1)
단, 위에서
1 over e sub j ~=~ s sub j 1 over mu + (1- s sub j ) 1 over epsilon
----- (10-18-2)
위에서
s sub j
는 기업의 (한 상품의) 모든 각각의 종류에 대한 시장 점유율이며
e sub j
는 j종류에 대한 예상수요의 가격탄력성이다. 위 식 (10-18'')에서 기업이 그 재화에 대해 시장 점유율이 크면 클수록 개별 종류 대한 예상수요(perceived demand)의 탄력성은 총탄력성
mu
에 근접할 것이며, 시장 점유율이 적을수록 총 탄력성과 개별 종류의 예상수요는 별개가 될 것이다. 위에서 식 (10-18'')는 Cournot의 가정으로부터 도출한 것이지만 Chamberlin의 (각 기업은 자신의 결정이 시장 전체에 미칠 영향을 무시하고 자신의 결정을 내린다는) '불완전경쟁시장 가정'에 입각하는 경우 위 식 (10-18'')에서
s sub j
의 값은 0으로 놓으면 될 것이다. 즉, Chamberlin의 불완전경쟁의 경우 개별 종류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모두 공통의 값
epsilon
이 될 것이다. 만약 모든 종류들간에 완전 대체성이 존재한다면(즉 모든 종류가 동질적인 것이라면) 이 시장에서 각 종류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수요의 탄력성
epsilon
의 값은 무한대가 될 것이며
1/e sub j = s sub j / mu
가 될 것이다. Chamberlin의 불완전경쟁과 종류들간의 완전 대체성을 가정한다면 각 종류에 대한 예상수요의 탄력성은 무한대도 무한대가 되어
1/e sub j =0
이며 완전경쟁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이윤을 극대화하는 기업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을 일치시킬 것이므로,
mc sub j ~=~ p sub j ( 1- 1/e sub j )
----- (10-19)
가 될 것이다. 만약 시장내에 기업의 수(즉 종류의 수)가 고정되어 있다면 이 경우 기업은 정의 이윤(non-zero)을 누릴 것이다. 혹은 진입 전출이 용이한 경우 기업의 수(n)는 아래의 0이윤 균형 조건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ac sub j ~=~ p sub j
----- (10-20)
위에서 식 (10-19)와 식 (10-20)이 성립되는 독점적 경쟁균형에서는 평균비용은 한계비용을 초과하게 될 것이므로 내부적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게 되어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게 되면 평균비용이 체감하게 된다. (고정비용과 일정 한계비용을 가진 총 비용함수, C = a + b Q는 평균비용이 체감하는 내부적 규모의 경제를 보일 것이다.) 위에서 보인 모형에서 Cournot적 행태모형은 Bertrand적 행태모형으로 대체해 볼 수도 있을 것이며, 모든 종류가 다 소비자의 효용함수에 변수로 들어가는 위의 Dixit and Stiglitz모형과는 달리 소비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종류를 선택하는 모형으로 변형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상품의 생산도 다양한 중간재로부터 생산되는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생산함수는 주어진 개수의 중간재 투입에 대해서는 CRS이나 중간재의 수에 대해서는 IRS가 되는 경우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Ethier, 1982
) Dixit, Avinash K. and Stiglitz, Joseph E. 1977, Monopolistic competion and optimum product diversity, American Economic Review, 67, 297-308.
소비자의 선택대상인 상품중에는 같은 제품에 속하는 n가지 다양한 종류가 있고 그 가격은
p sub j
, (j=1, ... ,n)라고 하자. 소비자는 두 단계를 거쳐 소비상품묶음을 선택하는 선호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첫째 단계로서, 소비자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지출 총액을 결정하고, 둘째 단계로서는 이 총액을 다양한 종류에 배분한다는 것이다. 이 차별화된 상품(differentiated product)의 모든 종류에 대한 소비자의 효용은 다음과 같은 하위 효용함수(sub-utility function)에 의해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X ~=~ [{sum from j=1 to n x sub j} sup {{epsilon-1} over {epsilon}} ] sup {{epsilon} over {epsilon-1}}
----- (10-16)
단, 여기서
epsilon
>1는 수요의 개별 종류의 가격에 대한 탄력성이다.
) 만약 위 식 (25-16)에서 모든 종류가 같은 수량으로 생산된다면, 그 식은
X= xn sup epsilon/(epsilon-1)
와 같이 나타날 것이고, X는 x에 대해서는 CRS 그리고 n에 대해서는 IRS를 나타낸다. 왜냐하면 ε>1 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그 재화의 모든 종류에 대한 지출은 개별 종류들의 가격지수
P=P(p sub 1 , ~...~, p sub n )
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탄력성은 일정 상수가 된다. 그리고 그 가격지수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은
mu
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값은
epsilon
보다 적게 나타날 것이다. 어떤 한 종류에 대한 수요
x sub j
는 그 종류의 가격에 대해서 그리고 그 종류 가격과 가격지수의 상대가격에 대해서 각각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일정한 상수이다.
x sub j ~=~ a ( p sub j / P ) sup {epsilonp sup-m -mu}
----- (10-17)
이제 각각의 종류가 개별 기업에 의해 생산된다고 가정하고
x sub j
라는 종류를 생산하는 기업은 다른 기업의 매출량이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자신의 매출량을 결정한다는 Counot적 기업행태를 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자. 그러면 기업 j의 한계수입(mr)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mr sub j = p(1-e sub j )
----- (10-18-1)
단, 위에서
1 over e sub j ~=~ s sub j 1 over mu + (1- s sub j ) 1 over epsilon
----- (10-18-2)
위에서
s sub j
는 기업의 (한 상품의) 모든 각각의 종류에 대한 시장 점유율이며
e sub j
는 j종류에 대한 예상수요의 가격탄력성이다. 위 식 (10-18'')에서 기업이 그 재화에 대해 시장 점유율이 크면 클수록 개별 종류 대한 예상수요(perceived demand)의 탄력성은 총탄력성
mu
에 근접할 것이며, 시장 점유율이 적을수록 총 탄력성과 개별 종류의 예상수요는 별개가 될 것이다. 위에서 식 (10-18'')는 Cournot의 가정으로부터 도출한 것이지만 Chamberlin의 (각 기업은 자신의 결정이 시장 전체에 미칠 영향을 무시하고 자신의 결정을 내린다는) '불완전경쟁시장 가정'에 입각하는 경우 위 식 (10-18'')에서
s sub j
의 값은 0으로 놓으면 될 것이다. 즉, Chamberlin의 불완전경쟁의 경우 개별 종류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모두 공통의 값
epsilon
이 될 것이다. 만약 모든 종류들간에 완전 대체성이 존재한다면(즉 모든 종류가 동질적인 것이라면) 이 시장에서 각 종류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수요의 탄력성
epsilon
의 값은 무한대가 될 것이며
1/e sub j = s sub j / mu
가 될 것이다. Chamberlin의 불완전경쟁과 종류들간의 완전 대체성을 가정한다면 각 종류에 대한 예상수요의 탄력성은 무한대도 무한대가 되어
1/e sub j =0
이며 완전경쟁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이윤을 극대화하는 기업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을 일치시킬 것이므로,
mc sub j ~=~ p sub j ( 1- 1/e sub j )
----- (10-19)
가 될 것이다. 만약 시장내에 기업의 수(즉 종류의 수)가 고정되어 있다면 이 경우 기업은 정의 이윤(non-zero)을 누릴 것이다. 혹은 진입 전출이 용이한 경우 기업의 수(n)는 아래의 0이윤 균형 조건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ac sub j ~=~ p sub j
----- (10-20)
위에서 식 (10-19)와 식 (10-20)이 성립되는 독점적 경쟁균형에서는 평균비용은 한계비용을 초과하게 될 것이므로 내부적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게 되어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게 되면 평균비용이 체감하게 된다. (고정비용과 일정 한계비용을 가진 총 비용함수, C = a + b Q는 평균비용이 체감하는 내부적 규모의 경제를 보일 것이다.) 위에서 보인 모형에서 Cournot적 행태모형은 Bertrand적 행태모형으로 대체해 볼 수도 있을 것이며, 모든 종류가 다 소비자의 효용함수에 변수로 들어가는 위의 Dixit and Stiglitz모형과는 달리 소비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종류를 선택하는 모형으로 변형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상품의 생산도 다양한 중간재로부터 생산되는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생산함수는 주어진 개수의 중간재 투입에 대해서는 CRS이나 중간재의 수에 대해서는 IRS가 되는 경우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Ethier, 1982
추천자료
한국과 중국의 교역 경쟁분야연구 (중국경제 한국경제 국제무역 무역통상
(산업발전, 국가경쟁력) 21C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 제시 (무역측면, 산업측면, 에너...
[마르크스주의][막스주의][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심층 고찰(역사 유물론, 노동 가치 이론, ...
무역자동화KTNET - 전자무역, 21세기 수출경쟁력의 원천
전자무역 서비스 경쟁력이 돈이다.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읽고나서 - 자유무역과 공정경쟁의 허상에 관하여
장애인 차별에 관한 일반이론과 경쟁시장과 사회적 환경에서의 차별이론
교육의 확대와 학력 상승 원인, 학력상승 이론 - 기술기능이론, 마르크스 이론, 지위경쟁이론...
[A+] [개방경제의이해] 국제무역론 강의노트 기회비용 비교우위론 비교우위를 결정짓는 요소 ...
[스포츠경쟁불안] 스포츠 경쟁불안에 대한 이론적 모형, 스포츠경쟁불안과 행동 및 수행
사회학적 관점에 따른 여러 교육학적 이론 (발전교육론, 인간자본론, 비판이론, 계층경쟁론, ...
교육사회학_해석학적 접근은 행위자 중심의 미시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기능론과 갈등론이 설...
초 경쟁적 환경에서 기업의 생존방법 (조직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