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읽고나서 - 자유무역과 공정경쟁의 허상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읽고나서 - 자유무역과 공정경쟁의 허상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읽고나서 - 자유무역과 공정경쟁의 허상에 관하여

선한것과 그렇지 않은것의 기준

자유무역은 옳은것인가

정말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누구인가

신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사마리아인들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의 책은 현실적인 시각과 모든 대중이 가지고 있는 위협들 안에서 대중들에게 필요한 해법을 제시해주었기 때문이다. 경제학 서적으로는 이례적으로 많은 판매부수를 기록한 힘은 바로 거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나쁜 사마리아인들의 인기요소를 가리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불안감, 성장위주의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불황과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 사태는 대중들에게 경제라는 녀석의 존재를 각인시켰을 것이다.
그것이 불안이건 위기이건 이 책은 바로 그 시점에 등장했다. 거기에 미네르바로 불리는 다음 경방고수의 등장은 사람들로 하여금,경제를 공부해야 한다는 일종의 위기감과 당위성을 심어주었을 것이고,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책의 후면에 노엄촘스키가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장 현실적인 정치를 논하고 있기에 대중들의 마음에 딱!! 부합하는 측면이 있었을 것이다.이 책은 그런 측면이 있다. 물론 이 책 자체가 잘 쓰여지기도 했지만 수없이 많은 잘쓰인 경제서적에 비해서 결코 발군의 양서라고 보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는 만큼 이 책의 인기에는 바로 그런 시대적 흐름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시간이 지나서, 여전히 몇몇 경제학 서적이 출간되더라도 찬밥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예컨대 신자유주의 붕괴에 대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는 칼 폴라니의 저서가 완역되어 출간되었지만 대중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다. 책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장하준의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굳이 시대적 흐름의 측면에서 새겨보지 않아도 잘 쓰인 책은 분명하다. 물론 몇몇의 온라인 서평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매끄럽지 못한 번역의 문제는 있겠으나 학술서적의 수많은 오역에 비하면 봐줄만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책은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옹호하는 혹은 이를 다른 국가들에게 강요하는 선진국의 논리에 대해서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그것도 이전에 선진국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그 대열에 올랐는지를 탐구하면서 말이다. 더욱이 불행히도 신자유주의의 망령에 가장 심도되어 있는 대한민국 경제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함으로서 우리 경제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주기에 볼만하다. 책의 곳곳에서 만나는 한국경제는 놀라움과 뿌듯함 그리고 부끄러움으로 점철되어 있으니 객관적으로 우리 경제를 보고자하는 이들에게는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내가 이 책을 보면서 좋았던 것은 이 책이 경제학 서적이기 때문이다. 나는 모든 기초학문을 좋아하고 기초학문이 가지고 있는 매의 눈을 사랑한다. 세상을 관조하고 세상을 읽어내는 눈은 응용학문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기초학문들이 가지고 있다. 철학이나 역사학, 경제학과 같은 학문들이 가지고 있는 힘이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오늘날 대중에게 이러한 기초학문은 기피의 대상이 되어버린 듯 하다. 아주 불행히도 말이다. 이 책은 이러한 기초학문이 왜 필요한지, 우리가 경영이 아닌 경제학을 왜 공부해야 하는지를 그래서 온몸으로 말하고 있다.
세계의 경제를 보는 눈, 우리의 경제를 보는 눈을 기를 수 있으며 신자유주의 경제관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제테크만을 한다고 부동산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다고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이것이 경제학의 힘이 아닐까 하는 부분이다. 세상을 보는 눈, 경제를 보는 눈을 기르는 것 말이다. 아쉽게도 우리에게 이런 경제학 서적이 부족하기는 하다. 경제학 서적이 잘 안 읽히는 것은 대중이 관심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좋은 경제학 책의 부제 때문은 아닐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