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예방과 관련한 교사의 역할-후유증 관찰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작하며
2. 아동 학대로 나타나는 후유증 관찰에 따른 대응 전략

가. 신체적 학대의 경우
나. 정신적으로 학대를 받은 아동
다. 성 학대를 받은 아동
라. 방임 아동

3. 마치며

본문내용

고 있는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 따라서 아동 학대를 발견, 개입, 예방하는 것은 큰 과제이다.
아동 학대는 교사와 일선공무원의 신고로만 끝나지 않는다. 의사, 사회복지가, 전문상담가, 법률가, 일선경찰과 함께 팀으로 아동을 위하여 개입해야 한다. 각 지방 자치단체 단위로 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기관, 경찰서, 법원, 학교, 사회복지관, 아동과 청소년복지기관, 종교단체, 언론, 대학관련학과(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아동복지학 등), 의사회, 변호사회가 함께 지도적 사회 연결망을 구축하고 예방과 치료에 대한 총체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러한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우리 교사는 아동 학대 예방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이면서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본다.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4.09.1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