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군 장갑차사건으로 인한, 대선에서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보도 기사들의 상대성 ○
○사건발생 직후 각 언론사의 보도태세의 상대성○
○촛불 시위에 대한 각 신문사의 관점의 차이○
○월트컵 전후로의 언론보도 태세○
○사건발생 직후 각 언론사의 보도태세의 상대성○
○촛불 시위에 대한 각 신문사의 관점의 차이○
○월트컵 전후로의 언론보도 태세○
본문내용
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이와 관련, 7월 12일자에 각각 '미군, 재판권 현명한 판단을', '한미 재판권 다툼 원만하게 풀길'을 실어 '뜨거운 감자'인 SOFA 개정문제를 건드리지 않고 원만히 해결되기를 강조했다. 반면 한겨레는 이와 관련, '여중생 압사 한국이 수사해야'(한겨레 7월 5일)를 통해 한국이 재판해야 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 동아와 중앙은 또한 이번 사고와 관련, '미군 여중생 사고 합리적 해결을'(6월 29일) 중앙은 '미군 장갑차 사고 이성적 해결을'(7월 5일)이라는 사설을 각각 실어 '합리적' '이성적' 해결을 강조하기도 했다. 비록 한겨레의 경우 사설을 통해 SOFA 문제를 언급하긴 했지만 기사를 통한 본격적인 재판관할권과 관련된 SOFA 개정문제에 접근하지는 않았다. 다만 경향의 경우 7월 10일 외국어대 이장희 교수의 기고 'SOFA 재개정해야 한다'를 실어 SOFA 개정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주장했다.
한겨레를 제외한 신문들은 일련의 보도를 통해 이번 사고가 미군측의 주장대로 '우발적' 사고인지, 유족측의 주장대로 '고의적' 사고인지 진상을 밝히는 데 충실하지 않았다. 미군측은 애초에 우발적 사고라고 주장하다가 사고 발생 3주만에 "운전병이 교신하느라 경고를 못 들었다"고 잘못을 인정했다가 나중에 "공무중 범죄의 재판권은 미국에 있다"며 SOFA의 재판관할권 조항을 '전가의 보도'처럼 들고 나왔다.
<표> 미군 궤도차 여중생 사망 사고 언론보도 건수
<월드컵 기간(6월 14∼30일)>
【구분】 【경향】【동아】【조선】【중앙】【한겨레】
【사설】 【 1】 【 1】 【 0】 【 0】 【 2】
【기사】 【 4】 【 3】 【 3】 【 3】 【 6】
【사진】 【 0】 【 1】 【 0】 【 0】 【 0】
【칼럼 등】【 0】 【 0】 【 0】 【 0】 【 1】
【계】 【 5】 【 5】 【 3】 【 3】 【 9】
<월드컵 이후(7월 1일∼15일)>
【구분】 【경향】【동아】【조선】【중앙】【한겨레】
【사설】 【 1】 【 1】 【 1】 【 1】 【 2】
【기사】 【 9】 【 4】 【 9】 【 7】 【13】
【사진】 【 1】 【 3】 【 3】 【 2】 【 5】
【칼럼 등】【 1】 【 0】 【 0】 【 0】 【 1】
【계】 【12】 【 8】 【13】 【10】 【21】
참조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민주언론실천위원회>
한겨레를 제외한 신문들은 일련의 보도를 통해 이번 사고가 미군측의 주장대로 '우발적' 사고인지, 유족측의 주장대로 '고의적' 사고인지 진상을 밝히는 데 충실하지 않았다. 미군측은 애초에 우발적 사고라고 주장하다가 사고 발생 3주만에 "운전병이 교신하느라 경고를 못 들었다"고 잘못을 인정했다가 나중에 "공무중 범죄의 재판권은 미국에 있다"며 SOFA의 재판관할권 조항을 '전가의 보도'처럼 들고 나왔다.
<표> 미군 궤도차 여중생 사망 사고 언론보도 건수
<월드컵 기간(6월 14∼30일)>
【구분】 【경향】【동아】【조선】【중앙】【한겨레】
【사설】 【 1】 【 1】 【 0】 【 0】 【 2】
【기사】 【 4】 【 3】 【 3】 【 3】 【 6】
【사진】 【 0】 【 1】 【 0】 【 0】 【 0】
【칼럼 등】【 0】 【 0】 【 0】 【 0】 【 1】
【계】 【 5】 【 5】 【 3】 【 3】 【 9】
<월드컵 이후(7월 1일∼15일)>
【구분】 【경향】【동아】【조선】【중앙】【한겨레】
【사설】 【 1】 【 1】 【 1】 【 1】 【 2】
【기사】 【 9】 【 4】 【 9】 【 7】 【13】
【사진】 【 1】 【 3】 【 3】 【 2】 【 5】
【칼럼 등】【 1】 【 0】 【 0】 【 0】 【 1】
【계】 【12】 【 8】 【13】 【10】 【21】
참조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민주언론실천위원회>
추천자료
'전두환 정권의 언론정책' ( 당근과 채찍 : 이보다 더 유착할 수 없다)에 관한 보고서
한국의 정치발전과 언론의 상관관계 연구
언론법과 윤리에 관하여
언론의 자유와 명예 훼손
[법과대중매체]명예훼손과 언론의 자유
정치와 언론
북한의 언론
한국적 공정성 이론화를 위한 서설적 작업: 탄핵 관련 한국언론학회 보고서 비판을 중심으로
5공화국 언론의 특성과 의미
스포츠 내셔널리즘이 무엇인지 이론적인 측면에서 알아보고, 정부나 언론 매체가 왜 스포츠 ...
언론과 이데올로기 - 권력의 개입과 여론의 조작의 실태와 그 대안
선거시기 언론의 후보지지 반대론과 문제점 및 극복방안
전두환 정부의 언론정책 (당근과 채찍으로)
유영철 연쇄살인사건을 중점사례로 본 경찰과 언론의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