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C를 이용한 중성지방의 분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요약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및 토의

6. 참고문헌

본문내용

sion)
- 결 과
전개를 마친 후 TLC 판을 말리고 발색한 결과 이동상이 TLC 판의 13.5cm까지 올라갔다. standard에서는 2개의 물질이 각각 10.5cm와 4.5cm에서 검출되었고 MG는 0.8cm에서, FFA는 6.5cm, 콜레스테롤은 12.5cm, 그리고 sample은 9.3cm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TG는 분해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자료로 각각의 Rf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STANDARD의 Rf value
물질 1 : 물질 2 :
MG의 Rf value FFA의 Rf value
Cholesterol의 Rf value Sample의 Rf value
< 각 물질의 Rf값 >
물질
Standard
MG
TG
FFA
Cholesterol
Sample
물질1
물질2
Rf 값
0.778
0.333
0.059
분해됨
0.481
0.9259
0.689
- 토 의
실험결과 TG는 검출이 되지 않고 분해가 되었다. 이는 시료 자체에 문제가 있어 그런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Rf값을 바탕으로 물질을 분석해보면 Standard에서는 두 가지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Sample은 MG, TG, FFA, Cholesterol의 혼합물이므로 0.333의 Rf 값을 가지는 물질은 비슷한 Rf값을 가지는 FFA(Rf=0.481)로 생각된다. TLC로 검출된 또 다른 물질은 Rf값이 0.778로 FFA(Rf=0.481)와 Cholesterol(Rf=0.9259)로 보기에는 Rf값의 차이가 너무 크다. 따라서 검출되지 않고 분해된 TG로 생각된다. MG의 경우 가장 작은 Rf값이 나왔는데 극성인 성질 때문에 정지상에 흡착되어 Standard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결과 Sample에서는 한 가지 물질이 검출되었고의 Rf값은 0.689로 나왔다. 이 값은 Standard에서 0.778의 Rf값을 가지는 물질과 그 값이 가장 비슷하다. 따라서 땅콩속의 중성지방은 TG로 생각된다.
6. 참고문헌 (Reference)
1. 주현규 外 5인 공저 - 식품분석법 유림문화사(1991) p. 130~132
2. 최재성 - 분석화학기기분석 동화기술(2000) p. 410~411, 416~417
3. 김관우 外 3인 공저 - 식품분석 진로연구사(1999) p. 60~61
4. 신세건 外 2인 공저 - 기기분석화학 형설출판사(2000) p. 237
5. http://www.silica-gel.co.kr/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1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7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