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로 의율하여 형사처벌 하는 것은 문제라고 아니할 수 없다. 개인이 노무 제공을 거부하면 임금을 지급 받지 못하는 불이익은 받을지언정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없는바, 집단적으로 했다고 해서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은 부당하다. 또한 헌법상 보장된 단체행동권의 행사로서 행해진 것이므로 이를 노동관계법의[65] 관련 규정 위반으로 처벌하는 것은 몰라도 업무방해나 직무유기로 형사처벌하는 것은 부당하다. 이에 대한 대법원판례의 입장이 하루빨리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맺음말
_ 노조법은 파업에 대하여 위에서 지적한 사항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한 및 금지규정을 두고 있다. 사회적인 여론이나 언론이 노동조합의 파업에 대하여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근로자의 파업권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으로서 사회적 경제적 약자의 지위에 있는 근로자들의 유일한 힘의 원천이므로 그 행사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도 당연한 것으로 용인하여야 한다. 법률의 규정과 그 해석 적용이 근로자의 헌법상의 기본권을 불합리하게 제한 금지하고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 오히려 법률 불신 내지 불복종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전향적인 법률의 개정 또는 해석 적용을 기대한다.
맺음말
_ 노조법은 파업에 대하여 위에서 지적한 사항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한 및 금지규정을 두고 있다. 사회적인 여론이나 언론이 노동조합의 파업에 대하여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근로자의 파업권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으로서 사회적 경제적 약자의 지위에 있는 근로자들의 유일한 힘의 원천이므로 그 행사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도 당연한 것으로 용인하여야 한다. 법률의 규정과 그 해석 적용이 근로자의 헌법상의 기본권을 불합리하게 제한 금지하고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 오히려 법률 불신 내지 불복종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전향적인 법률의 개정 또는 해석 적용을 기대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 쟁의행위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의 노동쟁의와 유형, 사례, 국제비교
2006 현대자동차 파업
노조법상 노동쟁의․쟁의행위․조합활동
[공무원제도]공무원노동조합의 특수성과 노동기본권의 규정
항공사 노조와 LG정유의 파업에 대한 분석 및 의견
[공무원노동기본권보장]공무원노동기본권의 개념과 내용, 공무원노동기본권의 제한, 공무원노...
[노동관련입법]노동감시에 대한 입법, 이주노동자(외국인노동자, 외국인근로자)의 국내체류 ...
[한국사회문제C형]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모색-파견노동자대책, 파견...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에 대한 개선방안 - 한국사회문제 C형
건설노동자(건설근로자)의 특성, 건설노동자(건설근로자)의 고용현황, 건설노동자(건설근로자...
언론 노조 파업 100일, 파업해결책과 MBC 파업 아나운서(최대현, 양승은, 배현진)들의 노조탈...
[국내법, 개별법, 국제법, 조약, ILO]국내법과 개별법, 국내법과 국제법, 국내법과 조약, 국...
[손배가압류][손해배상가압류][손해배상]손배가압류(손해배상가압류)의 현황, 실태, 손배가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