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수동적인 이동 ★
▶ 압력차에 의한 이동 ◀
▶ 용적 이동(bulk flow) ◀
★ 농도차에 의한 이동 ★
▶ 확산
▶ 촉진 확산 ◀
▶ 삼 투 ◀
★ 능동적 이동 ★
▶ 포화 현상
▶ 온 도
▶ 압력차에 의한 이동 ◀
▶ 용적 이동(bulk flow) ◀
★ 농도차에 의한 이동 ★
▶ 확산
▶ 촉진 확산 ◀
▶ 삼 투 ◀
★ 능동적 이동 ★
▶ 포화 현상
▶ 온 도
본문내용
사용하면 능동적 운반이 억제된다.
▶ 운반체의 특이성
Na+ 운반체는 Na+에만 운반하는 선택성을 갖고 있고, 아미노산 운반체는 아미노산, 당류 운반체는 당류에만 선택적으로 운반하는 특이성을 갖는다.
▶ 운반체의 유사한 물질결합에 대한 경쟁성
구조상 혹은 작용상 유사한 물질 사이에 운반체와의 결합이 경쟁적으로 나타나서, 어느 하나의 단독 운반속도보다 작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경쟁적 억제’(competite inhibition)라고 한다.
▶ 운반체의 탈바꿈
운반체는 세포막에서 능동적 이동을 위하여 경우에 따라 탈바꿈을 한다. 세포막내에 있는 X라는 운반체는 K+과 친화성이 있고, Y라는 운반체는 Na+과 친화성이 있을 때 세포밖에 있는 K+이 세포막을 통하여 세포내로 운반되려면 K+과X가 결합하여 K+X가 되고 이것은 막 속으로 확산하여 세포내측 경계면으로 이동된다. 경계면에 도착하면 K+과X가 해리되어 K+ 세포내에 들어가고, X는 에너지를 받아 Y로 탈바꿈을 한 후 세포내에 있는 Na+과 결합하여 Na+Y로 된 다음, 세포막을 지나 세포외액 경계면에 도착하면 Na+과 Y가 해리되어 Na+은 세포막으로 보내지고 Y는 효소를 이용하여 X로 탈바꿈한다.
▶ 운반체의 특이성
Na+ 운반체는 Na+에만 운반하는 선택성을 갖고 있고, 아미노산 운반체는 아미노산, 당류 운반체는 당류에만 선택적으로 운반하는 특이성을 갖는다.
▶ 운반체의 유사한 물질결합에 대한 경쟁성
구조상 혹은 작용상 유사한 물질 사이에 운반체와의 결합이 경쟁적으로 나타나서, 어느 하나의 단독 운반속도보다 작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경쟁적 억제’(competite inhibition)라고 한다.
▶ 운반체의 탈바꿈
운반체는 세포막에서 능동적 이동을 위하여 경우에 따라 탈바꿈을 한다. 세포막내에 있는 X라는 운반체는 K+과 친화성이 있고, Y라는 운반체는 Na+과 친화성이 있을 때 세포밖에 있는 K+이 세포막을 통하여 세포내로 운반되려면 K+과X가 결합하여 K+X가 되고 이것은 막 속으로 확산하여 세포내측 경계면으로 이동된다. 경계면에 도착하면 K+과X가 해리되어 K+ 세포내에 들어가고, X는 에너지를 받아 Y로 탈바꿈을 한 후 세포내에 있는 Na+과 결합하여 Na+Y로 된 다음, 세포막을 지나 세포외액 경계면에 도착하면 Na+과 Y가 해리되어 Na+은 세포막으로 보내지고 Y는 효소를 이용하여 X로 탈바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