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해운동맹 **********
1. 의 의
2. 종 류
3. 화주구속수단
******* 복합운송 **********
1. 의 의
2. 특징(요건)
**********Container 운송 **********
1. 의 의
2. 컨테이너운송의 형태
3. 컨테이너의 종류
4. 컨테이너 선의 종류
1. 의 의
2. 종 류
3. 화주구속수단
******* 복합운송 **********
1. 의 의
2. 특징(요건)
**********Container 운송 **********
1. 의 의
2. 컨테이너운송의 형태
3. 컨테이너의 종류
4. 컨테이너 선의 종류
본문내용
운반용으로 통풍과 먹이주기에 적합.
(6) Tank container : 유류, 약품, 식료품 등 액체화물 수송.
(7) Flatform container : 중량물이나 부피가 큰 화물 수송.
4. 컨테이너 선의 종류
하역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뉨.
(1) Lift on/off(Lo-Lo) : 본선이나 육상의 gantry crane으로 컨테이너를 수직 적양하는 방식.
(2) Roll on/off(Ro-Ro) : 선미(船尾), 선측(船側)에 설치된 Ramp를 통해 tractor, fork lift에 의해 적양.
(3) Float on/off(LASH) : 부선(艀船. 바지선. barge)에 container 일반화물을 적재하고 부선에 설치된 crane, elevator로 하역하는 방식.
(6) Tank container : 유류, 약품, 식료품 등 액체화물 수송.
(7) Flatform container : 중량물이나 부피가 큰 화물 수송.
4. 컨테이너 선의 종류
하역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뉨.
(1) Lift on/off(Lo-Lo) : 본선이나 육상의 gantry crane으로 컨테이너를 수직 적양하는 방식.
(2) Roll on/off(Ro-Ro) : 선미(船尾), 선측(船側)에 설치된 Ramp를 통해 tractor, fork lift에 의해 적양.
(3) Float on/off(LASH) : 부선(艀船. 바지선. barge)에 container 일반화물을 적재하고 부선에 설치된 crane, elevator로 하역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