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도성의 정의와 특징
2. 간호관리자와 지도활동
3. 지도성 이론
4. 행위이론
5.피들러의 상황모형(Fred E. Fiedler's contingency model)
6.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7. 허시와 블란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8. 변혁적 리더십
9. 슈퍼 리더십
10. 간호현장에서 리더십이론 적용.
11. 리더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12. 집단에서의 리더의 일반적 역할
2. 간호관리자와 지도활동
3. 지도성 이론
4. 행위이론
5.피들러의 상황모형(Fred E. Fiedler's contingency model)
6.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7. 허시와 블란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8. 변혁적 리더십
9. 슈퍼 리더십
10. 간호현장에서 리더십이론 적용.
11. 리더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12. 집단에서의 리더의 일반적 역할
본문내용
나갈 수 있다.
ㆍ간호 관리자
유능한 지도자로써 인력, 물자, 시간등의 요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촉진시키 고, 다양한 기술을 가진 간호직원들의 노력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 표현적이며 유창한 대화를 구사할 수 있다.
11. 리더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는 목표달성에 대한 경로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줄 때.
- 리더가 어떻게 성원들의 유의성과 기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초점을 뒀을 때.
- 리더가 목표달성을 위한 경로를 제공했을 때.
성원들의 만족, 동기부여 성과 등을 얻도록 한다.
ex)담임: 요번 모의고사 점수를 올리면, 올린 점수당 도서상품권을 주겠다!
학생반응- 열심히 해서 성적도 올리고, 상품도 받는다.
12. 집단에서의 리더의 일반적 역할
(미국 GE사에서의 훌륭한 지도자)
leader
L은 Listen(경청한다),
E는 Explain(설명하다) 또는 Educate(가르치다)이며,
A는 Assist(돕다),
D는 Discuss(토의하다)
E는 Evaluate(평가하다),
R은 Respond(대답하다 또는 책임을 다하다)라는 것.
1) 지시
"구두 지시"- 장점: 업무과정시 부하직원과 직접 대면해 명령하거나 제안, 상담, 회의를 통 해 결의함으로써 문제해결.
- 단점: 의사 소통 장애 있을 시 정확한 지시 어렵다.
"서면 지시"- 장점: 지시 내용을 신속 정확, 일관성 있게 능률적으로 직원들에게 지시 가 능.
- 단점: 관리자와 직접 대면이 없어 지시상황에 대한 중요성 감소.
지시의 이행에 대한 동기부여가 어려움.
"명령"- 상관들이 부하직원들에게 특정 방식을 이행 또는 삼가도록 하는 것.
위임된 권한과 명령을 따르지 않을 시 처벌기관의 정책에 의해 강요됨.
ㆍ명령 시 지침사항
- 명령을 받는 사람은 이름과 직명을 명시한다.
- 명령이 내려지는 날짜와 수행되어야 할 날짜를 명시한다.
- 직원이 해야 할 활동은 행위를 서술하는 동사를 써서 단순한 문장으로 표현한다.
- 기대되는 행위를 관찰할 수 있는 행위 용어로 표현한다.
- 업무완료의 시간을 명백하게 표시한다.
- 완수해야 하는 업무를 측정할 수 있는 단위로 수량화한다.
- 업무평가를 위한 표준을 제시한다.
- 명령을 내리는 관리자의 이름, 직위, 명령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때 접촉할 수 있는 전화 번호를 명기한다.
2) 감독(Supervision)
- 업무를 조사 확인, 업무수행의 적합성 평가, 그 결과를 교정 또는 인정하는 행위.
ㆍ감독 시 지침사항
"지지"- 직원의 두려움을 인정하고 지지한다.
"공적인 자세"
"상황에 적합한 감독의 형태와 양"
ex) 감독 불충분 시- 기관이 목표와 동떨어짐. 지나치게 집중적인 감독- 직원의 솔선성, 창의성 억압
"직원의 특성에 맞는 감독"
"변화의 욕구" - 처음 신규 간호사 때 : 직접적 감독 필요.
그 이후: 적극성과 자신감을 개발할 수 있는 감독 필요.
" 감독의 기준"
- 감독할 때 직원의 업무수행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 필요.
ㆍ코칭으로서의 감독
- 코치는 공격과 방어의 전략을 포함한 개인 전략과 집단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 멤버가 노력하도록 시그날 개발.
ㆍ통제활동으로서의 감독
ex) 질통제의 목적에서 시행되는 간호요원의 감독->환자 간호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함.
ㆍ감독 기술
- 부하직원과 함께 일해본다.
- 발췌방법: 부하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어떤 업무의 일부를 선택하여 조사하는 방법.
- 질문과 분석: 간호사들이 수집한 자료, 자료의 분석, 간호목표의 선택, 환자의 경과 등에 대해 질문해보고 분석한다.
- 업무의 교정: 사례발표를 통한 질문과 제언을 하는 것으로 교정.
직원이 직무기술서, 직무표준, 기관정책, 공식적인 절차 등을 지키면서 업 무를 수행하지 않는지 교정한다.
3) 조정
ㆍ업무집단의 구성원들이 함께 조화를 이루며 일하도록 하는 활동.
"행위의 문제" - 비동질적 직원들의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직무범위의 조정"- 전문적인 업무를 담당한 전문가들 사이의 관할권 논쟁을 방지하기 위 해서
" 원활한 정보 교환체계의 수립"
-- 대화, 메모, 포스터, 정책 환경계의 수립
-- 메모는 신속, 정확하고 명백한 의사전달
-- 포스터는 회의, 교육계획, 업무규칙의 강조 등.
-- 정책방침서는 직원들에게 업무의 철학, 목적, 목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
업무의 장ㆍ단점에 관한 토론.
-- 회의는 집단상호작용의 힘과 신선함을 주기 위해 가급적 횟수를 줄이고 빠른 시간 내 끝 낸다.
ㆍ간호 관리자
유능한 지도자로써 인력, 물자, 시간등의 요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촉진시키 고, 다양한 기술을 가진 간호직원들의 노력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 표현적이며 유창한 대화를 구사할 수 있다.
11. 리더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는 목표달성에 대한 경로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줄 때.
- 리더가 어떻게 성원들의 유의성과 기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초점을 뒀을 때.
- 리더가 목표달성을 위한 경로를 제공했을 때.
성원들의 만족, 동기부여 성과 등을 얻도록 한다.
ex)담임: 요번 모의고사 점수를 올리면, 올린 점수당 도서상품권을 주겠다!
학생반응- 열심히 해서 성적도 올리고, 상품도 받는다.
12. 집단에서의 리더의 일반적 역할
(미국 GE사에서의 훌륭한 지도자)
leader
L은 Listen(경청한다),
E는 Explain(설명하다) 또는 Educate(가르치다)이며,
A는 Assist(돕다),
D는 Discuss(토의하다)
E는 Evaluate(평가하다),
R은 Respond(대답하다 또는 책임을 다하다)라는 것.
1) 지시
"구두 지시"- 장점: 업무과정시 부하직원과 직접 대면해 명령하거나 제안, 상담, 회의를 통 해 결의함으로써 문제해결.
- 단점: 의사 소통 장애 있을 시 정확한 지시 어렵다.
"서면 지시"- 장점: 지시 내용을 신속 정확, 일관성 있게 능률적으로 직원들에게 지시 가 능.
- 단점: 관리자와 직접 대면이 없어 지시상황에 대한 중요성 감소.
지시의 이행에 대한 동기부여가 어려움.
"명령"- 상관들이 부하직원들에게 특정 방식을 이행 또는 삼가도록 하는 것.
위임된 권한과 명령을 따르지 않을 시 처벌기관의 정책에 의해 강요됨.
ㆍ명령 시 지침사항
- 명령을 받는 사람은 이름과 직명을 명시한다.
- 명령이 내려지는 날짜와 수행되어야 할 날짜를 명시한다.
- 직원이 해야 할 활동은 행위를 서술하는 동사를 써서 단순한 문장으로 표현한다.
- 기대되는 행위를 관찰할 수 있는 행위 용어로 표현한다.
- 업무완료의 시간을 명백하게 표시한다.
- 완수해야 하는 업무를 측정할 수 있는 단위로 수량화한다.
- 업무평가를 위한 표준을 제시한다.
- 명령을 내리는 관리자의 이름, 직위, 명령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때 접촉할 수 있는 전화 번호를 명기한다.
2) 감독(Supervision)
- 업무를 조사 확인, 업무수행의 적합성 평가, 그 결과를 교정 또는 인정하는 행위.
ㆍ감독 시 지침사항
"지지"- 직원의 두려움을 인정하고 지지한다.
"공적인 자세"
"상황에 적합한 감독의 형태와 양"
ex) 감독 불충분 시- 기관이 목표와 동떨어짐. 지나치게 집중적인 감독- 직원의 솔선성, 창의성 억압
"직원의 특성에 맞는 감독"
"변화의 욕구" - 처음 신규 간호사 때 : 직접적 감독 필요.
그 이후: 적극성과 자신감을 개발할 수 있는 감독 필요.
" 감독의 기준"
- 감독할 때 직원의 업무수행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 필요.
ㆍ코칭으로서의 감독
- 코치는 공격과 방어의 전략을 포함한 개인 전략과 집단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 멤버가 노력하도록 시그날 개발.
ㆍ통제활동으로서의 감독
ex) 질통제의 목적에서 시행되는 간호요원의 감독->환자 간호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함.
ㆍ감독 기술
- 부하직원과 함께 일해본다.
- 발췌방법: 부하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어떤 업무의 일부를 선택하여 조사하는 방법.
- 질문과 분석: 간호사들이 수집한 자료, 자료의 분석, 간호목표의 선택, 환자의 경과 등에 대해 질문해보고 분석한다.
- 업무의 교정: 사례발표를 통한 질문과 제언을 하는 것으로 교정.
직원이 직무기술서, 직무표준, 기관정책, 공식적인 절차 등을 지키면서 업 무를 수행하지 않는지 교정한다.
3) 조정
ㆍ업무집단의 구성원들이 함께 조화를 이루며 일하도록 하는 활동.
"행위의 문제" - 비동질적 직원들의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직무범위의 조정"- 전문적인 업무를 담당한 전문가들 사이의 관할권 논쟁을 방지하기 위 해서
" 원활한 정보 교환체계의 수립"
-- 대화, 메모, 포스터, 정책 환경계의 수립
-- 메모는 신속, 정확하고 명백한 의사전달
-- 포스터는 회의, 교육계획, 업무규칙의 강조 등.
-- 정책방침서는 직원들에게 업무의 철학, 목적, 목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
업무의 장ㆍ단점에 관한 토론.
-- 회의는 집단상호작용의 힘과 신선함을 주기 위해 가급적 횟수를 줄이고 빠른 시간 내 끝 낸다.
추천자료
간호관리료 차등제(간호등급가산제)와 간호관리료 차등제가 간호계에 시사하는 의미
[간호관리 직무분석] 신생아 중환자실 NICU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직...
[간호관리 직무분석] 수술실 OR(operating room)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간호관리 직무분석] 수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서) : 하나의 간호 단위나 ...
[간호관리 직무분석] 내과 병동(IM)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직무기술서...
[간호관리 직무분석] 간호부장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 병원 운영자의 한 사람...
[간호관리 직무분석] 간호과장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 : 간호사 전원의 인사문...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ICU)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
[간호관리 직무분석] 외과 병동(OS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 (직무기술서+직무...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ICU)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 + 직...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ICU)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 직무...
간호관리 요점정리(재무관리, 간호수가, 시간관리)
분만3기, 분만4시, 태반박리기, 태반만출기, 만출태반의사정, 분만3기간호중재, 분만3기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