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세계화에 대한 아파두라이의 접근
Ⅲ. 세계화 과정 설명의 개념 틀: '-scape'
Ⅴ. 나오면서
Ⅱ. 세계화에 대한 아파두라이의 접근
Ⅲ. 세계화 과정 설명의 개념 틀: '-scape'
Ⅴ. 나오면서
본문내용
는 것처럼 인식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현대성은 탈지역화, 탈국가로 특징지어지는 세계화의 맥락 속에서 새로운 모습을 띄게 되며, 현대성은 엘리트 중심의 민족국가의 규정에서 벗어나 대중적인 세계화vernacular globalization의 힘에 의해 주조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덧붙이자면, 대중적 세계화란, 세계화 과정이 일반 대중의 일상과 의식을 변화시키는 한편, 새로운 상상력을 얻게 된 이들의 실천적 행위가 현대 세계를 변화시키는 사회적 힘으로 작동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아파두라이의 세계화에 대한 논의는 우리 역사 속에서의 세계화 방향과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세계화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활발해진 것은 김영삼 정권 때이다. 선진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세계시민이 되자는 논리의 세계화가 있는 반면, 우리의 것을 세계에 알려 인정받자는, 즉 한때 유행하였던 말이기도 한 "우리 것이 좋은 것"이라는 논리의 세계화도 있다. "sekyehwa" 혹은 worldization이 아닌 아파두라이가 지향하는, 이질화과정이면서, 세계적 흐름에 반응하는 주체의 행위가 의미를 지니는 globalization이 우리에게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아파두라이의 세계화에 대한 논의는 우리 역사 속에서의 세계화 방향과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세계화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활발해진 것은 김영삼 정권 때이다. 선진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세계시민이 되자는 논리의 세계화가 있는 반면, 우리의 것을 세계에 알려 인정받자는, 즉 한때 유행하였던 말이기도 한 "우리 것이 좋은 것"이라는 논리의 세계화도 있다. "sekyehwa" 혹은 worldization이 아닌 아파두라이가 지향하는, 이질화과정이면서, 세계적 흐름에 반응하는 주체의 행위가 의미를 지니는 globalization이 우리에게 의미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