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갈바니전지 ( Galvanic Cell)
기전기 (起電機, Electrostatic Generator)
윔스허스트의 기전기
동물전기 (動物電氣, Bioelectricity)
전자기학 (電磁氣學, Electromagnetics)
기전기 (起電機, Electrostatic Generator)
윔스허스트의 기전기
동물전기 (動物電氣, Bioelectricity)
전자기학 (電磁氣學, Electromagnetics)
본문내용
에 의한 전류의 자기작용의 발견(1820), 옴의 법칙의 발견(1827) 및 패러데이에 의한 전자기유도작용의 발견(1831) 등으로 전기와 자기 상호간의 밀접한 학문적 체계가 확립되었다. 그후 맥스웰이 패러데이의 전자기장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정립하여 전자기파의 존재를 제창(1873), 헤르츠가 이를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한편 전자기유도 및 전류 상호간의 작용에서 발전기나 전동기 등의 각종 전기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계측기의 개발로 정밀계측과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전자기학은 전기물리학 분야에서 기본전하량(基本電荷量)의 연구로부터 전자론이 도출되어 음극선 및 전기분해의 기초이론이 확립되었고, 전기물성론(電氣物性論)에서는 전자기유체역학(電磁氣流體力學) 및 플라스마공학의 새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한편 전자기유도 및 전류 상호간의 작용에서 발전기나 전동기 등의 각종 전기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계측기의 개발로 정밀계측과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전자기학은 전기물리학 분야에서 기본전하량(基本電荷量)의 연구로부터 전자론이 도출되어 음극선 및 전기분해의 기초이론이 확립되었고, 전기물성론(電氣物性論)에서는 전자기유체역학(電磁氣流體力學) 및 플라스마공학의 새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