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극의 기원
▶ 사회극의 정의와 특징
▶ 사회극의 목표
▶심리극과 사회극의 개념적 비교
▶ 심리극과의 차이점
▶ 사회극의 적용
▶사회극의 과정
▶사회극의 기법
▶사회극의 과제와 전망
▶ 사회극의 정의와 특징
▶ 사회극의 목표
▶심리극과 사회극의 개념적 비교
▶ 심리극과의 차이점
▶ 사회극의 적용
▶사회극의 과정
▶사회극의 기법
▶사회극의 과제와 전망
본문내용
다.
8. 재판(trial)
심리극에서는 일반적으로 죽음의 장면 후 심판 장면으로 죽음의 의미와 인간의 재탄생에 대한 강조를 두며 접근한다. 극의 마지막 부분이나 절정에서 사용한다.
그 외에도 소시오드라마에서는 주제가 되는 사회문제나 집단 성원들의문제를 피고석에 놓고 변호사와 검사를 등장시켜 문제를 명료화시켜 나가고 소시오드라마를 본 관객들에게 재판장의 역할을 맡기며 극의 마지막 부분에서 공유단계sharing로 넘어갈 때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9. 신체언어(body language)
인간 내면의 갈등을 신체로 나타냄으로써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무의식적인 감정을 표현하여 정화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음악이 있으며 집단의 문제나 주제를 몸으로 표현해서 나타내게 된다. 일반적인 소시오드라마보다는 공연의 형식을 빌리는 요즈음 대학 소시오드라마에서 잘 사용되어지며 극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이상에서 대략 아홉 가지 정도의 소시오드라마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지면상 여기에 더 소개하지 못하는 기법들도 많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법은 소시오드라마를 하는 사람들에 의해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만들어질 수 있다는것이다. 소시오드라마에 있어서 즉흥성과 자발성, 창조성은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며 기법의 사용에 있어서도 이러한 능력의 필요는 예외가 아닐 것이다.
○ 시간과 공간기법
① 미래투사기법(Future projection) : 이는 불확실한 요소, 애매한 것들을 구체화시켜주고 살아있게 한다. 예기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심어 주며 필요한 자질과 기술을 배우게 한다.
② 시간퇴행기법(Time regression) : 이는 실제로 지금-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로 믿는 자세가 중요하다. 예컨대, 외상, 불쾌한 경험, 기타 과거의 경험으로 문제가 있을 때, 현재의 어려움이 과거의 경험과 관계가 있을 때, 우리는 과거로 돌아가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일로 다시 다룬다.
③ 공간기법 : 장애물(차기, 떼어내기, 던지기 등), 힘(밀고 당기기, 밀어내기, 쓰러뜨리기), 거리(spectrogram, sociogram), 크기(앉고 서기) 등.
○ 상황기법
장애물 기법(억압된 분노, 욕구불만의 표현을 촉진), 편지기법(타인에 대한 감정 탐구), 전화기법(직접 대면을 회피하려 할 때), 모태기법(인생을 다시 시작하고 싶을 때, 이 세상에 대해 불확실하다고 느낄 때), 거꾸리와 장다리기법(지배자, 자기 비하자), 집단서거기법(집단의 저항, 긴장, 불안 시 대표자 선정), 법정기법, 오케스트라(개방성과 감수성 촉진) 등 다양한 기법이 있다.
▶사회극의 과제와 전망
현재 소시오드라마를 공부하고 있는 각 현장이나 대학교마다 드라마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각각 다른 경향이다. 이는 경험적 지식에 기초한 도제 방식의 전수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각자의 독특한 성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이나 설명은 부족한 현실이라고 사려된다. 또한 사이코드라마와의 혼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우선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진지하고 엄밀한 개념 정의와 지향점에 입각하여 기존 사이코드라마 기법의 차용에 대한 전면적인 재고와 그 실효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그리고 집단사회사업과 사회문제, 연극적 요소들의 구체적 적용과 드라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계발이 계속되어야겠다. 또한 참여자-관객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준비단계와 높은 수준의 역할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공유단계의 비중에 걸맞는 프로그램의 계발이 절실하다.
이상의 과제와 함께 경주되어야 할 것은 소시오드라마의 질적 향상과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다. 우선 체계적이고 공유가능한 커리큘럼의 정립과 소시오드라마연합 차원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트레이닝-코스(예를들면 연합차원의 워크샵이나 연출학교) 개설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와 교육 현장에서 자체의 요구에 의해 시작한지 이십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오늘날에도 소시오드라마는 꾸준히 확산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양적 팽창에 걸맞는 질적 성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자성과 그 동안 축적되어온 수많은 소시오드라마티스트들의 정열이 현 시점에 이러한 문제제기와 당면과제의 설정을 가능케 했다고 생각한다. 그 동안의 노력과 전통을 디딤돌 삼아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우리 모두의 진지함이 요구된다
http://www.xpert.co.kr/
http://cchki.kr21.net
http://naver.com/
http://yahoo.co.kr/
8. 재판(trial)
심리극에서는 일반적으로 죽음의 장면 후 심판 장면으로 죽음의 의미와 인간의 재탄생에 대한 강조를 두며 접근한다. 극의 마지막 부분이나 절정에서 사용한다.
그 외에도 소시오드라마에서는 주제가 되는 사회문제나 집단 성원들의문제를 피고석에 놓고 변호사와 검사를 등장시켜 문제를 명료화시켜 나가고 소시오드라마를 본 관객들에게 재판장의 역할을 맡기며 극의 마지막 부분에서 공유단계sharing로 넘어갈 때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9. 신체언어(body language)
인간 내면의 갈등을 신체로 나타냄으로써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무의식적인 감정을 표현하여 정화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음악이 있으며 집단의 문제나 주제를 몸으로 표현해서 나타내게 된다. 일반적인 소시오드라마보다는 공연의 형식을 빌리는 요즈음 대학 소시오드라마에서 잘 사용되어지며 극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이상에서 대략 아홉 가지 정도의 소시오드라마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지면상 여기에 더 소개하지 못하는 기법들도 많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법은 소시오드라마를 하는 사람들에 의해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만들어질 수 있다는것이다. 소시오드라마에 있어서 즉흥성과 자발성, 창조성은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며 기법의 사용에 있어서도 이러한 능력의 필요는 예외가 아닐 것이다.
○ 시간과 공간기법
① 미래투사기법(Future projection) : 이는 불확실한 요소, 애매한 것들을 구체화시켜주고 살아있게 한다. 예기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심어 주며 필요한 자질과 기술을 배우게 한다.
② 시간퇴행기법(Time regression) : 이는 실제로 지금-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로 믿는 자세가 중요하다. 예컨대, 외상, 불쾌한 경험, 기타 과거의 경험으로 문제가 있을 때, 현재의 어려움이 과거의 경험과 관계가 있을 때, 우리는 과거로 돌아가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일로 다시 다룬다.
③ 공간기법 : 장애물(차기, 떼어내기, 던지기 등), 힘(밀고 당기기, 밀어내기, 쓰러뜨리기), 거리(spectrogram, sociogram), 크기(앉고 서기) 등.
○ 상황기법
장애물 기법(억압된 분노, 욕구불만의 표현을 촉진), 편지기법(타인에 대한 감정 탐구), 전화기법(직접 대면을 회피하려 할 때), 모태기법(인생을 다시 시작하고 싶을 때, 이 세상에 대해 불확실하다고 느낄 때), 거꾸리와 장다리기법(지배자, 자기 비하자), 집단서거기법(집단의 저항, 긴장, 불안 시 대표자 선정), 법정기법, 오케스트라(개방성과 감수성 촉진) 등 다양한 기법이 있다.
▶사회극의 과제와 전망
현재 소시오드라마를 공부하고 있는 각 현장이나 대학교마다 드라마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각각 다른 경향이다. 이는 경험적 지식에 기초한 도제 방식의 전수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각자의 독특한 성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이나 설명은 부족한 현실이라고 사려된다. 또한 사이코드라마와의 혼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우선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진지하고 엄밀한 개념 정의와 지향점에 입각하여 기존 사이코드라마 기법의 차용에 대한 전면적인 재고와 그 실효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그리고 집단사회사업과 사회문제, 연극적 요소들의 구체적 적용과 드라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계발이 계속되어야겠다. 또한 참여자-관객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준비단계와 높은 수준의 역할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공유단계의 비중에 걸맞는 프로그램의 계발이 절실하다.
이상의 과제와 함께 경주되어야 할 것은 소시오드라마의 질적 향상과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다. 우선 체계적이고 공유가능한 커리큘럼의 정립과 소시오드라마연합 차원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트레이닝-코스(예를들면 연합차원의 워크샵이나 연출학교) 개설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와 교육 현장에서 자체의 요구에 의해 시작한지 이십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오늘날에도 소시오드라마는 꾸준히 확산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양적 팽창에 걸맞는 질적 성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자성과 그 동안 축적되어온 수많은 소시오드라마티스트들의 정열이 현 시점에 이러한 문제제기와 당면과제의 설정을 가능케 했다고 생각한다. 그 동안의 노력과 전통을 디딤돌 삼아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우리 모두의 진지함이 요구된다
http://www.xpert.co.kr/
http://cchki.kr21.net
http://naver.com/
http://yahoo.co.kr/
키워드
추천자료
소시오드라마(sociodrama)란
『Death of a Salesman』연구와 Arthur Miller의 비극관 고찰
정보자원관리 관점에서의 통합 통제 아키텍처 메타데터모형
[플라톤] 플라톤의 교육사상과 수학교육사상에 대한 비판
Death of Salesman(세일즈맨의죽음)
장애인 복지론 요약 / 중간고사(시험) / 서술형시험
유아 극놀이의 이론적 배경 및 극놀이사례분석
세일즈맨의 죽음 감상 및 분석 - 작품 내용요약, 사실주의 비극을 통해 본 현대사회의 아이러...
2010년 장애인 복지론 중간고사 요약(교수출제용)
서번트리더십의 개요와 서번트 리더의 역할 - 서번트 리더십의 특징, 구성요소, 리더의 역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장애아동 통합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