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란 무엇인가?
2. 커뮤니케이션학(communication science)이란 무엇인가?
3. 설득(persuasion)이란 무엇인가?
2. 커뮤니케이션학(communication science)이란 무엇인가?
3. 설득(persuasion)이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위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설득이나 그밖의 다른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달리 선전은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주로 대중 매체를 대상으로 하여 어떤 집단 전체, 즉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접, 집단적 커뮤니케이션이다. 또 한가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선전만의 고유한 특성은 광고나 PR같은 다른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달리 선전은 때로그 선전자나 기관이 자신을 은폐하거나 감정적이고 허위적 내용을 전달해서 여론이나 대중을 조작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선전은 그 활용 용도에서도 설득과 구분되는데 선전은 지금까지 주로 정치적,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는 점이다.
) 차배근, 리대룡, 오두범, 조성겸 공저,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서울: 나남), 1992, pp356-357.
정리해보면 선전이나 설득이나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일종으로 그 대상이나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그 목적이 어떠한 대상의 태도나 행위를 변용시키려는데 있음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득은 무엇보다도 효과를 중시하며 따라서 학계에서도 이 분야를 일방향적, 선형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보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설득 역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두 주체간의 상호이해와 원활한 의사교환과 적절한 반응 없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관련문헌) Erwin P. Bettinghaus, Michael J. Cody, Persuasive Communication, The Dryden Press, 1987, pp.1-6 ch.1.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 차배근, 리대룡, 오두범, 조성겸 공저,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서울: 나남), 1992, pp356-357.
정리해보면 선전이나 설득이나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일종으로 그 대상이나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그 목적이 어떠한 대상의 태도나 행위를 변용시키려는데 있음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득은 무엇보다도 효과를 중시하며 따라서 학계에서도 이 분야를 일방향적, 선형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보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설득 역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두 주체간의 상호이해와 원활한 의사교환과 적절한 반응 없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관련문헌) Erwin P. Bettinghaus, Michael J. Cody, Persuasive Communication, The Dryden Press, 1987, pp.1-6 ch.1.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추천자료
Jane Austen의 Persuasion에 나타난 사회변화와 여성 (오스틴 설득)
소비자를 움직이는 판매의 법칙과 광고 및 마케팅 사례 그리고 설득 도구의 공통점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시초,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역할, 정치커뮤니케이션과 대중사회, ...
우수독후감(베스트셀러,자기계발,화술,협상,프레젠테이션,경제,경영)-설득의 심리학(사람의 ...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기능,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강효과이론,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중효과이론, ...
대인커뮤니케이션(휴먼커뮤니케이션,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생성과 발달, 대인커뮤니케이션(휴...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의미,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방향성,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권리...
온라인커뮤니케이션(인터넷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연구, 온라인커뮤니케이션(인터넷커뮤니케...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인터넷커뮤니케이션) 이론,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인터넷커뮤니케이션) 정...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의 의의,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의 공공성과 원칙, 커뮤니케이션(의...
[메세지, 메시지]메세지(메시지)의 원천, 메세지(메시지)의 소구방법, 메세지(메시지)의 설득...
최근 한국사회에 소통의 부재가 논란이 되고 있다. 정교화 가능성 이론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
동서양고전의이해_아래 책들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읽은 후, 이 책을 선택한 이유와 인상적인 ...
최근 한국사회에 소통의 부재가 논란이 되고 있는데 정교화 가능성 이론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