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하나. 국내입양
1. 입양에 대한 몇 가지 오해
2. 비밀입양의 문제
둘. 해외입양
1. 어떠한 대책을 가져야 하는가?
2. 해외입양인 실태
3. 입양인 들의 고국방문
4. 정책 제안
5. 해외 입양인 들을 우리 나라 국력신장의 방안으로 활용할 필요성
6. 해외 입양인 들에 대한 종합적 연구 시급
(참고)7. 입양(入養)에 관한 법률
(참고) 8. 또 다른 이민, 입양 (성덕바우만 사례)
1. 입양에 대한 몇 가지 오해
2. 비밀입양의 문제
둘. 해외입양
1. 어떠한 대책을 가져야 하는가?
2. 해외입양인 실태
3. 입양인 들의 고국방문
4. 정책 제안
5. 해외 입양인 들을 우리 나라 국력신장의 방안으로 활용할 필요성
6. 해외 입양인 들에 대한 종합적 연구 시급
(참고)7. 입양(入養)에 관한 법률
(참고) 8. 또 다른 이민, 입양 (성덕바우만 사례)
본문내용
에 입양에 대한 편견이 거의 없다는 면에서 축복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인 입양아와 가족들은 오히려 미국 내 한인사회의 편견과 고국의 냉대가 가슴 아프다고 말한다. 성덕 바우만의 아버지인 스티브 바우만씨는 “자연스럽게 한국인들과 어울리게 하기 위해 한인 사회에 다가가도 ‘왜 피부색이 다른 동양인을 입양했냐’,‘아들을 버린 한국의 친부모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등 무례한 질문을 퍼붓거나 입양아들을 한국인도, 미국인도 아닌 이방인으로 취급하기 일쑤였다”고 털어 놓았다. 매년 입양아 1,000여 명이 정체성을 찾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지만 이들은 더 심한 마음 고생을 하고 있다. 뉴욕의 한인입양단체 아카(AKA촹Also Known As)의 인터넷 사이트에는 “한국인들은 해외입양아를 모두 창녀의 자식들이라고 멸시하는 편견이 있다”, “뿌리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에 갔지만 나는 해외 동포도 못되는 외국인에 불과했다”는 등 고국을 원망하는 글들이 수두룩하다.
입양 한인 권익단체인 골(GOAL촹Global Overseas Adoptees’ Link)의 에이미 인자(33촹한국명 진인자) 회장은 “한국은 고아 15만명을 무작정 해외로 보내놓고 마땅한 지원 기관 하나 마련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은행 계좌를 만들거나 송금할 때 여권, 비자, 취업증명서 등과 한국인의 보증이 있어야 하고, 집을 사거나 임대할 때도 해당 구청에 일일이신고해야 하는 등 입양아들을 ‘예비 불법 체류자’로 생각하는 한국이 원망스럽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해외 입양아들을 ‘잊고 싶은 과거’로 간주하기보다는 튼튼한해외 한국 인력 네트워크로 이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워싱턴주의마사 연숙 브래들리 입양자문관은 “한국어 무상 교육을 실시하고 이중국적을 허용해 입양아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제도적 권리를 누리게 하는 등의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한국 정부가 해외 입양보다는 국내 입양가정을 현실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지적했다.
입양인 소식지
미국:WE-Woori, 프랑스: 한소리, 네델란드: 우리신문, 스웨덴: 여보세요, 스위스: 동아리
인터넷에 입양인들의 정보교환, 부모찾기 등을 위한 홈페이지 개설
http://www.mtn.org/korea : 해외입양인 한국 친부모 찾기 홈페이지
http://www.adoptee.com
http://ns.bigvision.co.kr/hunter/korean-regular
한인 입양아와 가족들은 오히려 미국 내 한인사회의 편견과 고국의 냉대가 가슴 아프다고 말한다. 성덕 바우만의 아버지인 스티브 바우만씨는 “자연스럽게 한국인들과 어울리게 하기 위해 한인 사회에 다가가도 ‘왜 피부색이 다른 동양인을 입양했냐’,‘아들을 버린 한국의 친부모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등 무례한 질문을 퍼붓거나 입양아들을 한국인도, 미국인도 아닌 이방인으로 취급하기 일쑤였다”고 털어 놓았다. 매년 입양아 1,000여 명이 정체성을 찾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지만 이들은 더 심한 마음 고생을 하고 있다. 뉴욕의 한인입양단체 아카(AKA촹Also Known As)의 인터넷 사이트에는 “한국인들은 해외입양아를 모두 창녀의 자식들이라고 멸시하는 편견이 있다”, “뿌리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에 갔지만 나는 해외 동포도 못되는 외국인에 불과했다”는 등 고국을 원망하는 글들이 수두룩하다.
입양 한인 권익단체인 골(GOAL촹Global Overseas Adoptees’ Link)의 에이미 인자(33촹한국명 진인자) 회장은 “한국은 고아 15만명을 무작정 해외로 보내놓고 마땅한 지원 기관 하나 마련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은행 계좌를 만들거나 송금할 때 여권, 비자, 취업증명서 등과 한국인의 보증이 있어야 하고, 집을 사거나 임대할 때도 해당 구청에 일일이신고해야 하는 등 입양아들을 ‘예비 불법 체류자’로 생각하는 한국이 원망스럽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해외 입양아들을 ‘잊고 싶은 과거’로 간주하기보다는 튼튼한해외 한국 인력 네트워크로 이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워싱턴주의마사 연숙 브래들리 입양자문관은 “한국어 무상 교육을 실시하고 이중국적을 허용해 입양아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제도적 권리를 누리게 하는 등의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한국 정부가 해외 입양보다는 국내 입양가정을 현실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지적했다.
입양인 소식지
미국:WE-Woori, 프랑스: 한소리, 네델란드: 우리신문, 스웨덴: 여보세요, 스위스: 동아리
인터넷에 입양인들의 정보교환, 부모찾기 등을 위한 홈페이지 개설
http://www.mtn.org/korea : 해외입양인 한국 친부모 찾기 홈페이지
http://www.adoptee.com
http://ns.bigvision.co.kr/hunter/korean-regular
추천자료
입양아동복지
(아동복지) 입양의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아동 입양사업(서비스)의 개선방향과 과제
가정위탁보호와 입양문제
사회복지학 - 입양에 대해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 그 특징 그리고 발전방안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현황과 특징 및 발전 방안
우리나라 입 양 현 황 에 대한 조사분석
[복지]입양가족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우리나라 입양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입양(adoption)
한국 입양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