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라도 아들에게 며느리의 모습을 보여달라며 집으로 유인한다. 며느리는 진저리나는 집이었지만 신랑에 대한 미움으로 나온 것이 아니었으므로 시어머니와 같이 집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시어머니는 그의 본심을 드러내게 된다. 신랑이 죽었는 지 모르고 가까이 이름을 부르며 다가가는 사이 며느리는 곧 신랑이 죽었음을 알게 되지만 이 때 시어머니는 삽으로 며느리의 머리를 쳐서 기절시키고야 만다. 깨어난 며느리는 그곳이 시어머니가 아들이 갖고 놀던 장난감을 모아놓는 곳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여기서 시어머니의 괘변이 또 나오게 된다. 며느리도 자기 아들이 갖고 놀던 장난감이므로 그 방에 죽을 때까지 있으라고 말한다. 그 안에 있던 물건들과 며느리를 동격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며느리는 우연히 나타난 친구의 도움으로 탈출을 하게되고 시어머니는 결국 아들 옆에서 자살을 하게 된다. 더 이상 자신의 허탈감과 분노, 괴로움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올가미>는 전체적으로 결혼한 사람이면 누구나 겪었을 시어머니의 시집살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영화에서는 단지 시어머니의 입장을 좀 더 대변하고 과장해서 그렇게 며느리에게 무차별적인 폭행을 자행하는 모습을 만들어 낸 것 같다. 며느리가 싫은 시어머니들에게는 어쩌면 대리만족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그러한 며느리에 대한 미움이 덧없음과 무의미함을 비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 내면에는 공리주의적 시각이 다분히 깔려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나로서는 부인이 될 사람과 시어머니가 결코 처음부터 편한 관계는 될 수 없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올가미>는 전체적으로 결혼한 사람이면 누구나 겪었을 시어머니의 시집살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영화에서는 단지 시어머니의 입장을 좀 더 대변하고 과장해서 그렇게 며느리에게 무차별적인 폭행을 자행하는 모습을 만들어 낸 것 같다. 며느리가 싫은 시어머니들에게는 어쩌면 대리만족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그러한 며느리에 대한 미움이 덧없음과 무의미함을 비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 내면에는 공리주의적 시각이 다분히 깔려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나로서는 부인이 될 사람과 시어머니가 결코 처음부터 편한 관계는 될 수 없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추천자료
에이즈 기독교적 관점
낙태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
[사회문제]불교적 관점에서 본 유전공학(인간복제)
불교적 관점에서 본 환경
[환경보건윤리]환경정의를 정책의 관점에서 논하시오
가정폭력문제와 실태 사례 및 기독교 윤리학관점
안락사 (과학지상주의자 관점)
불교관점에서 본 존엄사
생명공학기술특허(BT특허)의 기본관점과 산업상 이용성, 생명공학기술특허(BT특허)의 미생물...
인간복제 기독교적 관점, 기독교적 세계관, 특징, 사례, 관리, 시사점, 나의견해, 총체적 조...
사회복지의 이론적 관점
죽음의 이해(죽음에 대한 관점), 죽음수용단계, 죽음의 의미, 죽음에 대한 두려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