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불교적 관점에서 본 유전공학(인간복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물질적 환원주의와 분자생물학
2. 유전공학 기술의 현황과 전망
3. 돌리 복제의 생명공학적 의미
4. 인간 유전체 연구와 유전자 조작현황
5. 인간복제의 가능성
6. 유전공학의 윤리적 문제
7. 불교적 관점에서 본 인간 유전자 조작
8. 불교적 관점에서 본 인간복제
9. 맺는 말
각주

본문내용

밝히기 위해 생명의 근원을 통해 생명의
가치를 찾지 않으려 했던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 생명은 물질
에서 나왔다고 해서 무가치하다거나 조물주가 창조했다고 해서 더
신성해지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생명의 가치는 밖으로부터 주어지
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자신에게 부여해 가는 것이다. 복제된 인
간이 자기 자신을, 아니면 제삼자가 복제 인간을 도덕적으로 무가
치하다거나 무의미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복제된 인간 자신의 현
재나 미래도 결국 그 쌓인(또는 쌓을) 업(業)에 의해 그 가치가 결
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결국 복제된 인간도 더 나아가 복제 인간을
복제하는 인간도 그 자신의 미래는 자기가 쌓은 업에 의해서 스스
로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다.
각주모음
1) 동국대학교 철학과 강사
2) Robert Augros 외, 오인혜 외 옮김, 《새로운 생물학(The New
Biology)》, 범양사출판부, 1994. p.11
3) 이세영, 좌담 <생명공학과 인류의 전망>, 계간 《과학사상》 제22호
(1997년 가을), 범양사출판부, p.38.
4) 홍욱희, "현대생물학의 조류와 비전(5)", 계간 《과학사상》 제16호
(1996년 봄), 범양사출판부, p.249.
5) Robert Augros 외, 위의 책, p.23.
6) 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 지식산업사, 1990, p.154.
7) 제레미 리프킨, 《엔트로피 Ⅱ, Algeny》, 김용정 옮김, 원음출판사,
1984, p.53.
8) 7)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1994, 과학기술처. 한국과학기자
클럽토론회 <동물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과학기자클럽
(1997. 3. 19), p.17에서 재인용.
9) 홍욱희, 앞의 글, p.261.
10) 제레미 리프킨, 앞의 책, pp.19∼20.
11) 서정선, "생명체 복제기술의 문제점", 특집 <생명체복제, 현황과
문제점>, 《과학과 기술》 제30권 제6호(1997년 6월),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 pp.52~55. 본 논문 주 13 참조.
12) 국내에서 1997년 3월∼8월 사이에 생명복제 문제를 다룬 세미
나와 문헌은 다음과 같다.
집 <복제인간 탄생 멀지 않다>, 《뉴스위크 한국판》, 중앙일보사
(3. 12), pp.14∼26.
·특집 <인간복제시대>, 《주간조선》, 조선일보사(3. 13), pp.50∼
58.
·TIME 특집 <인간복제목장>, 《주간한국》, 한국일보사(3. 20),
pp.64∼70.
·한국과학기자클럽토론회 <동물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논문 3편,
한국과학기자클럽(3. 19).
·<인간복제에 관한 심포지엄> 논문 6편 발표, 아산재단 서울중앙
병원(4. 24).
·불기 2541년 부처님 오신 날 기념 학술세미나 <불교의 시각에서
본 생명복제> 논문 5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5. 9).
·특집 <생명공학의 비윤리성과 반생태성> 논문 4편, 격월간 《녹
색평론》 1997년 5∼6월호(제34호), 녹색평론사.
·특집<생명체복제, 현황과 문제점> 논문 8편, 월간 《과학과 기
술》 1997년 6월호(제30권 제6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특집<생명복제, 기독교 신앙, 인류의 미래>논문 6편, 월간 《기독
교 사상》1997년 7월호(제463권), 재단법인 대한기독서회.
·특집<생명조작과 인간복제> 논문 6편 및 좌담, 계간《과학사
상》1997년 가을호(제22호), 범양출판부.
13) 황우석, "생명공학기술과 인간생활", 한국과학기자클럽토론회 <동
물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과학기자클럽(1997년 3월 19일),
p.21.
14) 서정선, 앞의 글, p.55.
15) 이필렬, "첨단기술인가, 재앙인가", 《녹색평론》 제35호(1997년
7∼8월), pp.5∼6.
16) 홍욱희, "현대생물학의 조류와 비전(6)", 계간 《과학사상》 제18
호(1996년 가을), pp.227∼228. 게놈(genome)은 본래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에서 gen + ome를 딴 것이기 때문에 우리 나라
에서의 게놈 연구를 정착하기 위해 우리말 번역을 '유전체'로 하기로
약속되었다(1996. 11. 4.). 백상기, 용어해설 "게놈", 계간 《과학사
상》 제22호(1997년 가을), p.180 참조.
17) 16) 홍욱희, 앞의 글, p.230.
18) 한상복, 좌담 <생명과학과 인류의 미래>, 계간 《과학사상》 제22
호(1997년 가을), 범양사출판부, pp.24∼25.
19) <동아일보> 제23618호(1997. 8. 10일자), p.18 참조.
20) <조선일보> 제23646호(1997. 3. 7일자), p.9 참조.
21) <인간복제에 관한 심포지엄>(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1997.
4. 24) 토론 중에서.
22) 진교훈, "생명조작과 인간복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 계간 《과학사
상》 제22호(1997년 가을), 범양사출판부, pp.85∼86.
23) 김환석, "양의 복제, 시민의 침묵", 《녹색평론》 제34호(1997년 5∼
6월), p.109.
23) 제레미 리프킨, 앞의 책, pp.23∼24.
24) 정승석, "인간복제의 불교적 의미", 계간 《과학사상》 제22호
(1997년 가을), 범양사출판부, p.113.
25) 정승석, "인간복제의 불교적 의미", 계간 《과학사상》 제22호
(1997년 가을), 범양사출판부, pp.117∼118.
26) 사삿끼 게준 외, 《업사상》, 이태영 외 옮김, 대원사, 1990, p.41에
서 재인용.
27) 금장태, 좌담 <생명복제기술과 인류의 미래>, 계간 《과학사상》
제22호(1997년 가을), 범양사출판부, pp.27∼28.
28) 계간 《과학사상》 제11호(1994년 겨울), 범양사출판부, 특집 <사
회생물학> 및 좌담 <인간, 유전자, 문화> 참조.
29) 정승석, 앞의 글, pp.121∼122.
30) 하두봉, "생명과학의 발달과 전통윤리관의 동요", 《현대과학과 윤
리》, 민음사, 1988. pp.84∼85.
31) 하두봉, "생명과학의 발달과 전통윤리관의 동요", 《현대과학과 윤
리》, 민음사, 1988. pp.84∼85.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12.2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