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지방 관사의 기구
3. 지방 관사의 구성과 촌주의 위치
4. 촌주의 계층 분화
5. 맺음말과 함께 생각해볼 문제
2. 지방 관사의 기구
3. 지방 관사의 구성과 촌주의 위치
4. 촌주의 계층 분화
5. 맺음말과 함께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있었다.
지방관 바로 밑에 위치하여 이직자 위에 군림한 촌주는 중앙의 통제력에 약해지는 나말려초에 호족으로 성장하여 가지만 그 길은 단순하지만은 않았고 다른 촌주와의 세력 다툼을 통한 도태 과정을 지나면서 승리한 촌주는 뒤에 오는 고려조에서 명실공히 중앙의 入仕職으로 진출하거나 재지의 호장이 되었고, 그렇지 못한 촌주는 호족의 관반이 되었으며 후에는 일반 인민과 다를 바 없는 촌장·촌정으로 몰락해 갔다.
내시령 이하 여러 吏職名이 ≪삼국사기≫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까닭이 지방마다 이름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성급한 판단이라 여겨진다. 만일 그렇게 생각하려면 먼저 신라의 지방 토착 세력이 중앙 정부 세력보다 강력하였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앞서 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두번째로 신라의 지방 자치가 상당한 발전을 이루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아울러 각각의 지방이 서로의 교류가 전혀 없거나 독자성을 강하게 나타내기 전에도 역시 마찬가지의 일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村主라는 이름이 ≪삼국사기≫에 나와 있고 또한 후대의 사료이지만 당대등과 대등 따위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면, 과연 위와 같은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지방관 바로 밑에 위치하여 이직자 위에 군림한 촌주는 중앙의 통제력에 약해지는 나말려초에 호족으로 성장하여 가지만 그 길은 단순하지만은 않았고 다른 촌주와의 세력 다툼을 통한 도태 과정을 지나면서 승리한 촌주는 뒤에 오는 고려조에서 명실공히 중앙의 入仕職으로 진출하거나 재지의 호장이 되었고, 그렇지 못한 촌주는 호족의 관반이 되었으며 후에는 일반 인민과 다를 바 없는 촌장·촌정으로 몰락해 갔다.
내시령 이하 여러 吏職名이 ≪삼국사기≫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까닭이 지방마다 이름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성급한 판단이라 여겨진다. 만일 그렇게 생각하려면 먼저 신라의 지방 토착 세력이 중앙 정부 세력보다 강력하였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앞서 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두번째로 신라의 지방 자치가 상당한 발전을 이루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아울러 각각의 지방이 서로의 교류가 전혀 없거나 독자성을 강하게 나타내기 전에도 역시 마찬가지의 일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村主라는 이름이 ≪삼국사기≫에 나와 있고 또한 후대의 사료이지만 당대등과 대등 따위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면, 과연 위와 같은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추천자료
삼국시대 지방행정 조직의 변화
조선시대 지방행정체제의 특징
남북국시대의 문학―통일신라와 발해
분권화시대 중앙관료지배체제의 한계점과 지방의회의 위상 및 기능강화
세계화시대 대구 지방정부 공동브랜드, 쉬메릭
[역사유적, 문화사, 지방사, 선사시대, 강진군, 여수시, 해남군]역사유적과 문화사, 역사유적...
[일제시대행정, 일제강점기행정]일제시대행정(일제강점기행정)과 지방제도개혁, 일제시대행정...
문학과 신분 [서동요, 화랑도 모죽지랑가, 신라 시대 신분제, 통일 신라 시대 신분제, 홍길동...
[한국중세사] 고려시대의 정치기구 및 지방제도와 과거제도
[교육사 敎育史] 교육의 역사 (고대 삼국시기부터 조선후기까지) - 고대 삼국 시기, 통일신라...
(한국복식문화)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하...
(한국복식문화 공통)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
[한국복식문화 공통자료]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