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하대 지방 관사와 촌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2. 지방 관사의 기구

3. 지방 관사의 구성과 촌주의 위치

4. 촌주의 계층 분화

5. 맺음말과 함께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있었다.
지방관 바로 밑에 위치하여 이직자 위에 군림한 촌주는 중앙의 통제력에 약해지는 나말려초에 호족으로 성장하여 가지만 그 길은 단순하지만은 않았고 다른 촌주와의 세력 다툼을 통한 도태 과정을 지나면서 승리한 촌주는 뒤에 오는 고려조에서 명실공히 중앙의 入仕職으로 진출하거나 재지의 호장이 되었고, 그렇지 못한 촌주는 호족의 관반이 되었으며 후에는 일반 인민과 다를 바 없는 촌장·촌정으로 몰락해 갔다.
내시령 이하 여러 吏職名이 ≪삼국사기≫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까닭이 지방마다 이름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성급한 판단이라 여겨진다. 만일 그렇게 생각하려면 먼저 신라의 지방 토착 세력이 중앙 정부 세력보다 강력하였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앞서 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두번째로 신라의 지방 자치가 상당한 발전을 이루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아울러 각각의 지방이 서로의 교류가 전혀 없거나 독자성을 강하게 나타내기 전에도 역시 마찬가지의 일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村主라는 이름이 ≪삼국사기≫에 나와 있고 또한 후대의 사료이지만 당대등과 대등 따위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면, 과연 위와 같은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0.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