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문화)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복식문화)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두식에 대하여
(1) 상대시대
(2) 통일신라
(3) 조선시대
2. 관모에 대하여
(1) 상대시대
(2) 통일신라
(3) 조선시대
Ⅲ. 결 론

본문내용

금속으로 만든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반지 따위도 발달하여 찬란한 금속 장신구 문화를 이루었다. 이것은 삼국시대 복식 문화의 특정이 되었으며 찬란한 예술문화를 꽃피웠다. 통일신라 시대의 금제 뒤꽂이와 장식 빗에서도 그 일면을 엿볼 수 있다.
2) 통일신라
삼국시대 복식의 기본형 관모인 책, 절풍, 조우관 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라시대의 관모로 특징적인 것은 금관과 복두가 있다.
금관은 중국의 것에 비해 금관의 영락(구술을 꿰어 만든 장식품)과 곡옥(굽은 옥)의 금색과 옥색의 조화,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동적인 미와 정지시의 정적인 미, 기술적인 세공미등이 뛰어 났다.
복두는 중국에서 생겨난 관모로서 태종무열왕 초에 사용하기 시작해서 흥덕왕 9년에 모든 계급 남자들의 쓰개로 규정되었다.
3) 조선시대
(1)망 건관 자풍 잠탕 건
성인남자가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위로 걷어올리기 위하여 이마에 쓰는 건을 망건이라한다. 관자는 망건에 달아 망건의 당줄을 걸어넘기는 역할은 하는 작은 고리로 그 재료에 따라 관리의 계급을 표시하는 역할도 하였다. 풍잠은 망건 앞에 다는 장식품으로 갓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탕건은 망건의 덮개로 평상시 집안에서 맨상투로 있을 수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착용하도록 만든 것이다.
(2)정자관사방관
집안에서 착용하던 관들로, 정자관은 산자형을 2단3단으로 만든 것이며, 사방관은 윗면이 사각이고 윗부분이 막혀있는 형태이다.
(3)평량자[패랭이]초립흑립
챙이 있는 형태로 평량자에서 초립갓이 생겨나고, 갓을 흑칠하여 생겨난 것이 흑립이다. 흑립은 흔히 갓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양반만의 전용물이었다.
4)남바위 풍차 휘항
방한모의 일종들로, 남바위와 풍차는 귀와 머리부분을 가리되 정수리 부분은 트여있는 형태인데, 남바위는 볼끼를 떼었다 붙였다하며, 풍차는 볼끼가 함께 붙은 상태로 만들어진 것이다. 휘항도 정수리 부분은 트여있으며, 뒤가 길어 작은 것은 뒤통수와 목을 두르고 큰 것은 어깨와 등도 덮을 수 있는 형태이다.
(5)유 건 복 건
유건과 복건은 검은색으로 만들며, 주로 유생들이 착용하였다. 유건은 양측으로 귀가 나 있고 끈을 달아 갓끈처럼 매는 형태이며, 복건은 위는 둥글고 뾰족하며 뒤는 넓고 긴 자락을 늘어져 있는데, 양옆에 끈이 있어 뒤로 잡아매게 만든 것이다.
Ⅲ. 결 론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나라 머리모양새에 관한 최초의 문헌상 글은 <증보문헌비고>에 쓰인 “단군원년(BC2333)에 머리를 땋고 개수하는 법을 가르쳤다”는 기록이다. 또한 BC3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 중 사람 얼굴 형상을 한 뼈비녀가 출토되기도 하였으니 당시의 정확한 머리 모양새를 알 수는 없어도 꽤 오래전부터 머리를 장식하곤 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미자, 『우리 옷 이천 년』, 미술문화(2008)
유희경, 『한국 복식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2002)
홍나영, 『말하는 옷 : 한반도 복식 문화사』, 보림(2015)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9.16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