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롤로그
1. 서론
2. 정보영역에서의 경제 종속 원리
- 허버트 쉴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3. 경제적 우위에 기반 한 미국의 기본 정책
1) NII(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정책
2) HPCC(High Performance Computing & Communications) 정책
4. 미국 주도의 정보불평등 재생산
1) 정보기술산업(소프트웨어 산업)에서 나타나는 정보불평등의 예 - MS의 독점
2) 정보기술 관련산업에서의 정보불평등의 예 - 유통업 중심으로
① 월마트
② 세계 최대 스포츠화 업체 나이키
③ 전자상거래
3) 시장에서의 표준규정과 관련된 정보불평등의 예- 글로벌스탠더드의 선점(先占)
5. 제 3세계의 전략
1) 핀란드- 이동통신 사업의 성공과 그 의미
① 핸드폰 회사 노키아(Nokia)의 성장
② 노키아가 핀란드에 가져온 것
③ 핀란드의 미래
2) 인도- 인도형 "실리콘밸리"의 형성과 미래
① 인도의 비상
② 인도 소프트산업 성장의 배경
③ 인도의 미래
3) MSC 프로젝트 (Multimedia Super Corridor)
① SC프로젝트의 위기
② 시사점
1. 서론
2. 정보영역에서의 경제 종속 원리
- 허버트 쉴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3. 경제적 우위에 기반 한 미국의 기본 정책
1) NII(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정책
2) HPCC(High Performance Computing & Communications) 정책
4. 미국 주도의 정보불평등 재생산
1) 정보기술산업(소프트웨어 산업)에서 나타나는 정보불평등의 예 - MS의 독점
2) 정보기술 관련산업에서의 정보불평등의 예 - 유통업 중심으로
① 월마트
② 세계 최대 스포츠화 업체 나이키
③ 전자상거래
3) 시장에서의 표준규정과 관련된 정보불평등의 예- 글로벌스탠더드의 선점(先占)
5. 제 3세계의 전략
1) 핀란드- 이동통신 사업의 성공과 그 의미
① 핸드폰 회사 노키아(Nokia)의 성장
② 노키아가 핀란드에 가져온 것
③ 핀란드의 미래
2) 인도- 인도형 "실리콘밸리"의 형성과 미래
① 인도의 비상
② 인도 소프트산업 성장의 배경
③ 인도의 미래
3) MSC 프로젝트 (Multimedia Super Corridor)
① SC프로젝트의 위기
② 시사점
본문내용
# 프롤로그
"영국을 지배하는 인물 1위에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가 꼽혔다. 그러나 2위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빌 게이츠 회장이 선정됐고,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말로써 세계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3위에 올랐다.
영국 일간지 더 타임스는 26일 '영국인들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을 설문조사한 결과, 4∼6위에는 미디어 황제인 호주 태생 루퍼트 머독, 고든 브라운 영국 재무장관,에디 조지 영국 중앙은행 총재가 올랐다고 전했다. 왕실에서는 찰스 왕세자가 36위,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47위에 랭크됐다.
총리 대변인 알라스테어 캠벨(9위)과 총리 비서실장 필립 굴드(40위), 재무부 자문관 에드 볼스-구스 오도넬(공동 46위),총리 정책팀장 데이비드 밀리번드(69위), 총리실 조정관 제레미 헤이우드(77위) 등 총리실 고위 인사들이 대거 선정됐다. 타임스는 "자문관이 조언을 하고 장관은 결정한다"는 마거릿 대처 전 총리의 말을 인용하면서, "세번이나 총리를 지낸 대처가 100위권에서 탈락한 것을 볼 때,영국에서의 권력의 본질이 바뀌고 있다"고 분석했다."
위의 짧은 기사 한편을 보고 우리는 무슨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당신이 만약에 영국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비즈니스맨이라고 하자. 당신은 전략적으로 엘리자베스 여왕과 친분이 있다는 상당히 비싼 로비스트를 고용하였다. 그러나 이 기사를 이전에 접했다면 당신은 엘리자베스 여왕보다는 찰스 황태자와 친분이 있는 로비스트를 고용하지 않았을까?
영국에 영향력있는 인물 2위를 빌 게이츠가 차지할 것이라고 몇 명이나 짐작했을까?
이런 류의 조사가 과연의 얼마나 많은 국가들에서 자유롭게 조사되고 또 그 결과를 자유롭게 유포될 수 있을까?
모든 사람에게 이 기사가 유용할까?
1. 서론
본 보고서는 '개인간'이 아닌 '국가간'의 정보불평등에 초점을 맞추었고, 국가를 크게 제 1세계와 제 3세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우선 논의의 명확함을 위해 '제 3세계'라는 개념을 정의 내리고 시작하도록 하겠다. 익히 알고 있듯이 기존의 개념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국가를 제1세계, 구소련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체제 국가를 제2세계 그리고 그 밖의 국가군을 제3세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제1세계와 제2세계의 이데올로기적 대립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새로이 경제전쟁이 시작되고 있는 지금, 제3세계를 기본적으로 경제력 제일의 선진국이며 인터넷 종주국인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군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인다. 물론 여기서 다른 기술선진국들, 예를 들면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을 제3세계로 보는 것은 이들 국가들도 정보 영역의 차원에서 미국에 어느 정도 종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국을 지배하는 인물 1위에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가 꼽혔다. 그러나 2위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빌 게이츠 회장이 선정됐고,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말로써 세계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3위에 올랐다.
영국 일간지 더 타임스는 26일 '영국인들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을 설문조사한 결과, 4∼6위에는 미디어 황제인 호주 태생 루퍼트 머독, 고든 브라운 영국 재무장관,에디 조지 영국 중앙은행 총재가 올랐다고 전했다. 왕실에서는 찰스 왕세자가 36위,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47위에 랭크됐다.
총리 대변인 알라스테어 캠벨(9위)과 총리 비서실장 필립 굴드(40위), 재무부 자문관 에드 볼스-구스 오도넬(공동 46위),총리 정책팀장 데이비드 밀리번드(69위), 총리실 조정관 제레미 헤이우드(77위) 등 총리실 고위 인사들이 대거 선정됐다. 타임스는 "자문관이 조언을 하고 장관은 결정한다"는 마거릿 대처 전 총리의 말을 인용하면서, "세번이나 총리를 지낸 대처가 100위권에서 탈락한 것을 볼 때,영국에서의 권력의 본질이 바뀌고 있다"고 분석했다."
위의 짧은 기사 한편을 보고 우리는 무슨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당신이 만약에 영국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비즈니스맨이라고 하자. 당신은 전략적으로 엘리자베스 여왕과 친분이 있다는 상당히 비싼 로비스트를 고용하였다. 그러나 이 기사를 이전에 접했다면 당신은 엘리자베스 여왕보다는 찰스 황태자와 친분이 있는 로비스트를 고용하지 않았을까?
영국에 영향력있는 인물 2위를 빌 게이츠가 차지할 것이라고 몇 명이나 짐작했을까?
이런 류의 조사가 과연의 얼마나 많은 국가들에서 자유롭게 조사되고 또 그 결과를 자유롭게 유포될 수 있을까?
모든 사람에게 이 기사가 유용할까?
1. 서론
본 보고서는 '개인간'이 아닌 '국가간'의 정보불평등에 초점을 맞추었고, 국가를 크게 제 1세계와 제 3세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우선 논의의 명확함을 위해 '제 3세계'라는 개념을 정의 내리고 시작하도록 하겠다. 익히 알고 있듯이 기존의 개념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국가를 제1세계, 구소련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체제 국가를 제2세계 그리고 그 밖의 국가군을 제3세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제1세계와 제2세계의 이데올로기적 대립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새로이 경제전쟁이 시작되고 있는 지금, 제3세계를 기본적으로 경제력 제일의 선진국이며 인터넷 종주국인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군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인다. 물론 여기서 다른 기술선진국들, 예를 들면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을 제3세계로 보는 것은 이들 국가들도 정보 영역의 차원에서 미국에 어느 정도 종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인터넷 정보격차
21세기 정보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계
지식정보사회의 전자정부 구축방안 (A+레포트)
[사회복지개혁]사회복지개혁 과제 심층 분석(미시적, 거시적 관점 사회복지, 사회복지 전달체...
정보화의 이행으로 나타나는 공적인 서비스의 변화
[정보화사회]정보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특징과 정보화사회의 현황 및 미래 정보화사회를 위한...
정보화 시대의 진전과정과 정부역할의 변화 과정
[차세대기술][기술]차세대 광전송기술, 차세대 LCD기술, 차세대 FED기술, 차세대 EDI기술, 차...
정보화, 로봇, 뇌를 통해 바라본 미래사회
정보전과 사이버전의 차이점과 사이버전 발전방향
사회복지조사론)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아래의 논문을 찾아서 사회복지 조사연구의 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