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선사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⑴ 자연 환경과 한민족의 형성
자연환경
한민족의 형성

⑵ 구석기 문화
유적의 발견과 발굴
구석기시대의 생활

⑶ 중석기문화

⑷ 신석기 문화
유적의 발굴
① 주거지
② 무덤
③ 조개더미
신석기시대의 생활

본문내용

의 후기로, 이 때의 도구로는 땅을 일구는 돌괭이와 낟알이나 이삭을 따는 데 사용했던 반달돌칼, 곡식을 가는 데 사용된 갈판 등이 있으며, 피 또는 조 등의 탄화(炭化)도 황해도 지탑리에서 출토되었다.
신석기인의 집터는 땅을 넓게 파서 만든 움집과 자연동굴(수혈주거)이나 인공적인 동굴로 된 동굴주거의 두 가지가 있었지만, 이 가운데 움집이 보다 일반적인 주거형태였다. 수혈은 원형 또는 모가 둥근 방형의 것이 대부분인데, 중앙에는 취사와 난방을 위한 화덕이 있고 낮에 햇볕을 많이 받는 동남쪽과 서남쪽에 출입문을 두었으며, 화덕 옆이나 출입문 부근에는 저장구덩을 만들어 음식물이나 여러 가지 도구들을 저장하였다. 움집의 크기는 대개 직경 5m, 깊이 60㎝정도이고, 면적은 18㎡정도로 성인 4인이 생활하기 적당한 것이었다. 한 유적에서 발견된 집터의 수는 그리 많지 않아 신석기시대의 취락은 매우 작은 규모였음을 알 수 있다.
구석기시대의 무리사회가 신석기시대로 들어오면서 부족사회를 이루었을 것으로 전설이나 유습(遺習)으로 추측하지만 한 유적에서 여러 개의 주거지가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들은 취락을 형성하여 정착적인 농경생활을 영위하면서 혈연관계가 확산된 부족사회로 발전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부족사회는 아직까지도 권력과 계급이 발생하지 않은 평등사회로서 부족장은 부족을 대표하는 지도자에 불과하고 결코 지배자가 아니었다. 부복사회의 기본단위는 씨족이며, 이들은 혈연에 의한 집단으로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다. 씨족공동체는 평등사회로서 모든 씨족원이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씨족의 중대한 일은 씨족회의에서 결정하였다. 또한 이들 씨족은 각각 폐쇄적인 독립사회를 이루고 있었으며, 점차 다른 씨족과의 족외혼을 통하여 보다 큰 집단인 부족을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신석기인들은 자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므로 그에 대한 신앙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산이나 물, 천둥과 번개의 자연현상에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는 애니미즘 신앙으로 자연물을 숭배하였다. 특히 인간생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양에 대한 숭배가 으뜸이 되었고, 이러한 신앙심은 우리 나라 고대사에서 최근까지 크게 작용한 일신(日神)에 대한 사상으로 하늘을 숭배하는 사상으로 이어지게 했다. 또한 인간이 죽은 후에도 영혼은 불멸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이것을 연결하는 역할자로 등장하는 무당을 주술사로 인정하며 씨족원들은 악귀를 물리쳐야 할 때, 또는 환난으로부터 구제를 받고자 할 때 더욱 무당의 존재를 인정하는 샤머니즘이 유행했던 것이다. 당시의 이러한 샤머니즘은 그 후에도 오래 지속되어 우리의 근본적 주체성과 의 관계에서 많은 연구를 해야 할 가치를 지니는 민속신앙이 되었다. 그리고 자연물에 대한 숭배와는 달리 동물에 관련시키는 토테미즘에서 기원했던 바를 단군왕검이나 삼한의 천군의 신화에서 알 수 있다.
빗살무늬토기는 반란형(半卵形)토기의 빗살무늬나 어골문 등에서 신석기시대의 예술품으로 대표되고 있으며, 목걸이·팔지 등의 출토는 이 시대의 장신구의 제작과 이에 따른 미적 감각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짐승의 뿔이나 뼈로 사람, 말, 뱀 등의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호신부(護身符)는 당시의 신앙심을 측정하게 하며, 서포항이나 청진의 농포동과 부산의 동삼동에서 발굴되는 흙이나 돌로 만든 조각품 그리고 울주 반구대 유적에서의 암각화 등은 놀라운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석기시대 후기부터는 정착생활을 하면서 농경문화가 시작되었고 동물숭배의 생활풍속이나 무격신앙은 세계 여러 나라와 공통된 원시신앙의 단면으로 시조신 또는 수호신을 받들기 위한 제단과 태양숭배문화로 나타났던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0.0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