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목적
2. 보행자 도로
2.1 보행자 전용도로와 보행권의 개념
2.2 보행자 도로의 성립배경
2.3 보행자 공간의 목표 및 역할
2.4 보행자 도로의 구분
2.4.1 보행자 공간의 유형
2.4.2 보행자와 차량에 의한 보차분리의 유형
2.4.3 보차분리의 방법
2.5 보행자 도로와 관련된 현행 법적기준
2.6 보행자 도로 설계기준 및 계획기법
2.7 보행교통의 특성
3. 국내 보행자 도로의 문제점
3.1 보행환경의 문제점
4. 해외 우수 보행자 도로 사례
5.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
6. 결론
2. 보행자 도로
2.1 보행자 전용도로와 보행권의 개념
2.2 보행자 도로의 성립배경
2.3 보행자 공간의 목표 및 역할
2.4 보행자 도로의 구분
2.4.1 보행자 공간의 유형
2.4.2 보행자와 차량에 의한 보차분리의 유형
2.4.3 보차분리의 방법
2.5 보행자 도로와 관련된 현행 법적기준
2.6 보행자 도로 설계기준 및 계획기법
2.7 보행교통의 특성
3. 국내 보행자 도로의 문제점
3.1 보행환경의 문제점
4. 해외 우수 보행자 도로 사례
5.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
6. 결론
본문내용
혼용도로를 이용해 적절히 혼합한다.
[설계이슈]
- 보차도 경계석을 없애고 포장, 가로 장치물, 식재 등의 장치로 차량 속도를 늦춰 보행자 우선의 보차 혼용 공간을 만든다.
[설계전략]- 교통량이 보통인 정도일 때만 사용한다. (피크 타임 이용은 100-300대/시간이다.)
- 보차 혼용도로에서는 언제나 보행자가 우선된다.
- 차량 속도를 보행속도 정도로 낮추어 준다.(12-20KM/H 이하)
- 범퍼, 꺾여진 길, 좁은 길 등을 이용해 차량 속도를 통제한다.
- 과속을 유발하는 시야가 터진 도로를 만들지 않는다.
- 차량과 보행자가 분리되어 있다는 느낌(다른 포장재료의 사용,경계석 등)을 주지 않는다.
- 보도의 느낌을 주는 장치(식재, 포장 등)를 25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한다.(운전석에서 보이는 높이와 위치에)
- 놀이터는 볼라드, 펜스 등으로 차량과 확실하게 구분한다.
- 수직 요소로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플랜터 등은 자동차의 차체 높이인 75CM 이하로 설치한다.)
- 주차장은 뚜렷하게 구별되도록 포장한다.
- 차량 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가 야간에도 잘 보이도록 조명 설치 (네덜란드의 경우 높이 3.5M에 25M 간격으로 조명 설치)
- 보차 혼용도로의 입구와 출구는 포장의 변화나 사인 등으로 명확하게 표시한다.(아직은 낮선 개념이므로 운전자가 주의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 내년부터 도시계획 기준 적용
내년부터는 비도시 지역에 있는 철도역,자동차정류장,유원지,시장,운동장등도 도시계획 시설기준을 따라야 한다.보행자 전용도로와 자전거 전용도로가 일반도로와 엇갈려 만날 때는 보행자도로와 자전거도로의 구조물을 우선설치해야 하고 공원·학교·문화시설 등과 원활하게 연계돼야 한다.
길음뉴타운 보행자 중심 녹색도시로 꾸민다
2. 시민이 인지하는 생활도로 보행장애 요인
환경과 인간행태 사이를 매개하는 주요한 심리적 변인은 인지적, 영향적 태도와 반응, 지각 등의 혼합이며, 이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장희준 1996). 시민들이 생활도로의 불편요소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가 있다. 시민의식조사는 생활도로의 주민과 도로이용자가 생활도로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하는 내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생활도로에서 보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시민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보행장애 요인에 대한 시민 인식’을 1차 설문조사 항목에 포함시켰다. 설문방식은 12개의 보행환경침해 요소 - ① 높은 보도 턱 ②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음 ③ 도로가 파손되거나 노면이 불량함 ④ 도로상 차량 주차로 불편(보도 상 주차 포함) ⑤ 차량 경적음 등 소음 ⑥ 차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⑦ 난폭운전 하는 차량이 너무 많음 ⑧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상가의 물건 진열 포함) ⑨ 횡단보도가 부족함 ⑩ 공사로 인한 통행 불편 ⑪ 쓰레기나 오물이 많음 ⑫ 조명이 부족하거나 없음 -를 예시하고, 주택가 생활도로의 보행 환경을 해치거나 보행자 안전에 지장을 주는 것들 가운데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중요한 순위대로 3개를 선택하도록 했고, 아무 문제 없음과 기타 항목을 추가한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했다.
제1순위의 응답 결과는 생활도로 보행환경에서 시민들이 어떤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지를 단순빈도 합산과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로상 차량 주차로 불편 26.6%’ ‘보도와 차도 구분이 없음 15.8%’ ‘차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12.4%’ ‘도로 파손과 노면 불량 10.0%’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 10.0%’ ‘난폭운행하는 차량이 너무 많다 8.9%’ 등이 중요한 문제로 선택했다.
우선순위에 상관 없이 단순 빈도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보도상 주차를 포함한 도로상 주차 문제로 인한 불편’으로 전체 응답자 중 139명이 지적했으며, ‘공사 등으로 인한 불편’에는 103명, ‘상가의 물건 진열 등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로 인한 불편’에는 98명이 응답했다. 이밖에도 ‘차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보도와 차도 구분이 없음’, ‘난폭운행 하는 차량이 너무 많은’ 등이 중요한 불편 요인으로 지적됐다.
이간은 응답결과는 현재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생활도로의 보행장애 요인에서 생활도로의 주차장화로 인한 보행 불편이 가장 큰 요소이기 때문에 생활도로
교통운영의 기본원칙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보차도 미구분 등 도로 구조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통과차량의 과다나 난폭운행 차량의 과다 등은 교통규제와 교통안전 정책 시행의 필요성을 시민들이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구분
제1순위
제2순위
제3순위
제4순위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높은 보도 폭
7
2.7
2
0.8
4
1.5
13
1.7
보도와 차고 구분이 없음
41
15.8
25
9.7
19
7.3
85
11.0
도로가 파손되거나 노면이 불량함
26
10.0
25
9.7
25
9.7
76
9.8
도로상 차량 주차로 불편(보도 상 주차 포함)
69
26.6
44
17.0
26
10.0
139
17.9
차량 경적음 등 소음
5
1.9
13
5.0
14
5.4
32
4.1
처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32
12.4
28
10.8
19
7.3
79
10.2
난폭운행 하는 차량이 너무 많음
23
8.9
26
10.0
14
5.4
63
8.1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
(상가의 물건 진열 포함)
26
10.0
47
18.1
25
9.7
98
12.6
횡단보도가 부족함
8
3.1
5
1.9
23
8.9
36
4.6
공사로 인한 통행 불편
18
6.9
28
10.8
57
22.0
103
13.3
쓰레기나 오물이 많음
3
1.2
13
5.0
16
6.2
32
4.1
조명이 부족하거나 없음
1
0.4
3
1.2
13
5.0
17
2.2
아무 문제 없음
ㆍ
ㆍ
ㆍ
ㆍ
1
0.4
1
0.1
기타
ㆍ
ㆍ
ㆍ
ㆍ
2
0.8
2
0.3
무응답
ㆍ
ㆍ
ㆍ
ㆍ
1
0.4
1
0.1
합계
259
100.0
259
100.0
259
100.0
776
100.0
[설계이슈]
- 보차도 경계석을 없애고 포장, 가로 장치물, 식재 등의 장치로 차량 속도를 늦춰 보행자 우선의 보차 혼용 공간을 만든다.
[설계전략]- 교통량이 보통인 정도일 때만 사용한다. (피크 타임 이용은 100-300대/시간이다.)
- 보차 혼용도로에서는 언제나 보행자가 우선된다.
- 차량 속도를 보행속도 정도로 낮추어 준다.(12-20KM/H 이하)
- 범퍼, 꺾여진 길, 좁은 길 등을 이용해 차량 속도를 통제한다.
- 과속을 유발하는 시야가 터진 도로를 만들지 않는다.
- 차량과 보행자가 분리되어 있다는 느낌(다른 포장재료의 사용,경계석 등)을 주지 않는다.
- 보도의 느낌을 주는 장치(식재, 포장 등)를 25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한다.(운전석에서 보이는 높이와 위치에)
- 놀이터는 볼라드, 펜스 등으로 차량과 확실하게 구분한다.
- 수직 요소로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플랜터 등은 자동차의 차체 높이인 75CM 이하로 설치한다.)
- 주차장은 뚜렷하게 구별되도록 포장한다.
- 차량 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가 야간에도 잘 보이도록 조명 설치 (네덜란드의 경우 높이 3.5M에 25M 간격으로 조명 설치)
- 보차 혼용도로의 입구와 출구는 포장의 변화나 사인 등으로 명확하게 표시한다.(아직은 낮선 개념이므로 운전자가 주의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 내년부터 도시계획 기준 적용
내년부터는 비도시 지역에 있는 철도역,자동차정류장,유원지,시장,운동장등도 도시계획 시설기준을 따라야 한다.보행자 전용도로와 자전거 전용도로가 일반도로와 엇갈려 만날 때는 보행자도로와 자전거도로의 구조물을 우선설치해야 하고 공원·학교·문화시설 등과 원활하게 연계돼야 한다.
길음뉴타운 보행자 중심 녹색도시로 꾸민다
2. 시민이 인지하는 생활도로 보행장애 요인
환경과 인간행태 사이를 매개하는 주요한 심리적 변인은 인지적, 영향적 태도와 반응, 지각 등의 혼합이며, 이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장희준 1996). 시민들이 생활도로의 불편요소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가 있다. 시민의식조사는 생활도로의 주민과 도로이용자가 생활도로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하는 내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생활도로에서 보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시민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보행장애 요인에 대한 시민 인식’을 1차 설문조사 항목에 포함시켰다. 설문방식은 12개의 보행환경침해 요소 - ① 높은 보도 턱 ②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음 ③ 도로가 파손되거나 노면이 불량함 ④ 도로상 차량 주차로 불편(보도 상 주차 포함) ⑤ 차량 경적음 등 소음 ⑥ 차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⑦ 난폭운전 하는 차량이 너무 많음 ⑧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상가의 물건 진열 포함) ⑨ 횡단보도가 부족함 ⑩ 공사로 인한 통행 불편 ⑪ 쓰레기나 오물이 많음 ⑫ 조명이 부족하거나 없음 -를 예시하고, 주택가 생활도로의 보행 환경을 해치거나 보행자 안전에 지장을 주는 것들 가운데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중요한 순위대로 3개를 선택하도록 했고, 아무 문제 없음과 기타 항목을 추가한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했다.
제1순위의 응답 결과는 생활도로 보행환경에서 시민들이 어떤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지를 단순빈도 합산과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로상 차량 주차로 불편 26.6%’ ‘보도와 차도 구분이 없음 15.8%’ ‘차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12.4%’ ‘도로 파손과 노면 불량 10.0%’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 10.0%’ ‘난폭운행하는 차량이 너무 많다 8.9%’ 등이 중요한 문제로 선택했다.
우선순위에 상관 없이 단순 빈도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보도상 주차를 포함한 도로상 주차 문제로 인한 불편’으로 전체 응답자 중 139명이 지적했으며, ‘공사 등으로 인한 불편’에는 103명, ‘상가의 물건 진열 등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로 인한 불편’에는 98명이 응답했다. 이밖에도 ‘차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보도와 차도 구분이 없음’, ‘난폭운행 하는 차량이 너무 많은’ 등이 중요한 불편 요인으로 지적됐다.
이간은 응답결과는 현재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생활도로의 보행장애 요인에서 생활도로의 주차장화로 인한 보행 불편이 가장 큰 요소이기 때문에 생활도로
교통운영의 기본원칙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보차도 미구분 등 도로 구조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통과차량의 과다나 난폭운행 차량의 과다 등은 교통규제와 교통안전 정책 시행의 필요성을 시민들이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구분
제1순위
제2순위
제3순위
제4순위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높은 보도 폭
7
2.7
2
0.8
4
1.5
13
1.7
보도와 차고 구분이 없음
41
15.8
25
9.7
19
7.3
85
11.0
도로가 파손되거나 노면이 불량함
26
10.0
25
9.7
25
9.7
76
9.8
도로상 차량 주차로 불편(보도 상 주차 포함)
69
26.6
44
17.0
26
10.0
139
17.9
차량 경적음 등 소음
5
1.9
13
5.0
14
5.4
32
4.1
처량 운행량이 너무 많음
32
12.4
28
10.8
19
7.3
79
10.2
난폭운행 하는 차량이 너무 많음
23
8.9
26
10.0
14
5.4
63
8.1
보도 위의 각종 장애물
(상가의 물건 진열 포함)
26
10.0
47
18.1
25
9.7
98
12.6
횡단보도가 부족함
8
3.1
5
1.9
23
8.9
36
4.6
공사로 인한 통행 불편
18
6.9
28
10.8
57
22.0
103
13.3
쓰레기나 오물이 많음
3
1.2
13
5.0
16
6.2
32
4.1
조명이 부족하거나 없음
1
0.4
3
1.2
13
5.0
17
2.2
아무 문제 없음
ㆍ
ㆍ
ㆍ
ㆍ
1
0.4
1
0.1
기타
ㆍ
ㆍ
ㆍ
ㆍ
2
0.8
2
0.3
무응답
ㆍ
ㆍ
ㆍ
ㆍ
1
0.4
1
0.1
합계
259
100.0
259
100.0
259
100.0
776
100.0
추천자료
횡단보도에서 보행자특성별 속도
고속도로의 역사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건설의 필요성과 장단점
한국도로공사의 효율화 방안에 대해서
우리나라 자전거 도로와 외국의 자전거 도로의 예와 비교
경의선철도의 역사와 의미, 경의선철도연결사업의 추진배경, 경의선철도연결사업의 추진현황,...
[도로터널방재시설][도로터널방재시설 재점검][도로터널방재시설 개선 방안]도로터널방재시설...
[보고서]해외의 교통 개선 사례(Car-sharing)
(A+자료) 친환경 자전거 관광교통전략을 통한 활성화 방안 조사분석
[아동안전관리] 영국의 유아교육의 이념, 영국의 유아교육기관의 종류, 영국의 교통안전교육,...
한국도로공사 인사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주차문제] 주차문제의 해결방안 ; 주차문제의 정책적 현황과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