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 등장인물을 통해서 본 American Dream
Ⅰ. Jay Gatsby를 통해서 본 American Dream
Ⅱ. The Buchanans와 Myrtle Wilson을 통해서 본 American Dream
Ⅲ. Nick Carraway를 통해서 본 이상적인 American Dream
Ⅲ. 결 론
Ⅱ. 본 론 - 등장인물을 통해서 본 American Dream
Ⅰ. Jay Gatsby를 통해서 본 American Dream
Ⅱ. The Buchanans와 Myrtle Wilson을 통해서 본 American Dream
Ⅲ. Nick Carraway를 통해서 본 이상적인 American Dream
Ⅲ. 결 론
본문내용
ver it was that kept them together, and let other people clean up the mess they had made
활기찬 New York의 도발적이며, 모험적인 느낌이 좋았던 Nick은 the Buchanans의 물질에 심취한 생활을 지켜봄으로써, 동부의 생활을 경멸하게 된다. 결국 그는 초라하게 보였던, 그러나 그의 조상이 살았던 동부로 돌아옴으로써 잠시 잊었던 도덕의 세계로 되돌아온다. Nick이 돈을 벌어 성공하겠다는 꿈을 품고 갔던 동부의 물질세계에 물들지 않고 꿈과 낭만이 깃든 서부로 돌아올 수 있게 된 것도 바로 그의 도덕성 덕택이다. 그의 부모가 물려준 도덕성은 미국의 역사의식에서 생각해 볼 때 puritanism에서 가장 강하게 볼 수 있으며, puritanism이 American Dream의 한 지류로 볼 때, 이상적인 American Dream은 도덕성의 내재에 있다고 보겠다. 즉 American Dream이 이상과 물질의 적절한 결합이라면 이들을 이상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것이 바로 morality이다.
따라서 현실적이면서 꿈을 갖고, 돈을 벌어 성공하기를 원하는 moralist인 Nick이 바로 이상적인 American Dreamer라고 볼 수 있다. 작가는 Nick을 홀로 서부로 되돌아가게 하며 다음과 같이 Nick으로 하여금 American Dream에 대한 정의를 내리게 함으로써 그가 바로 작가 자신이 추구하는 American Dreamer라는 것을 독자에게 확인시켜준다.
I became aware of the old island here that flowered once for Dutch-sailors' eyes-a fresh green breast of the new world. Its vanished trees, the trees that had made...
man must have held his breath in the presence of this continent, compelled into and aesthetic contemplation he neither understood nor desired, face to face for the last time in history with something commensurate to his capacity for wonder.
Ⅲ. 결 론
자아실현을 위한 순수한 이상주의와 이를 뒷받침해 주는 경제의 원동력인 물질주의가 조화를 이룬 것을 이상적인 American Dream으로 보았을 때, 당시(The Jazz Age)는 분명히 후자의 추구에 훨씬 더 가까운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부와 직결되는 과정을 펼쳐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의 추구를 좀 더 깊이 살펴보면 이상과 물질의 대립과 승패를 볼 수 있다. 첫째, 부를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만 삼을 뿐, 오로지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헌신을 바치는 Gatsby는 이상주의의 대변인으로 세워졌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부를 갖추었으나 그 자체에는 어떠한 가치도 두지 않고, 또 현실감의 부족으로 소유할 수 있는 능력도 없다.
둘째, 거대한 부를 소유하였으나 소유를 넘어 인간의 숭고한 정신세계를 인식치 못하는 the Buchanans와 속물적인 Myrtle은 물질주의의 대변자로 세워졌다. 이들의 정신적으로 황폐한 생활은 당시(The Jazz Age)의 많은 사람들의 생활의 단면을 그대로 비쳐 주는 것이라고 보겠다.
현대의 거대한 물질은 이상을 능가한다. Idealism의 상징인 Gatsby는 자신이 세웠던, green light의 실체이며 Materialism의 상징인 Daisy부부에 의해서 파멸된다. Gatsby의 죽음을 통하여 이상을 추구하는 자는 사회적으로 실패자이고, 현실적인 물질을 추구하는 자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자가 된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Gatsby의 죽음은 개인의 죽음이 아니라 미국 이상의 죽음이며 현대사회는 물질이 이상을 능가하는 사회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 준다.
그러나 작가는 이 작품을 단순한 비극으로 결말짓지 않고 비극 뒤에 내재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작가는 결론에서 주요한 상징물인 green light에 다음과 같이 미래의 희망을 안겨 줌으로써 이 작품을 비극적 요소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있다.
Gatsby believed in the green light, the organistic future that year by tear recedes before us. It eluded us then, but that's no matter-to-morrow will run faster, stretched out our arms further...And one fine morning-So we beat on, boats against the current, borne back ceaselessly int the past.
이처럼 책의 끝 부분에 가서야 비로소 등장인물들에 대한 평가를 내리며 희망적인 미래를 암시해 주는 인물이 바로 셋째, moralist Nick Carraway이다. 이상과 현실이 양극을 달리는 인물들 사이를 오가며 극단적인 Gatsby의 이상도 취하지 않고 the Buchanans의 물질주의에도 비판을 가하는 그는 결국 이상을 물질의 우위에 둔다. 냉정하고 지성적이면서 인간미를 갖춘 Nick은 이상과 물질의 사이에서 중용의 태도를 취한다. 물질과 조화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체를 도덕성(morality)으로 볼 때 도덕성이야말로 인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품성이라고 본다.
따라서 소극적이지만 물질과 이상이 조화를 이룬 moralist인 Nick이야 말로 진정한 현대의 American Dreamer이다. 그는 선조들이 희망을 품고 항해를 해 오듯이 삶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우리에게 심어 주며 고향인 서부로 돌아간다. 이처럼 The Great Gatsby는 The Jazz Age를 대변하는 풍속소설이 아니라 시대를 넘어선, American Dream을 형상화한 작품이라고 하겠다.
활기찬 New York의 도발적이며, 모험적인 느낌이 좋았던 Nick은 the Buchanans의 물질에 심취한 생활을 지켜봄으로써, 동부의 생활을 경멸하게 된다. 결국 그는 초라하게 보였던, 그러나 그의 조상이 살았던 동부로 돌아옴으로써 잠시 잊었던 도덕의 세계로 되돌아온다. Nick이 돈을 벌어 성공하겠다는 꿈을 품고 갔던 동부의 물질세계에 물들지 않고 꿈과 낭만이 깃든 서부로 돌아올 수 있게 된 것도 바로 그의 도덕성 덕택이다. 그의 부모가 물려준 도덕성은 미국의 역사의식에서 생각해 볼 때 puritanism에서 가장 강하게 볼 수 있으며, puritanism이 American Dream의 한 지류로 볼 때, 이상적인 American Dream은 도덕성의 내재에 있다고 보겠다. 즉 American Dream이 이상과 물질의 적절한 결합이라면 이들을 이상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것이 바로 morality이다.
따라서 현실적이면서 꿈을 갖고, 돈을 벌어 성공하기를 원하는 moralist인 Nick이 바로 이상적인 American Dreamer라고 볼 수 있다. 작가는 Nick을 홀로 서부로 되돌아가게 하며 다음과 같이 Nick으로 하여금 American Dream에 대한 정의를 내리게 함으로써 그가 바로 작가 자신이 추구하는 American Dreamer라는 것을 독자에게 확인시켜준다.
I became aware of the old island here that flowered once for Dutch-sailors' eyes-a fresh green breast of the new world. Its vanished trees, the trees that had made...
man must have held his breath in the presence of this continent, compelled into and aesthetic contemplation he neither understood nor desired, face to face for the last time in history with something commensurate to his capacity for wonder.
Ⅲ. 결 론
자아실현을 위한 순수한 이상주의와 이를 뒷받침해 주는 경제의 원동력인 물질주의가 조화를 이룬 것을 이상적인 American Dream으로 보았을 때, 당시(The Jazz Age)는 분명히 후자의 추구에 훨씬 더 가까운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부와 직결되는 과정을 펼쳐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의 추구를 좀 더 깊이 살펴보면 이상과 물질의 대립과 승패를 볼 수 있다. 첫째, 부를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만 삼을 뿐, 오로지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헌신을 바치는 Gatsby는 이상주의의 대변인으로 세워졌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부를 갖추었으나 그 자체에는 어떠한 가치도 두지 않고, 또 현실감의 부족으로 소유할 수 있는 능력도 없다.
둘째, 거대한 부를 소유하였으나 소유를 넘어 인간의 숭고한 정신세계를 인식치 못하는 the Buchanans와 속물적인 Myrtle은 물질주의의 대변자로 세워졌다. 이들의 정신적으로 황폐한 생활은 당시(The Jazz Age)의 많은 사람들의 생활의 단면을 그대로 비쳐 주는 것이라고 보겠다.
현대의 거대한 물질은 이상을 능가한다. Idealism의 상징인 Gatsby는 자신이 세웠던, green light의 실체이며 Materialism의 상징인 Daisy부부에 의해서 파멸된다. Gatsby의 죽음을 통하여 이상을 추구하는 자는 사회적으로 실패자이고, 현실적인 물질을 추구하는 자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자가 된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Gatsby의 죽음은 개인의 죽음이 아니라 미국 이상의 죽음이며 현대사회는 물질이 이상을 능가하는 사회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 준다.
그러나 작가는 이 작품을 단순한 비극으로 결말짓지 않고 비극 뒤에 내재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작가는 결론에서 주요한 상징물인 green light에 다음과 같이 미래의 희망을 안겨 줌으로써 이 작품을 비극적 요소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있다.
Gatsby believed in the green light, the organistic future that year by tear recedes before us. It eluded us then, but that's no matter-to-morrow will run faster, stretched out our arms further...And one fine morning-So we beat on, boats against the current, borne back ceaselessly int the past.
이처럼 책의 끝 부분에 가서야 비로소 등장인물들에 대한 평가를 내리며 희망적인 미래를 암시해 주는 인물이 바로 셋째, moralist Nick Carraway이다. 이상과 현실이 양극을 달리는 인물들 사이를 오가며 극단적인 Gatsby의 이상도 취하지 않고 the Buchanans의 물질주의에도 비판을 가하는 그는 결국 이상을 물질의 우위에 둔다. 냉정하고 지성적이면서 인간미를 갖춘 Nick은 이상과 물질의 사이에서 중용의 태도를 취한다. 물질과 조화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체를 도덕성(morality)으로 볼 때 도덕성이야말로 인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품성이라고 본다.
따라서 소극적이지만 물질과 이상이 조화를 이룬 moralist인 Nick이야 말로 진정한 현대의 American Dreamer이다. 그는 선조들이 희망을 품고 항해를 해 오듯이 삶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우리에게 심어 주며 고향인 서부로 돌아간다. 이처럼 The Great Gatsby는 The Jazz Age를 대변하는 풍속소설이 아니라 시대를 넘어선, American Dream을 형상화한 작품이라고 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