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압을 합친 것보다도 크다.
“과거를 반복할 수 없다고요? …… 아뇨, 그럴 수 있고말고요!”(116/159;6장)라는 개츠비의 유명한 말은 이러한 맥락에서 더욱 각별한 의미로 읽힌다. 이 말은 소설 내용의 정신분석학적 토대에 함축된 전제를 드러내는 징후이기 때문이다. 그 전제란, 억압된 정신적 상처들은 그 상처들을 되풀이하여 불러낼 것을 명령한다는 것이다. 데이지를 향한 개츠비의 고독한 여정은 젊은 날 경험했던 고독의 재현이며, 데이지를 위해 구입한 저택에 머물며 그가 느끼는 이방인과 같은 기분(개츠비는 그 집에서 침실만을 사용하며, 개인 소장품 역시 침실에 둔다) 역시 어렸을 때 부모와 함께 살면서 느꼈을 바로 그 기분일 것이다. 개츠비가 부모에게서 더없이 혹독한 상처를 입은 것은 분명하다. 그 상처는 데이지에게서 버림받을 때 입은 상처보다도 혹독한 것이었다. 데이지가 톰과 결혼했을 때 입은 상처보다도, 그리고 머틀 윌슨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그녀를 다시 톰에게 빼앗겼을 때 입은 상처보다도 말이다. 그러므로 ≪위대한 개츠비≫는 작품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낭만적 관계가 어떻게 정신적 상처들에 대한 억압을 용이하게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주체를 필연적으로 (소설의 마지막 줄에 담긴 적절한 표현처럼) “끊임없이 과거로”(189/255;9장) 이끌어 가는지 보여 주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심화 학습|
: 기타 문학작품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다음 질문들은 본보기로서 제시된 것이다. 언급된 문학작품이나 직접 고른 작품을 정신분석학으로 해석하려 할 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져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 번째 질문은 특히 라캉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유용하다.
1. ‘억압된 것의 귀환’을 이해하면,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Beloved≫(1987)에 등장하는 환생한 빌러비드(노예로 살았던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과거를 체현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와 시이드, 폴 디, 흑인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2. 죽음 작업이 주변 상황에 투사되는 방식을 이해하면,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의 ≪암흑의 핵심Heart of Darkness≫(1902)의 화자 말로를 해석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3. 부인과 전치 개념을 이해하면, 틸리 올슨Tillie Olsen의 <나는 여기 서서 다림질을 한다 I Stand Here Ironing>(1956)에 등장하는 화자와 힘든 시기를 보낸 그녀의 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이 경우, 전치는 남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자녀에게로 옮겨지는 양상에 해당될 것이다)
4. 억압, 초자아, 꿈의 상징(특히 감정 또는 섹슈얼리티를 상징하는 물[水]) 등을 이해하면,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의 <일찍 나섰네, 개를 데리고 I started Early-Took my Dog)(1862)를 해석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5.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1818)에서 주인공 빅토르가 경험하는 것들은 어떤 점에서 상상계에 대한 향수 및 상징계와의 갈등 관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는가? 나아가 엘리자베스와 클레르발은 어떤 점에서 대상 a를 향한 빅토르의 욕망이 전치된 존재라고 말할 수 있는가? 심지어 빅토르가 괴물을 만들어 내려는 동기도 그러한 욕망이 전치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면 어떤 점에서 그러한가?
|더 읽을 거리|
Davis, Walter A. "The Drama of the Psychoanalytic Subject." Inwardness and Existence:Subjectivity in/and Hegel, Heidegger, Marx, and Freud. MMadison :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9. (특히 “The Familial Genesis of the Psyche," 242-250 ; ”Identity and Sexuality," 296-307 ; "Love Stories," 307-313을 볼 것)
Dor, Joel.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Lacan:The Unconscious Structured Like a Language. New York:Ohter Press, 1998.
Freud, Sigmund. The Complete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Trans, James Strachey. New York:W. W. Norton, 1966.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강의≫와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를 한 권의 책으로 묶은 영역본]
__________. The Freud Reader. Ed. Peter Gay. New York:W. W. Norton, 1989.
__________.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1900. Rpt. in The basic Writings of Sigmund Freud. Trans. Dr. A. A. Brill, ed, New York:Modern Library, 1938. 180-549. [지그문트 프로이트, ≪꿈의 해석≫]
Jung, Carl.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Vol. 0, Part Ⅰ of Collected Works. 2nd ed. Trans. R. F. C. Hull. Princeton:Princeton Univerity Press, 1968. [C. G. Segal, Hanna. Introduction to the Work of Melanie Klein. 2nd ed. New York:Basic Books, 1974.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Harmondsorth, U.K. :Penguin, 1977.
Wright, Elizabeth. Psychoanalytic Criticism:Theory in Practice. New York:Methuen, 1984. [엘리자베드 라이트, ≪정신분석비평:이론과 실제≫, 권택영 옮김, 문예출판사, 1989.]
“과거를 반복할 수 없다고요? …… 아뇨, 그럴 수 있고말고요!”(116/159;6장)라는 개츠비의 유명한 말은 이러한 맥락에서 더욱 각별한 의미로 읽힌다. 이 말은 소설 내용의 정신분석학적 토대에 함축된 전제를 드러내는 징후이기 때문이다. 그 전제란, 억압된 정신적 상처들은 그 상처들을 되풀이하여 불러낼 것을 명령한다는 것이다. 데이지를 향한 개츠비의 고독한 여정은 젊은 날 경험했던 고독의 재현이며, 데이지를 위해 구입한 저택에 머물며 그가 느끼는 이방인과 같은 기분(개츠비는 그 집에서 침실만을 사용하며, 개인 소장품 역시 침실에 둔다) 역시 어렸을 때 부모와 함께 살면서 느꼈을 바로 그 기분일 것이다. 개츠비가 부모에게서 더없이 혹독한 상처를 입은 것은 분명하다. 그 상처는 데이지에게서 버림받을 때 입은 상처보다도 혹독한 것이었다. 데이지가 톰과 결혼했을 때 입은 상처보다도, 그리고 머틀 윌슨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그녀를 다시 톰에게 빼앗겼을 때 입은 상처보다도 말이다. 그러므로 ≪위대한 개츠비≫는 작품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낭만적 관계가 어떻게 정신적 상처들에 대한 억압을 용이하게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주체를 필연적으로 (소설의 마지막 줄에 담긴 적절한 표현처럼) “끊임없이 과거로”(189/255;9장) 이끌어 가는지 보여 주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심화 학습|
: 기타 문학작품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다음 질문들은 본보기로서 제시된 것이다. 언급된 문학작품이나 직접 고른 작품을 정신분석학으로 해석하려 할 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져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 번째 질문은 특히 라캉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유용하다.
1. ‘억압된 것의 귀환’을 이해하면,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Beloved≫(1987)에 등장하는 환생한 빌러비드(노예로 살았던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과거를 체현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와 시이드, 폴 디, 흑인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2. 죽음 작업이 주변 상황에 투사되는 방식을 이해하면,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의 ≪암흑의 핵심Heart of Darkness≫(1902)의 화자 말로를 해석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3. 부인과 전치 개념을 이해하면, 틸리 올슨Tillie Olsen의 <나는 여기 서서 다림질을 한다 I Stand Here Ironing>(1956)에 등장하는 화자와 힘든 시기를 보낸 그녀의 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이 경우, 전치는 남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자녀에게로 옮겨지는 양상에 해당될 것이다)
4. 억압, 초자아, 꿈의 상징(특히 감정 또는 섹슈얼리티를 상징하는 물[水]) 등을 이해하면,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의 <일찍 나섰네, 개를 데리고 I started Early-Took my Dog)(1862)를 해석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5.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1818)에서 주인공 빅토르가 경험하는 것들은 어떤 점에서 상상계에 대한 향수 및 상징계와의 갈등 관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는가? 나아가 엘리자베스와 클레르발은 어떤 점에서 대상 a를 향한 빅토르의 욕망이 전치된 존재라고 말할 수 있는가? 심지어 빅토르가 괴물을 만들어 내려는 동기도 그러한 욕망이 전치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면 어떤 점에서 그러한가?
|더 읽을 거리|
Davis, Walter A. "The Drama of the Psychoanalytic Subject." Inwardness and Existence:Subjectivity in/and Hegel, Heidegger, Marx, and Freud. MMadison :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9. (특히 “The Familial Genesis of the Psyche," 242-250 ; ”Identity and Sexuality," 296-307 ; "Love Stories," 307-313을 볼 것)
Dor, Joel.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Lacan:The Unconscious Structured Like a Language. New York:Ohter Press, 1998.
Freud, Sigmund. The Complete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Trans, James Strachey. New York:W. W. Norton, 1966.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강의≫와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를 한 권의 책으로 묶은 영역본]
__________. The Freud Reader. Ed. Peter Gay. New York:W. W. Norton, 1989.
__________.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1900. Rpt. in The basic Writings of Sigmund Freud. Trans. Dr. A. A. Brill, ed, New York:Modern Library, 1938. 180-549. [지그문트 프로이트, ≪꿈의 해석≫]
Jung, Carl.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Vol. 0, Part Ⅰ of Collected Works. 2nd ed. Trans. R. F. C. Hull. Princeton:Princeton Univerity Press, 1968. [C. G. Segal, Hanna. Introduction to the Work of Melanie Klein. 2nd ed. New York:Basic Books, 1974.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Harmondsorth, U.K. :Penguin, 1977.
Wright, Elizabeth. Psychoanalytic Criticism:Theory in Practice. New York:Methuen, 1984. [엘리자베드 라이트, ≪정신분석비평:이론과 실제≫, 권택영 옮김, 문예출판사, 1989.]
추천자료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상담목표, 과정, 기법을 기술, 공헌점(기여)과 비...
(정신건강)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상담심리학/3학년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
[정신건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과 방어적 기제에 대해서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융(Jung)의 분석심리이론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고 공통점...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성...
정신분석이론 - 정신역동적 미술 심리상담의 접근, 인본주의적 미술심리상담의 접근
인간人間과심리1공통)1. 심리학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
[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영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영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