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과학지식사회학
(1)사회적 구성주의의 등장
1)강한 프로그램
2)상대주의의 경험적 프로그램
3)실험실 연구
2.사회적 구성주의의 평가
(1)사회적 구성주의의 기여
1)학문적 차원에서
2)실천적 차원에서
(2)사회적 구성주의의 문제점
1)인식론적 특징
2)실천론의 문제
(1)사회적 구성주의의 등장
1)강한 프로그램
2)상대주의의 경험적 프로그램
3)실험실 연구
2.사회적 구성주의의 평가
(1)사회적 구성주의의 기여
1)학문적 차원에서
2)실천적 차원에서
(2)사회적 구성주의의 문제점
1)인식론적 특징
2)실천론의 문제
본문내용
.
2)실천론의 문제
첫째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지나친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판단적 상대주의' 또는 '도덕적 상대주의'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 과학지식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고 모든 진리 주장을 상대화 시켜 분석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오히려 실천적 판단과 개입의 가능성을 막을 수도 있다.
둘째로 인식론적 상대주의에서 과학지식연구자에게 요구하는 가치중립은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사회적 구성주의의 핵심 주장 중 하나가 과학지식의 가치중립성 부정이면서, 과학지식을 분석하는 연구자에게 중립적인 입장을 요구하는 것은 역설적이다.
셋째로 사회적 구성주의는 과학기술의 구성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고, 과학지식이 가지는 사회적 영향력과 문제들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2)실천론의 문제
첫째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지나친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판단적 상대주의' 또는 '도덕적 상대주의'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 과학지식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고 모든 진리 주장을 상대화 시켜 분석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오히려 실천적 판단과 개입의 가능성을 막을 수도 있다.
둘째로 인식론적 상대주의에서 과학지식연구자에게 요구하는 가치중립은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사회적 구성주의의 핵심 주장 중 하나가 과학지식의 가치중립성 부정이면서, 과학지식을 분석하는 연구자에게 중립적인 입장을 요구하는 것은 역설적이다.
셋째로 사회적 구성주의는 과학기술의 구성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고, 과학지식이 가지는 사회적 영향력과 문제들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