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요약
Ⅱ. 본론
Ⅲ. 요약
본문내용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시비지심)의 네 가지 마음인데, 이를 "사단"이라 한다. 그리고 이 사단
이 각각 단서가 되어타나는 인의예지의 덕을 "사덕"이라.
② 인(仁)과 의(義)
인간의 본서의 요약으로서 인은 따뜻하고 포용적인 사랑이며, 의는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구분하
는 사회적 정의이다.
③ 이상적 인간상
대장부 또는 대인이란 시비(是非)를 올바르게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언제나 옳은 일을
추구하여 지극히 크고 굳세며 올곧은 도덕적 기개인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야 한다.
④ 정치사상
* 왕도정치사상 - 인의의 덕으로 다스리는 덕치를 말한다.
* 민본주의적 혁명사상(역성혁명) - 백성이 가장 귀하고 국가가 그 다음이며 군주는 가장 가벼운
존재로 보고, 군주가 군주답지 못하면 군주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 순자(荀子)의 사상.
① 성악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남을 미워하며 자기의 본능적인 요구를 따르게 된다
② 사회혼란의 상황
인간이 이기적인 욕구로 인해 다툼이 생겨서 사양함이 없어지고, 인의를 해쳐서 충신이 없게 되
며, 음란함이 생겨서 예의가 없어진다.
③ 화성기위(化性起僞)
자연상태의 인간은 악하기 때문에, 선하게 되려는 인위적인 노력(성현들이 만든 예법을 배우는
것)을 통하여 악한 본성을 변화시켜서 선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④ 예(禮)사상
예란 인간의 질서 있는 생활을 외적으로 규제하는 도덕규범이며, 인의의 도덕이 실현되려면 외적
인 행동을 규제하는 예가 필요하다.
* 예치(禮治) - 예를 통하여 인간의 욕구를 절제함으로써 국가사회의 안정을 도모한다.
Ⅲ. 요 약.
동양 윤리 사상에는 도가(道家), 불가(佛家), 유가(儒家)가 있으며, 시대별로는 BC 6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도가, 불가, 유가순으로 발생하였다.
도가사상에는 노자의 사상과 장자의 사상으로 구분되는데, 무위자연의 삶과 소국과민을 주장하는 노자 사상
과 도와 제물을 강조하는 장자의 사상으로 대별된다.
불가사상으로는 이 세상의 존재방식을 원인과 결과로 설명하는 연기설, 고집멸도의 네가지 진리로 인간이
달성해야 할 목표와 삶의 방향을 말해주는 사성제와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모습에 대해 설명하는 삼법
인설이 있다,
유가사상에는 인(仁), 정명사상, 덕치, 대동사상을 강조하는 공자사상, 맹자의 성선설, 왕도정치, 민본주의적
혁명사상이 있으며, 성악설을 주장한 순자가 있다.
이 각각 단서가 되어타나는 인의예지의 덕을 "사덕"이라.
② 인(仁)과 의(義)
인간의 본서의 요약으로서 인은 따뜻하고 포용적인 사랑이며, 의는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구분하
는 사회적 정의이다.
③ 이상적 인간상
대장부 또는 대인이란 시비(是非)를 올바르게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언제나 옳은 일을
추구하여 지극히 크고 굳세며 올곧은 도덕적 기개인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야 한다.
④ 정치사상
* 왕도정치사상 - 인의의 덕으로 다스리는 덕치를 말한다.
* 민본주의적 혁명사상(역성혁명) - 백성이 가장 귀하고 국가가 그 다음이며 군주는 가장 가벼운
존재로 보고, 군주가 군주답지 못하면 군주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 순자(荀子)의 사상.
① 성악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남을 미워하며 자기의 본능적인 요구를 따르게 된다
② 사회혼란의 상황
인간이 이기적인 욕구로 인해 다툼이 생겨서 사양함이 없어지고, 인의를 해쳐서 충신이 없게 되
며, 음란함이 생겨서 예의가 없어진다.
③ 화성기위(化性起僞)
자연상태의 인간은 악하기 때문에, 선하게 되려는 인위적인 노력(성현들이 만든 예법을 배우는
것)을 통하여 악한 본성을 변화시켜서 선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④ 예(禮)사상
예란 인간의 질서 있는 생활을 외적으로 규제하는 도덕규범이며, 인의의 도덕이 실현되려면 외적
인 행동을 규제하는 예가 필요하다.
* 예치(禮治) - 예를 통하여 인간의 욕구를 절제함으로써 국가사회의 안정을 도모한다.
Ⅲ. 요 약.
동양 윤리 사상에는 도가(道家), 불가(佛家), 유가(儒家)가 있으며, 시대별로는 BC 6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도가, 불가, 유가순으로 발생하였다.
도가사상에는 노자의 사상과 장자의 사상으로 구분되는데, 무위자연의 삶과 소국과민을 주장하는 노자 사상
과 도와 제물을 강조하는 장자의 사상으로 대별된다.
불가사상으로는 이 세상의 존재방식을 원인과 결과로 설명하는 연기설, 고집멸도의 네가지 진리로 인간이
달성해야 할 목표와 삶의 방향을 말해주는 사성제와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모습에 대해 설명하는 삼법
인설이 있다,
유가사상에는 인(仁), 정명사상, 덕치, 대동사상을 강조하는 공자사상, 맹자의 성선설, 왕도정치, 민본주의적
혁명사상이 있으며, 성악설을 주장한 순자가 있다.
추천자료
흰바지 요족사회에 있어 성적 제의의 의미
정지용의 시문학에 관하여
낙태의 현황, 의미과 그 의의, 찬성 반대 의견
낙태의 정의,역사,현황,법률적 근거,방법 및 찬반논쟁에 대한 쟁점의 이해
동학농민운동과 한국전쟁
조선시대의 여류문학
[간통죄 존폐]간통죄에 대한 폐지 찬성의견과 반대의견을 알아보고, 생각해보자
후진타오시대의중국정치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로 인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2009년도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로 인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주거환경과 건강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A+) 고사와 성어의 탐구 전체정리 (중간+기말) 족보 완벽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