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실로스코프의 구조
2. 각부 명칭 및 기능
3. 사용 방법
4. 관측 파형의 값 계산
2. 각부 명칭 및 기능
3. 사용 방법
4. 관측 파형의 값 계산
본문내용
interference)를 발견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된다.
3. 사용 방법
▲ 초기 동작시 조정
POWER 스위치[1] : OFF
INTENSITY[3] : 중앙
FOCUS[4] : 중앙
AC-GND-DC 스위치[11,12] : DC
VOLT/DIV 스위치[13,14]
X5 MAG스위치[6] : X1
수직 POSITION 스위치[17,18] : 중앙
INV. 스위치[20] : NORM
VARIABLE 조절기[15,16] : 완전히 시계방향
TIME/DIV 스위치[22] : 0.5ms
TIME VARIABLE[23] : CAL
X20 MAG 스위치[21] : X1
수평 POSITION 조절기[26] : 중앙
TRIGGER MODE[27] : AUTO
TRIGGER SOURCE[28] : INT.VERT
TRIGGER LEVEL[30] : 중앙
SLOPE 스위치[33] : 튀어나온 상태
1) 스코프의 전원을 단락하고, Time-base스위치(Time/Div)를 EXT 또는 X-Y 위치로 고정하라. 잠시 후 스코프의 화면에 광점이 현시될 것이다. 만일 광점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휘도조절기(INTENSITY)를 조정하여 가늘고 선명한광점이 나타나도록 하여라. (###주의: 휘도가 너무 높으면 형과면을 손상하기 쉬우므로 휘도를 감소하거나 스코프를 관측하지 않을 경우에는 휘도(intensity)를 어둡게 하라.)
2) 만일 스코프의 화면중심에 선명한 광점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 위치조절기(vertical position) 또는 수평 위치조절기(horizontal position), 초점조절기(focus) 또는 휘도 조절기(intensity control)를 사용하여 선명한 광점이 나타나도록 하여라.
3) time-base 스위치(Time/Div)를 자동동작(automatic operation)으로 고정하라. 이 동작은 단순히 X-Y단자와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time-base스위치(Time/Div)를 조정하여 I ms/Div로 조정하고, 트리거 레벨은 정의 슬로프(positive slope)에 고정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A의 휘선(CH1의 휘선)이 현시된다. 휘도 조절기를 조정하여 선명한 휘선이 되도록 하라. 단 너무 밝은 휘선을 나타나게 하지마라.
4) 수평위치 조절기를 사용하여 휘선의 위치를 왼쪽 끝 지점으로 이동하라. Time/Div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CAL위치로 한 후 스코프의 수직 입력을 연결하여 스코프의 화면에 대략 2[V]의 교정전압을 나타나게 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난 교정전압을 Time/div를 조정하여 3개의 피크-피크 값을 갖는 교정된 파형이 나타나게 하라. (###주의: 교정전압을 변화시킬 수 없는 스코프의 경우에는 4) 6) 7)하지 말고 다음 순서 진행하라.)
5) Time/Div를 조정하여 CAL위치로 한 후 3개의 사이클이 나타나는 교정된 파형이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Time/Div를 조정하라.
6)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전압 출력을 대략 0.5[V]로 감소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현시 된 파형에서 이러한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7) 6)에서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 전압 출력을 대략 2~5[V]로 상승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라.
8) 6)에서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 전압 출력을 대략 2[V]로 고정하라. 스코프에는 대략 3개의 고정된 피크-피크 값과 3개의 사이클을 가진 교정 파형이 나타날 것이다.
9) Time/Div를 증가하라. 만일 Time/Div이 0.5[mV/Div]이면 다음으로 빠른 0.1 또는 0.2[mV/Div]로 고정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10) Time/Div를 감소하라. Time/Div이 0.5[mV/Div]이면 2[mV/Div]으로 고정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 X-Y 편향(X-Y Deflection)
X-Y 편향(X-Y Deflection) 또는 X-Y 모드(X-Y mode)란 시간축이 무시되고 수직 편향판에 사용된 것과 다른 별개의 입력신호가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두 개의 입력신호에 대한 관계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응용은 신호의 위상관계 측정에서 사용이다. 그림은 리사아쥬 도형(Lissajious Figure)이라 불리우는 그림을 나타낸다. 이 리사아쥬 도형은 일정한 비율 관계를 가진 정현파의 주파수가 사용될 때 나타난다.
<그림 : 리사아주 도형 : 수직 편향 주파수가 수평 편향 주파수의 완전한 곱>
만약 일정 비율을 갖지 않는 주파수가 공급되면 안정된 화면을 얻을 수 없다. 고정된 주파수 관계를 가진 신호에 대해서 화면을 통해 위상관계를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은 0도, 45도, 90도의 위상차를 가진 동일한 주파수의 정현파를 나타낸다.
<그림: 수평과 수직편향에 똑같은 주파수를 공급하는 경우의 리사아주 도형>
X-Y 모드가 사용되는 많은 응용예가 있다. 이들 중 많은 부분이 전자기기(electro-mechanical) 환경이다. 두 물리적 요소 사이의 관계는 물리량을 오실로스코프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바꾸어주는 적절한 에너지 변환기(transducers)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가 있는데 압력의 변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X-Y 모드는 두 개 상호 의존량의 상태를 찾아 다이오드의 특성을 그리는 따위의 부품측정을 위한 전자실험에도 사용될 수 있다.
4. 관측 파형의 값 계산
▲ 직류전압
DC 전압 = 광선이 이동한 칸 수 × (VOLT/DIV)지시한 값
▲ 교류전압
AC 전압[Vp-p] = 피크-피크간의 수직 거리 × 수직감쇠기 지시값(VOLT/DIV)
× 프로브 감쇄비
최대전압[Vm] = Vp-p / 2
실효전압[Vrms] =
▲ 주기 및 주파수의 측정
T(주기) = 한 주기간 수평거리(DIV) × 소인시간의 지시값(TIME/DIV)
× 수평확대비의 역수
3. 사용 방법
▲ 초기 동작시 조정
POWER 스위치[1] : OFF
INTENSITY[3] : 중앙
FOCUS[4] : 중앙
AC-GND-DC 스위치[11,12] : DC
VOLT/DIV 스위치[13,14]
X5 MAG스위치[6] : X1
수직 POSITION 스위치[17,18] : 중앙
INV. 스위치[20] : NORM
VARIABLE 조절기[15,16] : 완전히 시계방향
TIME/DIV 스위치[22] : 0.5ms
TIME VARIABLE[23] : CAL
X20 MAG 스위치[21] : X1
수평 POSITION 조절기[26] : 중앙
TRIGGER MODE[27] : AUTO
TRIGGER SOURCE[28] : INT.VERT
TRIGGER LEVEL[30] : 중앙
SLOPE 스위치[33] : 튀어나온 상태
1) 스코프의 전원을 단락하고, Time-base스위치(Time/Div)를 EXT 또는 X-Y 위치로 고정하라. 잠시 후 스코프의 화면에 광점이 현시될 것이다. 만일 광점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휘도조절기(INTENSITY)를 조정하여 가늘고 선명한광점이 나타나도록 하여라. (###주의: 휘도가 너무 높으면 형과면을 손상하기 쉬우므로 휘도를 감소하거나 스코프를 관측하지 않을 경우에는 휘도(intensity)를 어둡게 하라.)
2) 만일 스코프의 화면중심에 선명한 광점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 위치조절기(vertical position) 또는 수평 위치조절기(horizontal position), 초점조절기(focus) 또는 휘도 조절기(intensity control)를 사용하여 선명한 광점이 나타나도록 하여라.
3) time-base 스위치(Time/Div)를 자동동작(automatic operation)으로 고정하라. 이 동작은 단순히 X-Y단자와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time-base스위치(Time/Div)를 조정하여 I ms/Div로 조정하고, 트리거 레벨은 정의 슬로프(positive slope)에 고정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A의 휘선(CH1의 휘선)이 현시된다. 휘도 조절기를 조정하여 선명한 휘선이 되도록 하라. 단 너무 밝은 휘선을 나타나게 하지마라.
4) 수평위치 조절기를 사용하여 휘선의 위치를 왼쪽 끝 지점으로 이동하라. Time/Div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CAL위치로 한 후 스코프의 수직 입력을 연결하여 스코프의 화면에 대략 2[V]의 교정전압을 나타나게 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난 교정전압을 Time/div를 조정하여 3개의 피크-피크 값을 갖는 교정된 파형이 나타나게 하라. (###주의: 교정전압을 변화시킬 수 없는 스코프의 경우에는 4) 6) 7)하지 말고 다음 순서 진행하라.)
5) Time/Div를 조정하여 CAL위치로 한 후 3개의 사이클이 나타나는 교정된 파형이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Time/Div를 조정하라.
6)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전압 출력을 대략 0.5[V]로 감소하라. 스코프의 화면에 현시 된 파형에서 이러한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7) 6)에서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 전압 출력을 대략 2~5[V]로 상승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라.
8) 6)에서 사용한 Volts/Div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정 전압 출력을 대략 2[V]로 고정하라. 스코프에는 대략 3개의 고정된 피크-피크 값과 3개의 사이클을 가진 교정 파형이 나타날 것이다.
9) Time/Div를 증가하라. 만일 Time/Div이 0.5[mV/Div]이면 다음으로 빠른 0.1 또는 0.2[mV/Div]로 고정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10) Time/Div를 감소하라. Time/Div이 0.5[mV/Div]이면 2[mV/Div]으로 고정하라. 이 변화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라.
▲ X-Y 편향(X-Y Deflection)
X-Y 편향(X-Y Deflection) 또는 X-Y 모드(X-Y mode)란 시간축이 무시되고 수직 편향판에 사용된 것과 다른 별개의 입력신호가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두 개의 입력신호에 대한 관계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응용은 신호의 위상관계 측정에서 사용이다. 그림은 리사아쥬 도형(Lissajious Figure)이라 불리우는 그림을 나타낸다. 이 리사아쥬 도형은 일정한 비율 관계를 가진 정현파의 주파수가 사용될 때 나타난다.
<그림 : 리사아주 도형 : 수직 편향 주파수가 수평 편향 주파수의 완전한 곱>
만약 일정 비율을 갖지 않는 주파수가 공급되면 안정된 화면을 얻을 수 없다. 고정된 주파수 관계를 가진 신호에 대해서 화면을 통해 위상관계를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은 0도, 45도, 90도의 위상차를 가진 동일한 주파수의 정현파를 나타낸다.
<그림: 수평과 수직편향에 똑같은 주파수를 공급하는 경우의 리사아주 도형>
X-Y 모드가 사용되는 많은 응용예가 있다. 이들 중 많은 부분이 전자기기(electro-mechanical) 환경이다. 두 물리적 요소 사이의 관계는 물리량을 오실로스코프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바꾸어주는 적절한 에너지 변환기(transducers)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가 있는데 압력의 변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X-Y 모드는 두 개 상호 의존량의 상태를 찾아 다이오드의 특성을 그리는 따위의 부품측정을 위한 전자실험에도 사용될 수 있다.
4. 관측 파형의 값 계산
▲ 직류전압
DC 전압 = 광선이 이동한 칸 수 × (VOLT/DIV)지시한 값
▲ 교류전압
AC 전압[Vp-p] = 피크-피크간의 수직 거리 × 수직감쇠기 지시값(VOLT/DIV)
× 프로브 감쇄비
최대전압[Vm] = Vp-p / 2
실효전압[Vrms] =
▲ 주기 및 주파수의 측정
T(주기) = 한 주기간 수평거리(DIV) × 소인시간의 지시값(TIME/DIV)
× 수평확대비의 역수
키워드
추천자료
디지털논리실험 예비리포트
반전 증폭기의 설계 - 연산 증폭기를 이용하여 반전 증폭기를 설계하고 이를 분석한다.
반파정류, 브리지 정류회로 구성 - 정류기의 대표적인 종류를 알고 반파정류회로, 브리지정류...
[기계 시스템 공학 실험] 음압 및 소음도 측정
논리함수와 게이트
마이크로프로세서 Extend Intput Port using the 74HC165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3] MOSFET Circuit &#8211; Basic MOSFET Circuit 결과보고서 (A...
AC예비보고서 7
실험實驗01 파형관측및측정a
기초 실험용 계측장비 사용법(결과)(기초회로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