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장비
4. 실험 관련 이론
5. 관찰 및 결과
6. 결론 및 고찰
2. 실험 목적
3. 실험 장비
4. 실험 관련 이론
5. 관찰 및 결과
6.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시한다. 가상접지에 의해 증폭기 입력단자의 전압은 영(zero)이고 또한 연산증폭기의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기에 연산증폭기의 입력단자로 전류가 들어갈 수 없다. 연산증폭기가 이상적인 증폭기이면 신호전압의 형태나 주파수에 무관하게 위의 식이 성립된다. 즉 증폭도는 단순히 두 개의 저항비만에 의해서 결정된다. 위 식의 음의 부호는 신호전압 Vin 와 출력전압 Vout 간의 위상차가 180도 임을 가리킨다. 즉 반전 되었음을 나타낸다.
5. 관찰 및 결과
첫 번째 실험 두배의 전압차-----> 저항 1 = 1, 저항 2 = 2 사용
두 번째 실험 네배의 전압차-----> 저항 1 = 30, 저항 2 = 120 사용
세 번째 실험 다섯배의 전압차-----> 저항 1 = 30, 저항 2 = 150 사용
6. 결론 및 고찰
실험 결과 반전 증폭기는 입력 전압을 주게 되면 두 저항의 비에 따라 값은 변하게 되고 Vout=-(Rf/Rin)Vs
이 식에 의해서 무조건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번 학기 때 계측공학 및 실험이라는 과목을 들었는데 그 때 배웠던 이론들을 바탕으로 눈으로 직접보고 확인할 수 있게 되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다.
5. 관찰 및 결과
첫 번째 실험 두배의 전압차-----> 저항 1 = 1, 저항 2 = 2 사용
두 번째 실험 네배의 전압차-----> 저항 1 = 30, 저항 2 = 120 사용
세 번째 실험 다섯배의 전압차-----> 저항 1 = 30, 저항 2 = 150 사용
6. 결론 및 고찰
실험 결과 반전 증폭기는 입력 전압을 주게 되면 두 저항의 비에 따라 값은 변하게 되고 Vout=-(Rf/Rin)Vs
이 식에 의해서 무조건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번 학기 때 계측공학 및 실험이라는 과목을 들었는데 그 때 배웠던 이론들을 바탕으로 눈으로 직접보고 확인할 수 있게 되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