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혼모란 무엇인가?
Ⅱ. 미혼모 복지제도의 현황
Ⅲ. 미혼모 보호제도의 문제점
Ⅳ. 외국의 미혼모 복지제도
Ⅴ.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
Ⅵ. 결 론
Ⅱ. 미혼모 복지제도의 현황
Ⅲ. 미혼모 보호제도의 문제점
Ⅳ. 외국의 미혼모 복지제도
Ⅴ.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
Ⅵ. 결 론
본문내용
1 .미혼모 복지제도의 현황
1) 법적근거
1989년4월 모자복지법이 제정됨에 따라 제4조3항에서는 미혼여성(사실혼 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한다)을 모로 인정하고 모자가정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음을 명기하고 있으며, 동법 1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4조에는 생계비, 아동교육지원비, 직업훈련비 및 훈련기간중 생계비, 아동양육비등과 미혼모의 출산 전후 6월이내의 보호시설등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명시 되어 있다.
그외 산전산후 보호, 직업보도, 입양, 아동보호 등의 미혼모 복지서비스는 민법 제781조 2항아동복지법, 모자보건법, 윤락행위 등 방지법, 입양특례법등에 근거하고 있다.
2) 미혼모 복지기관의 현황
미혼모 복지기관으로는 상담서비스를 실시하는 부녀상담소 122개소(부녀상담소 28,간이 부녀상담소 94개소)와 시설보호를 위해, 정신교육 및 직업보도교육을 실시하는 부녀직업 보도시설 22개소중 미혼모를 위한 보호시설은 9개소가 있다. 미혼모가 아동을 양육할 때, 입소 할 수 있는 모자보호시설(모자원)이 서울에 7개소를 비롯하여 전국에 37 개소가 있다.
1) 법적근거
1989년4월 모자복지법이 제정됨에 따라 제4조3항에서는 미혼여성(사실혼 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한다)을 모로 인정하고 모자가정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음을 명기하고 있으며, 동법 1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4조에는 생계비, 아동교육지원비, 직업훈련비 및 훈련기간중 생계비, 아동양육비등과 미혼모의 출산 전후 6월이내의 보호시설등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명시 되어 있다.
그외 산전산후 보호, 직업보도, 입양, 아동보호 등의 미혼모 복지서비스는 민법 제781조 2항아동복지법, 모자보건법, 윤락행위 등 방지법, 입양특례법등에 근거하고 있다.
2) 미혼모 복지기관의 현황
미혼모 복지기관으로는 상담서비스를 실시하는 부녀상담소 122개소(부녀상담소 28,간이 부녀상담소 94개소)와 시설보호를 위해, 정신교육 및 직업보도교육을 실시하는 부녀직업 보도시설 22개소중 미혼모를 위한 보호시설은 9개소가 있다. 미혼모가 아동을 양육할 때, 입소 할 수 있는 모자보호시설(모자원)이 서울에 7개소를 비롯하여 전국에 37 개소가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미혼모 문제와 사회복지대책
미혼모의 실태와 복지정책
(가족복지) 미혼모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및 미혼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미혼모의 현황과 사회복지적인 대책
여성복지의 대상이 되는 여성문제의 유형 및 특성 중 미혼모에 대해서..
(여성복지)우리사회의 여성문제 분석 및 발전방안-미혼모 문제
[여성복지]여성 성폭력 미혼모 가정폭력
[가족복지론] 미혼모 가족과 가족복지
[A+평가 레포트]한국 미혼모의 실태와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미혼모정책 - 미혼모를 위한 복지정책 실태와 대안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점 및 복지대책
미혼모란,미혼모가 생긴 원인,미혼모 문제,현 복지정책 및 해결방안
현대사회의 여성복지(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사회복지 장애여성과 노인여성에 대한 사회복지...
[여성복지정책과 서비스] 여성복지의 기본정책 여성복지서비스 여성보호서비스 미혼모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