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 경영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국내기업의 윤리경영 현황

Ⅱ. 글로벌기업의 윤리경영 국제사례

Ⅲ. 윤리경영을 위한 제언

본문내용

적인 인권존중, 연소자 노동의 금지, 이해관계자 존중 등 넓은 의미로 보면 윤리경영 실천에 해당하는 항목들임
"전담조직과 시상제도를 통해 윤리의식을 고취"
- 「Sustainability Affairs 조직」에서 기업윤리 등 사회정책을 관장함
- 원래 환경문제를 전담하던 「Environment Affairs 조직」을 확대 개편함
- 외부 전문가 참여 자문위원회, 본사스탭, 각 지역별·사업별 관리부서로 구성함
선진기업의 윤리경영 시스템 (3C 기준)
윤리강령
(Code of conduct)
준수 감독조직
(Compliance check organization)
교육을 통한 공감
(Consensus by ethic education)
존슨앤존슨
·기업의 사회적 책임공표
(1935년)
·우리의신조(Our Credo)」제정 (1943년)
*36개국어로 번역
·인사부에서 담당
·승진 및 인사고과에 반영
·2년마다 종업원대상
설문조사
·임원대상의
Credo leadership 교육
·윤리적 의사결정
기법 교육
인터내셔널 페이퍼
·자원관리 책임서약
(Resource Stewardship)
·윤리강령
(Codes of Ethics) 제정
·윤리 및 비즈니스 관행
사무국 설치
·윤리핸드북 발간(17개국어)
·제보전화(Help Line) 운영
·제보전화를 통해 접수된 사례중심 교육
노드룹 그루만
·군수산업 윤리강령
(DII)에 서명
·기업 행위 표준 제정
(Standards of Business Conduct)
·기업윤리사무국 설치
·제보전화(Open Line) 운영
·직원설문조사를 통한 평가
·사례/토론 중심 교육
·임원은 셰익스피어
「헨리5세」를
교재로 교육
데이진(帝人)
·기업행동규범 제정
·기업윤리를 6대 경영
키워드 중 하나로 상정
·윤리위원회 설치
·윤리주간(매년 11월) 설정
·기업윤리강좌
·승진 및 임원필수 과목
ABB
·지속성장을 위한 사회
정책(Social Policy)공표
·「Sustainable Affairs」
조직에서전담
·Sustainability Award
제정 (상금 3만달러)
Ⅲ. 윤리경영을 위한 제언
가. 윤리경영은 일시적 유행이 아닌 시대적 요구사항임
1) 기업윤리는 여유있는 기업이 추진하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21세기 기업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요건임
-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기업은 소송 등으로 재무적 손실을 입으며 단한번의 실수로 존폐기로에 서게 됨
- 윤리경영시스템의 세계표준화 역시 대응을 해야할 새로운 과제임
·수동적으로 대응할 경우 과도한 정부규제를 초래하고 시행착오를 경험
·국내에서는 법·제도가 경영환경 변화를 신속히 반영하지 못하는 반면, 국민적 기대가 워낙 높아져 있어 윤리적 의사결정이 특히 긴요함
·중요한 의사결정시 법규 뿐 아니라 소비자와 국민들의 사회적 통념까지 고려해야 경영목표 달성이 가능한 상황임
- 윤리강령 제정 등의 형식적 측면을 넘어서 「3C」로 구성되는 윤리경영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도입하려는 노력이 절실함
2) 미국 엔론, 월드컴, 국내 SK 사건등을 목도하면서 윤리경영실천에 주력하고 있음
- 최근 윤리경영에 대한 의식변화가 일고 있으나 아직 초보단계에 머무르고 있음
- 아직 대부분의 기업은 "위법이 아니면 비윤리적이 아니다"라는 단계에 있고
윤리 정도경영을 기업의 「위기 관리차원」, 「이미지 및 효율성 제고차원」으로 접근하고 있음
◈ 국내기업의 윤리경영 향후 방향
·신뢰상실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방지하고 Global standard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 윤리경영 체계 도입 및 운용이 필요한 시점임
·특히 향후 국내외적으로 회계투명성을 비롯한 경영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윤리경영의 경영전략화는 더욱 중요하고 기업이 강화하여야 할 과제임
◈ 국내기업들은 '삼성과 GE' 윤리경영을 벤치마킹 대상으로 하고 있음
·윤리경영의 벤치마킹대상으로 국내기업으로는 삼성(34%)과 신세계(18%), 외국계기업으로는 GE(20%)와 존슨앤존슨(10%)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3) 최고경영자 주도로 사회적 압력에 선제대응이 중요함
- 윤리경영의 출발과 정착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지원이 필수적임
- 기업성과와의 관계가 애매하다는 이유로 윤리 프로그램 실행을 주저해서는 안됨
·Bell Atlantic, USAA 등은 CEO가 최고 윤리담당임원(Chief Ethics Officer)을 겸직하면서 윤리경영을 진두 지휘
- 이사회 내에 윤리위원회를 설치하거나 윤리담당자가 감사위원회 등에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함
·미국윤리담당임원협의회(EOA)의 조사에 따르면 2000년 기준 213개 대기업 중 약 25%가 이사회 산하에 윤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음
4) 기업가치를 높이는 실질적인 윤리경영 활동을 전개
- 윤리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들은 임직원의 조직충성도가 높음
·Walker Information(1999)사의 미국기업 조사에 따르면, 종업원의 윤리의식이 높은 기업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이직률이 낮게 나타남
- 윤리경영을 인력관리와 종업원 동기부여의 수단으로 전략적으로 활용함
- 윤리경영이 경영의 전과정에 통합되어야만 기업성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조직원들이 지지를 보내는 선순환고리가 작동됨
- 윤리경영을 기존의 감사기능이나 법무기능 등과 연관시켜 기업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도모하고 위험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활용함
5) 장기적으로 사회전반이 투명해져야 윤리경영이 정착됨
- 규제완화와 행정절차의 투명성은 윤리경영 확산의 선결요건임
- 자의성이 높은 정부규제가 지속되는 경영환경에서는 경영행태가 불가피하게 비윤리적이 됨 (신규사업 진출, 각종 인허가, 인수합병 등)
- 주변이 투명해지지 않은 채 기업들에게만 윤리규정 준수를 강요할 경우 법과 실제가 괴리되고 오히려 각종 편법이 동원될 우려가 발생함
- 윤리경영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이지만, 조기확산을 위해서는 국제적 기준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함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용평가시 가산점을 부과하거나 정부조달물자 및 발주사업 입찰시에 우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임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0.14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