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체계의 논점 자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snapping기능이 있다.
①General snapping
Tolerance을 지정해 놓으면 자료를 편집하는데 일반적으로 적용이 되는 기능을 말한 다.
②Interactive Snapping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Snapping에 대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부분이 Interactive> →
종류로는 Snap to Vertex, Boundary, Intersection, Endpoint 가 있다.
14. Shape를 편집할 때, Union, Combine, Intersect, Subtract의 차이를 설명하세요. 이왕이면 실제 사례를 들어서 어떠한 상황에서 이러한 편집방법을 사용하는지 제시하세요.
①Union
이 도구는 두개 이상의 사상(동일 사상)을 하나의 사상으로 합치는 역할을 한다. 실 행하기 위해서 합치고자 하는 것을 모두 선택을 하고 Edit 메뉴에서 선택하면 된다.

②Combine
두 사상의 교집합을 제외시키는 기능을 한다.

③Intersect
두 사상의 교집합 만을 남겨주는 기능을 한다.

④Subtract
두 사상이 겹쳐진 부분은 제외가 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남겨는 기능을 한다.
(위 쪽에 있는 부분이 남고, 아래쪽 면의 겹쳐진 부분은 제외가 된다.)

15. 테마와 테마간의 관계성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Select by Theme 기능을 이용하여 테마간의 관계성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6가지가 있습니다. 이들 각각의 개념을 설명하고, 실제 상황에서 어떠한 관계성을 측정하는지 한가지씩 사례를 들어보세요.
질의에서 Select by theme를 이용하면 구축되어 있는 자료 내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①Completely Contain
지역 내에 완전히 들어 있는 것을 선택한다.
(ex: 영남대학교 내의 건설들 - 폴리곤 내의 포인트 )
②Completely contain
지역 내에 완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을 선택한다.
③Have their center in
타겟의 중심이 완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을 선택한다.
(지역 전체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중심만 포함되면 된다.)
④Contain the center of
앞의 것과 반대로 타겟이 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선택
(유일하게 하나만 선택되어 진다.)
⑤Intersect
타켓과 선택된 것 간에 교차하는 것을 선택 ( 도로와 필지 )
⑥Are within distance of
전해진 거리를 지정하면, 그 거리에 내에 있는 것이 선택된다.
(City에서 10마일 거리 내의 것을 선택)
16. 공간적 Join을 수행하는 두가지 방법의 차이를 설명하세요. 실제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면 쉬울 것이고, 또한 속성 테이블에서 생성되는 필드를 인용하면 개념 차이가 명확해 지겠죠.
- Spatial Join은 내부에 포함된 경우와 외부에 있으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는 속성들 간에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구 남구 내의 초등학교 시설에 대 한 학급 수나 백화점과 은행과의 관계등이 이에 해당 될 것이다.
①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지역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들의 관계에서 두 Table을 Join하여 Summarize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값에 있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평균이나 Count등과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남대학교 내의 단대별 부속건물 수에 대한 Join과 Summarize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각 각의 건물수를 구할 수 있다.
②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경우
이는 내부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가장 가까운 곳 즉 거의 인접한 곳을 대상으로 가 장 가까운 곳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병원과 약국과의 관계에서 거의 거
에 따라 약국의 매출량이 결정됨으로 분석을 통해 더 효과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7. 공간적 Merge의 방식은 앞에서 서술한 Join과 유사합니다. 그리고 Geoprocessing 모듈에 있는 Merge 방식과 같은 방식입니다. 공간적 Merge가 무엇을 하는 작업인가요?
Geoprocessing에서 공간적인 Merge는 공간상으로 결합함으로써, Table도 함께 결합이 된다. 공간적인 Merge 과정은 Summarize하는 방식과 같은데, 선택하는 것은 평균이나 Count가 아니라, Merge라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과정
①두 theme의 Table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field 선택
②summarize 버튼을 누르고, summarize by에서 Merge를 선택
③새로운 Table생성 (기본값으로 Merge1~?.shp)
18. 3차원 Surface modeling을 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요소에는 Mesh point, Hard/Soft Breakline이 있습니다. 이들 세가지를 구분해서 설명해 보세요. 특히 두가지 Breakline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셔야 합니다.
3D 구축에서 지형의 표면을 모델링 처리하는데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다.
①Mesh point
기본적인 모델링의 방법으로 그리드 모형에서 공간에 Mesh로 나누어서 이 Mesh의
중심점을 그 Mesh의 대표치로 간주를 하게 된다. 고도와 같은 수치의 표현도 이 값이 정의 내리는데, 그 중심점으로부터 위로 솟은 형상의 막대가 이 Mesh의 대표 고도가 되고 이 Mesh point를 연결한 직선이 그 지형의 표현 형상이 되는 것이다.
②Soft Breakline
앞에서 말한 Mesh Point를 연결한 직선만으로 표면의 굴곡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실제의 표면과 유사하게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Soft, Hard breakline을 주는 것이다, 여서 Soft Breakline의 경우 직선의 연결을 곡선을 주어 부드럽게 이어지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실제의 능선과 같은 효과를 주는 것이다.
③Hard Breakline
이는 계곡이나 인위적으로 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토나 절토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는 직각의 지형을 표현하는 방법인데, 두 지점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위면의 고도는 무시하고 아래면의 고도로서 평평하게 지형을 표현하게 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10.2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