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 훈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마음의 창 이론

3. 프로그램 제시

4. 맺는말

본문내용

4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이것을 '마음의 창'
이라고 하였음.
A. 나도 알고있고,
다른 사람도 알고 있는 나
B. 나만 알고 있고,
다른 사람은 모르고 있는 나
C. 나는 모르지만, 다른 사람은 알고 있는 나
D. 나도 모르고,
다른 사람도
모르는 나
<마음의 창>
A. 개방영역 : 1, 2쪽에서 밑줄친 부분
B. 은폐영역 : 1쪽에는 있지만 2쪽에는 없는 부분
C. 장님영역 : 2쪽에는 있지만 1쪽에는 없는 부분
(이 프로그램에서 C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실제로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오해나 추측등을 가지고 판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것이 나 자신의 실제 모습이 아닐 수 도 있지만 내가 남에게 그렇게 보여질수도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나의 인간관계에 있어서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D. 신비영역 : 파악할 수 없음

A
B
A
A
B
C
D
C
D
<초기상태> <목표>
③ 자기평가 (본인이 새로 느끼고 깨달은 점과, 앞으로의 인간관계에 관한 마음가짐 등을 자유롭게 적는다. 자신의 마음의 창을 그려도 좋다.)
(6) Feed Back : 10분∼15분
진행자의 정리가 끝났으면 그룹별로 Feed Back 시간을 갖는데, 자기평가한 내용을 나누어도 되고,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인이 깨달은 것과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의견 등을 자유롭게 교환한다.
이 프로그램에서 Feed Back 시간은 매우 중요하며,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진단한 자기 자신의 마음 상태를 그룹원들에게 열 수 있는 좋은 시간이며 A(개방영역)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진행자는 충분히 여유있는 시간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너무 산만해지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7) 찬양 및 기도 : 10분
Feed Back이 끝나면 '아주먼 옛날'이나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등 교제 찬양 1곡을 부른다.
찬양 후에 모든 것을 기도로 마무리 짓는다.
4. 맺는말
조해리의 마음의 창을 바탕으로 구성한 이 프로그램은 관계회복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주기 보다는 공동체 안에서의 각 개인의 마음상태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관계회복에 대한 비전 제시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 이후에 계속적인 대화와, 신앙적 삶의 나눔, 그리고 각종 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해 진정한 나눔의 공동체로 나아가기를 소망하는 바이다.
그러나 인간은 누구나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결점이나 좋지 못했던 과거를 숨겨서 자신 스스로를 보호하려고 하는 기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 안에서 마음을 열고 남을 수용하는 과정에는 인위적이거나 강제적인 분위기가 형성 되어서는 안되며, 성령님의 도우심을 구하면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점차적으로 관계를 형성해 나갈 때, 서로의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귀한 신앙 공동체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참 고 문 헌
이원구 외, 인간관계교육 프로그램 , 서울 : 보진재, 1987.
최정훈 외, 인간행동의 이해 , 서울 : 법문사, 1994.
기독교교육 97년 7-8월호, 편집부, 신앙공동체를 위한 교육모델과 학습준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0.2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