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니 (SONY)
1. 연 혁
2. 사업부문
3. 세계 속의 소니의 위상
§소니의 국제화(미국진출) 동기
1. 미국의 내수시장
2. 소니의 미국진출 동기
§소니의 미국 FDI 방법과 과정
1. 소니의 FDI 방법
2. 소니의 FDI 과정
§21세기와 소니
§기타 - 소니와 삼성
1. 연 혁
2. 사업부문
3. 세계 속의 소니의 위상
§소니의 국제화(미국진출) 동기
1. 미국의 내수시장
2. 소니의 미국진출 동기
§소니의 미국 FDI 방법과 과정
1. 소니의 FDI 방법
2. 소니의 FDI 과정
§21세기와 소니
§기타 - 소니와 삼성
본문내용
게 디지털 가전과 IT, 통신을 융합한 신제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핵심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이중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디지털 TV
, Set-top Box, VAIO 노트북, PC, 휴대폰·PDA, 플레이스테이션2 등 4가지 하드웨어를 집중육성하고 있다. 특히 플레이스테이션2는 디지털 시대 홈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또한 오퍼레이션의 효율화를 위해 EMCS(Engineering, Manufacturing, and Customer Services) 를 신설, 독립시킴으로써 개별 사업 부문은 전략 및 상품, 기획, 브랜드 구축에 집중하고 EMCS는 소니 이외의 메이커의 물량도 주문 받아 전문 생산업체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내놓았다. 또한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s)업체인 Solectron에 2개 공장을 매각하고 일부 제조 서비스 활동을 위탁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원재료 공급자로부터 고객까지의 전 과정을 망라하 는 SCM을 구축함으로써 e트랜스포미에션을 추구하고 있다.
Net 사업의 가속화를 위해서는 So-net, Platstation.com, Sonystyle.com을 전략적 플랫폼으로 육성하고, Sony Pictures Entertainment와 Sony Music Entertainment를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Net화를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기존 금융 자회사들의 Net화를 추진함으로써 고객들에게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소니는 궁극적으로 디바이스, 플렛폼과 컨텐츠를 엮어 고객에게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소니의 구상이 과연 성공할 것인지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러나 디바이스에서의 기존 강점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오퍼레이션의 e트랜스포미에션화, 사업의 Net화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맞게 기업을 진화시키는 소니의 움직임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삼성전자 소니 앞지른다>>
미국 시사주간 타임은 삼성의 휴대폰, DVD플레이어 등 소비재 전자제품이 5년 전부터 국제시장에서 세계 최고 전자제품 메이커들과 어깨를 나란히 겨누게 됨에 따라 앞으로 3년 안으로 브랜드 인지도에서 세계 정상급의 소니를 앞지르게 될 것을 희망하기에 이르렀다고 19일 보도했다.
타임은 이날 인터넷판에서 1997년 전까지만 해도 소니·미쓰비시제 TV나 VTR을 살 형편이 못될 때 대량판매시장에서 품질은 좋으면서 저가의 대체상품을 구할 때 흔히 선호하던 제품의 메이커 브랜드가 삼성이었으나 1997년 이후엔 삼성은 고급휴대폰, DVD플레이어, 평면TV 등 광범위한 소비재전자제품 시장에서 시장 선두주자 격 세계 유명 메이커들과 어깨를 나란히 겨누고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삼성의 가전전자제품들은 세계 정상급의 일본이나 핀란드제품보다 흔히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이들 나라 제품보다 결코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타임은 소개했다.
이 모든 점을 고려할 때 오는 2005년까지 삼성이 브랜드 인지도에서 소니를 앞지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타임은 소니를 곧 추월하게 될 것이라는 삼성간부의 자신 있는 전망을 소니의 최고경영자 이데이 노부유키도 결코 웃어넘기고 있지 않고 있음을 겸해서 소개했다.
즉, 뉴욕시에 본부를 두고있는 컨설턴트 회사인 인터브랜드는 삼성을 가전제품 브랜드인지도에서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회사임을 공인한 바 있으며 이데이 소니 최고경영자가 소비재전자제품 경쟁에서 삼성이 브랜드 인지도를 소니를 곧 추월하게 될 단계에 와 있다는 사견(私見)을 밝힌바 있다고 타임은 덧붙였다
중앙일보 2002. 8. 23
<<삼성 vs 소니, 삼성 수익 소니 19배>>
'매출부분에서는 멀었지만 수익성은 단연 압도.'
세계적인 종합전자업체 일본 소니의 2001년 회계연도(2001년4월~2002년3월) 경영실적이 발표된 25일 삼성전자와 소니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가 수익성면에서 소니를 완전히 앞질렀다고 평가했다.
소니는 2001회계연도의 총매출액이 전년대비 3.6% 증가한 7조5783억엔(약 75조7830억원)에 이르러 2000회계연도의 사상최대기록을 경신했다고밝혔다.
그러나 순이익은 전년의 168억엔(1680억원)보다 크게 줄어든 153억엔(약1530억원)에 그쳤다.
반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2001년 회계연도(2001년1월~2001년12월)에 32조3803억원의 매출을 올려 2조9469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매출액 부문에서는 삼성전자가 소니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순익등 수익성만큼은 소니를 크게 앞선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2조295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약1조3460억원(1346억엔)보다 2배가량 많았다.
이에따라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영업이익률(매출액에서 영업이익이차지하는 비율)은 삼성전자가 7.1%인데 반해 소니는 1.7%에 불과아다.
지난해 실적만 본다면 수익성 면에서는 삼성전자가 소니를 확실하게 누른 셈이다.
삼성전자의 수익성 호조세는 올 1분기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에 9조9300억원의 매출을 올려 1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수익성이 더욱 개선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21%에 달해 소니의 수익성 격차를 더욱 벌이고 있다.반면 소니는 같은 기간동안 18조8000억원의 매출을 내고 550억원의 적자를 기록해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가 소니를 위협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수익성 측면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기업의 총체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시가총액(주가x주식수)에서도 소니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25일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469억달러로 소니의 514억달러에바싹 다가섰다. 지난주 한때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500억달러)이 소니의 시가총액(470억달러)를 앞서기도 했다.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맞아 IMF(국제통화기금) 관리를 받던 98년 전후해서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소니의 10분의1수준에 불과했었다.
, Set-top Box, VAIO 노트북, PC, 휴대폰·PDA, 플레이스테이션2 등 4가지 하드웨어를 집중육성하고 있다. 특히 플레이스테이션2는 디지털 시대 홈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또한 오퍼레이션의 효율화를 위해 EMCS(Engineering, Manufacturing, and Customer Services) 를 신설, 독립시킴으로써 개별 사업 부문은 전략 및 상품, 기획, 브랜드 구축에 집중하고 EMCS는 소니 이외의 메이커의 물량도 주문 받아 전문 생산업체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내놓았다. 또한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s)업체인 Solectron에 2개 공장을 매각하고 일부 제조 서비스 활동을 위탁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원재료 공급자로부터 고객까지의 전 과정을 망라하 는 SCM을 구축함으로써 e트랜스포미에션을 추구하고 있다.
Net 사업의 가속화를 위해서는 So-net, Platstation.com, Sonystyle.com을 전략적 플랫폼으로 육성하고, Sony Pictures Entertainment와 Sony Music Entertainment를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Net화를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기존 금융 자회사들의 Net화를 추진함으로써 고객들에게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소니는 궁극적으로 디바이스, 플렛폼과 컨텐츠를 엮어 고객에게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소니의 구상이 과연 성공할 것인지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러나 디바이스에서의 기존 강점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오퍼레이션의 e트랜스포미에션화, 사업의 Net화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맞게 기업을 진화시키는 소니의 움직임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삼성전자 소니 앞지른다>>
미국 시사주간 타임은 삼성의 휴대폰, DVD플레이어 등 소비재 전자제품이 5년 전부터 국제시장에서 세계 최고 전자제품 메이커들과 어깨를 나란히 겨누게 됨에 따라 앞으로 3년 안으로 브랜드 인지도에서 세계 정상급의 소니를 앞지르게 될 것을 희망하기에 이르렀다고 19일 보도했다.
타임은 이날 인터넷판에서 1997년 전까지만 해도 소니·미쓰비시제 TV나 VTR을 살 형편이 못될 때 대량판매시장에서 품질은 좋으면서 저가의 대체상품을 구할 때 흔히 선호하던 제품의 메이커 브랜드가 삼성이었으나 1997년 이후엔 삼성은 고급휴대폰, DVD플레이어, 평면TV 등 광범위한 소비재전자제품 시장에서 시장 선두주자 격 세계 유명 메이커들과 어깨를 나란히 겨누고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삼성의 가전전자제품들은 세계 정상급의 일본이나 핀란드제품보다 흔히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이들 나라 제품보다 결코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타임은 소개했다.
이 모든 점을 고려할 때 오는 2005년까지 삼성이 브랜드 인지도에서 소니를 앞지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타임은 소니를 곧 추월하게 될 것이라는 삼성간부의 자신 있는 전망을 소니의 최고경영자 이데이 노부유키도 결코 웃어넘기고 있지 않고 있음을 겸해서 소개했다.
즉, 뉴욕시에 본부를 두고있는 컨설턴트 회사인 인터브랜드는 삼성을 가전제품 브랜드인지도에서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회사임을 공인한 바 있으며 이데이 소니 최고경영자가 소비재전자제품 경쟁에서 삼성이 브랜드 인지도를 소니를 곧 추월하게 될 단계에 와 있다는 사견(私見)을 밝힌바 있다고 타임은 덧붙였다
중앙일보 2002. 8. 23
<<삼성 vs 소니, 삼성 수익 소니 19배>>
'매출부분에서는 멀었지만 수익성은 단연 압도.'
세계적인 종합전자업체 일본 소니의 2001년 회계연도(2001년4월~2002년3월) 경영실적이 발표된 25일 삼성전자와 소니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가 수익성면에서 소니를 완전히 앞질렀다고 평가했다.
소니는 2001회계연도의 총매출액이 전년대비 3.6% 증가한 7조5783억엔(약 75조7830억원)에 이르러 2000회계연도의 사상최대기록을 경신했다고밝혔다.
그러나 순이익은 전년의 168억엔(1680억원)보다 크게 줄어든 153억엔(약1530억원)에 그쳤다.
반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2001년 회계연도(2001년1월~2001년12월)에 32조3803억원의 매출을 올려 2조9469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매출액 부문에서는 삼성전자가 소니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순익등 수익성만큼은 소니를 크게 앞선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2조295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약1조3460억원(1346억엔)보다 2배가량 많았다.
이에따라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영업이익률(매출액에서 영업이익이차지하는 비율)은 삼성전자가 7.1%인데 반해 소니는 1.7%에 불과아다.
지난해 실적만 본다면 수익성 면에서는 삼성전자가 소니를 확실하게 누른 셈이다.
삼성전자의 수익성 호조세는 올 1분기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에 9조9300억원의 매출을 올려 1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수익성이 더욱 개선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21%에 달해 소니의 수익성 격차를 더욱 벌이고 있다.반면 소니는 같은 기간동안 18조8000억원의 매출을 내고 550억원의 적자를 기록해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가 소니를 위협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수익성 측면만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기업의 총체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시가총액(주가x주식수)에서도 소니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25일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469억달러로 소니의 514억달러에바싹 다가섰다. 지난주 한때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500억달러)이 소니의 시가총액(470억달러)를 앞서기도 했다.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맞아 IMF(국제통화기금) 관리를 받던 98년 전후해서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소니의 10분의1수준에 불과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경영] 소니의 미국시장공략과 코카콜라 왕좌시키지
글로벌 기업의 현지화 (소니, 현대자동차)
[기업탐방 보고서] 소니코리아 기업방문 보고서
[경영전략 분석] 소니의 세계일류화 경영 전략 분석
[독후감] 소니 할리우드를 폭격하다를 읽고
CEO 리더십-『소니의 모리타 아키오』
약물교육- 항정신병 약물,항파킨소니즘 약물,항우울제,항조증 약물,항불안제
[국제경영학]소니(Sony) 기업분석 및 글로벌 경영전략
마케팅 4P MIX (소니의 사례)
[국제경영] 소니(SONY) make believe
Sony & Apple,소니,애플,브랜드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
[경영학원론] 소니
경영자 철학과 사업구조의 전개 소니 vs 애플 (경영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