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조경사-조경기사요약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조경사-조경기사요약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터 이다. 이 기법은 백사가 많은 경도(京都)지방에서 싹텄는데 암석을 세워 폭포를 상징하게 하고 돌을 적절히 배치하여 우도와 섬을 그리고 백사로 물결모양을 나타내었다. 이 기법은 대선원을 비롯하여 용안사, 대덕사, 취광원, 금지원등에서 볼 수 있다. 고산수정원은 선종사원의 서원처럼 규모가 작은 마당에 꾸며지는것이 보통이며 위락이나 산책과 같은 실용적인 요소를 갖지 않는 단지 옥내의 방이 나 마루에서 정숙하게 감상하도록 꾸며졌다.
※ 고산수정원의 특징
- 조석이 중요시 됨 (선사상에 의한 조석법)
삼존석 : 정원석으로 부처를 상징하며 3개의 입석을 중앙은 높게 좌우는 낮게 배치함
16나한의 정원 : 16개의 입석으로 16체의 아라한(阿羅漢)의 모양 구성
- 초기에는 상록활엽수를 사용했으나 나중에는 아예 식물을 사용하지 않음
- 신선사상의 영향으로 사실주의 보다는 경관의 상징성과 추상적 구성 표현
- 축산 고산수 수법 : 초기적 수법으로 식물소량사용 예) 대덕사 대선원 정원
- 평정 고산수 수법 : 축산고산수 수법이 발전된 단계로 초감각적 무의 경지를 표현
식물의 사용은 거의 없고 왕모래와 15개의 정원석으로 꾸밈 예) 용안사 방장 정원
◆ 용안사방장정원(龍安寺方丈庭園) → 서양에서 가장 유명한 동양정원 "Dry Landscape"
용안사는 원래 세천승원의 별장이었는데 덕대사가의 산장을 양도받아 용안사를 세울때 방장정원을 꾸민것이다. 용안사의 입구 즉 방장의 담장 밖에는 대주원을 중심으로 하는 지원이 있다. 방장의 못 은 경용지(鏡容池)라 하는데 변천도(辨天島)와 복호도(伏虎島) 그리고 다른 하나의 섬이 있고 남쪽의 지안 근처에 수분석이 놓여 있다. 이 경용지를 왼편에 두고서 문은 지나 가파른 석계단을 올라가면 고산수저원이 있는 구획이 나타나는데 두터운 토담으로 둘러싸인 장방형의 방장 마당에 백사를 깔고 물결 모양으로 손질을 하였으며 여기에 15개의 축석을 5개, 2개, 3개, 2개, 3개를 각각 1조로 하여 동 에서 서쪽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치하였다.
◆ 대덕사 대선원정원(大仙院庭園)
고악선사가 조성하였으며 정원은 서원의 동쪽으로부터 꺾인 마루 앞에 두개의 거대한 돌을 세워서 원산(遠山)의 절벽을 나타냈으며 그 배후의 입석은 폭포를 나타내고 있다. 가파르고 험한 산골짜기로 부터 내붐어 떨어진 폭포수는 깊은 못을 이루고 석교 아래로 흘러 내려 뚝을 넘어 흘러 큰강이 되는 데 그 수면에는 석주(石舟)가 뜬다. 기법으로서 원경의 바위는 작고 근경의 바위는 비교적 크게 하였 고 나무도 먼산의 것은 지엽이 보이지 않도록 잘라 다듬고 가까이 있는 것은 자연그대로의 모습에 가깝게 보이도록 하였다. 그 구도는 실정시대의 중엽에 중국에서 들어온 수목화의 2차원의 산수풍경 에서 보는 원근감을 이와 공통적인 제재의 고산수적 경원의 3차원의 공간에 이용한 것이다.
② 안토·도산(모오야마)시대 (1576 A.D∼1615 A.D) ☞ 다정 양식
가. 신선경원
◆ 시호사 삼보원(三寶院) 정원
풍신수길이 직접 설계하고 꾸민것으로 당기 수길의 희망은 못을 파고 중도를 만들며 중도위에 편 백나무껍질로 지붕을 이은 당을 세우고 다리를 놓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죽음으로 정원의 공사 는 중단되었다가 약 25년 뒤에 공사를 재개하여 완성하였다. 정원에는 그동안 700녀개의 정원석과 수천 그루의 나무가 각처에서 옮겨졌으며 정원에는 폭포가 있으며 지중에 섬이 있고 판교, 토교, 석 교등이 가설되었다. 주건물인 순정관(純淨觀)은 정원이 완성된 뒤 건설되어 정원을 바라다 보는 시 각이 고각도를 이루고 있고 또 정원에서 이 건물을 바라다 볼때도 부조화로운 느낌이 없지 않다. 따라서 돌이나 나무등 정원의 재료가 과도한 감을 주며 그 결과 디자인 과잉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나. 다정원(茶庭園 - 노지형)
도산시대의 특색중의 하나는 화려한 선종의 정원과는 달리 전혀 대조적으로 와비와 사비의 이념을 본위로 하는 다정원의 완성이다. 여기서 와비란 인간생활의 가난함 부족함 불비(不備), 불만속에서도 이러한 것들을 초월하여 정원속에서 미를 찾아내어 겸손하고 한적하게 산다는 개념이며 사비란 이끼 가 끼어 있는 경원석에서 고담과 한아를 느끼는 개념이다. 이 시대에 나타나는 다정원은 크게 천리휴 류(千利休流)와 소굴원주류(小堀遠州流)인데 전자는 다실과 정원의 분위기를 가급적 자연스럽게 하여 깊은 숲속의 분위기를 나타내려 하느데 비해 후자는 조경수목에 인공을 가하여 외관상 곱게 보이도록 하려는데 특색이 있다.
※ 다정은 정원의 윤곽선처리에 있어 자유곡선이 가장 많이 쓰이는 정원
◆ 소굴정일의 고봉암(孤蓬庵)
- 원주류 다도의 개조 소굴정일 : 정일은 이름이 종보, 호는 고봉으로 풍신수길과 덕천가의 밑에서 일을 하였다. 그는 건축과 정원등 조영관계의 전문가이며 다도에 뛰어나고 다도구의 디자인이나 감정에 뛰어났다. 1608년에는 1만석의 성주가 되기도 했는데 이 무렵 스스로를 소원(小遠) 또는 원 주(遠州)라고 불렀다. 다도는 후루다 오리배에게서 배웠으며 덕천가광의 다도사범이 되었고 뒤에 원주류 다도의 개조가 되었다. 그는 선동어소, 2조성, 남선사, 금지원등의 조원에 관여하였는데 그 의 작품은 대담한 직선, 인공적인 곡선과 곡면을 도입하여 참신한 정원을 꾸미고 있음이 특징이다. 또한 그는 남성에게 의뢰를 받으면 웅장하게 그리고 여성에게 의뢰를 받으면 우려하게 정원을 만 들는 배려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그의 작품은 통일감이 있고 외관은 고우며 매우 기교적인 면을 보임이 특징이다.
- 고봉암(孤蓬庵)정원 : 소굴정일의 대표작으로 고봉이라는 이름은 용광원(龍光院)의 남쪽에 있는 산 이 한척의 봉선(작은배)어ㅡ로 보였기 때문이며 방장 남쪽의 화백나무의 생울타리도 그 때문에 물 결처럼 느껴진다. 이 고봉암에 꾸며진 정원으로 원주의 창의에 의한 디자인을 전해주는 것의 하나 가 바같 문앞에 있는 도랑에 놓여진 돌다리와 현관까지 깔려 있는 기다란 부석로(敷石路-자연석을 질서있게 깔아 놓은 길)이다. 돌다리의 갓돌이나 이음돌의 기법이 놀랄만하며 돌로 만든 세수통과 석등, 8경이 있는 안뜰의 잘라 다듬은 화백나무의 생울타리등도 하나의 명물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0.30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8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