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부마케팅과 곤경에 빠진 내고장
-서론
-정부마케팅의 개념과 특징
-정부마케팅의 구성요소
- 정부마케팅의 핵심요소
- 정부마케팅의 대상
-내고장의 위기
2. 도시경쟁력 강화와 정부마케팅 전략
1)친환경적 도시환경 조성
2)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시스템
3) 문화공간정비 및 문화관광인프라 구축
4) 비즈니스의 촉진 및 중추기능 강화
5) 참여적 협력적 정책수립
3. 투자유치마케팅
4. 매력성과 장소마케팅
-서론
-정부마케팅의 개념과 특징
-정부마케팅의 구성요소
- 정부마케팅의 핵심요소
- 정부마케팅의 대상
-내고장의 위기
2. 도시경쟁력 강화와 정부마케팅 전략
1)친환경적 도시환경 조성
2)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시스템
3) 문화공간정비 및 문화관광인프라 구축
4) 비즈니스의 촉진 및 중추기능 강화
5) 참여적 협력적 정책수립
3. 투자유치마케팅
4. 매력성과 장소마케팅
본문내용
-전략산업육성과 핵심역량강화
-지역의 브랜드화와 이미지 극대화 전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시설 구축
4. 매력성과 장소마케팅
- 매력성의 의미 : 장소를 중심으로 한 특정 대상자들의 선택 관광객의 유인과 투자 유치를 위해서 매력성은 중요한 요인
- 매력성의 자원 : 자연경관, 역사적 사건 및 인물, 도시 시설 및 지리적 여건, 문화적 자원 및 관광여건, 레크레이션 및 오락, 이벤트 및 행사, 상징적 기념물, 영화촬영지, 지역주민
- 장소마케팅의 개념
특정 장소(도시)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여 지역의 공공과 민간의 협력하에 기업, 주민, 관광객이 선호하는 이미지, 제도, 시설 개발을 통하여 장소상품의 가치를 상승시켜 지역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전략
-장소마케팅의 등장배경
쇠퇴하는 도시의 이미지 재구축 및 경제활성화 대안
글로벌화에 따른 도시간 투자 유치를 위한 경쟁 심화
기업가적인 정부로의 전환
다양성을 중시하는 포스트 모더니즘 사고의 부상
-장소마케팅의 특성
장소를 수요와 기대에 일치시키는 전략
목표집단의 설정, 접근방법의 조직적 전략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관계 구축의 중요성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차별화된 상품
-장소마케팅의 목표
- ◎ 지역사회통합
◎장소판촉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 문화 산업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장소마케팅의 한계 이미지와 지역실체와의 괴리발생
◎ 부동산 개발에 대한 과잉투자
◎ 차별화된 방법과 전략의 부재-모방의 결과
◎ 이익에 대한 지역주민에 분배가 되지 않음
-장소마케팅의 활용방안
지역의 수용능력을 감안한 구체적인 전략
◎ 차별화된 이미지 및 전략 구상
◎ 경제활성화 프로그램과의 연계
◎ 지방정부와 지역주민과의 밀접한 파트너십
-장소마케팅 사례(피츠버그)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의 쇠퇴로 일자리 감소
◎ 지역의 투자 및 기업 유치를 위한 마케팅 기구 설치
◎ 장소 이미지 홍보 및 시설물, 상징물 건축
-피츠버그에 사는 101 가지 이유(공기가 맑다. 범죄가 없다 등)
◎ 평가
- 일자리 창출(10만개), 이미지 상승(삶의 질 전국 1위)
-장소마케팅 사례(클리브랜드)
◎ 고용감소, 인구감소, 지역이미지 악화, 재정악화
◎ 공공과 민간 파트너십 조직 형성
◎ 이미지의 적극적 홍보
-스티커, 머그잔 제작, 지역홍보신문제작 등
-대상별 시장 세분화를 통한 전략(여피용, 여성들 브로셔 등)
◎ 평가
- 이미지 홍보의 성공으로 도시 이미지 상승
-지역의 브랜드화와 이미지 극대화 전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시설 구축
4. 매력성과 장소마케팅
- 매력성의 의미 : 장소를 중심으로 한 특정 대상자들의 선택 관광객의 유인과 투자 유치를 위해서 매력성은 중요한 요인
- 매력성의 자원 : 자연경관, 역사적 사건 및 인물, 도시 시설 및 지리적 여건, 문화적 자원 및 관광여건, 레크레이션 및 오락, 이벤트 및 행사, 상징적 기념물, 영화촬영지, 지역주민
- 장소마케팅의 개념
특정 장소(도시)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여 지역의 공공과 민간의 협력하에 기업, 주민, 관광객이 선호하는 이미지, 제도, 시설 개발을 통하여 장소상품의 가치를 상승시켜 지역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전략
-장소마케팅의 등장배경
쇠퇴하는 도시의 이미지 재구축 및 경제활성화 대안
글로벌화에 따른 도시간 투자 유치를 위한 경쟁 심화
기업가적인 정부로의 전환
다양성을 중시하는 포스트 모더니즘 사고의 부상
-장소마케팅의 특성
장소를 수요와 기대에 일치시키는 전략
목표집단의 설정, 접근방법의 조직적 전략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관계 구축의 중요성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차별화된 상품
-장소마케팅의 목표
- ◎ 지역사회통합
◎장소판촉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 문화 산업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장소마케팅의 한계 이미지와 지역실체와의 괴리발생
◎ 부동산 개발에 대한 과잉투자
◎ 차별화된 방법과 전략의 부재-모방의 결과
◎ 이익에 대한 지역주민에 분배가 되지 않음
-장소마케팅의 활용방안
지역의 수용능력을 감안한 구체적인 전략
◎ 차별화된 이미지 및 전략 구상
◎ 경제활성화 프로그램과의 연계
◎ 지방정부와 지역주민과의 밀접한 파트너십
-장소마케팅 사례(피츠버그)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의 쇠퇴로 일자리 감소
◎ 지역의 투자 및 기업 유치를 위한 마케팅 기구 설치
◎ 장소 이미지 홍보 및 시설물, 상징물 건축
-피츠버그에 사는 101 가지 이유(공기가 맑다. 범죄가 없다 등)
◎ 평가
- 일자리 창출(10만개), 이미지 상승(삶의 질 전국 1위)
-장소마케팅 사례(클리브랜드)
◎ 고용감소, 인구감소, 지역이미지 악화, 재정악화
◎ 공공과 민간 파트너십 조직 형성
◎ 이미지의 적극적 홍보
-스티커, 머그잔 제작, 지역홍보신문제작 등
-대상별 시장 세분화를 통한 전략(여피용, 여성들 브로셔 등)
◎ 평가
- 이미지 홍보의 성공으로 도시 이미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