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건축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 건축 특징

2. 시대별 중국의 건축

3. 자금성으로 본 궁전건축

본문내용

6,000평)에 달한다. 웅대한 규모, 위엄있는 품격, 호화로운 창호, 신비스러운 색채 등 모든 면에서 자금성궁전 중 최고의 품위를 나타내는 건축군이다.
3대전 입구는 태화문 인데 정면 9칸, 측면 4칸의 2층 합각지붕(중첨헐산정)으로 되어있다. 궁내에서 제일 큰 문이다. 명나라 역대 황제들은 이곳에서 신하의 진상을 받고 칙령을 내렸으며 정령을 공포하였다. 그래서 이곳을 '어문청정'이라고 했다. 태화문의좌우에 소덕문과 정도문, 동서양익에 협화문과 희화문 및 남측의 오문이 회랑과 연결, 광장을 에워싸고 있다. 광장을 들어서면 태화전 앞에서 체인각과 홍의각이 마주보고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① 태화전
정면 11칸(60.01m), 측면 5칸(33.33m)으로 높이는 35.05m이다. 바닥면적은 기단부를 포함하여 2,377 m2이다. 이 건물은 중국고건축 중에서 정면 칸수가 가장 많으며 나아가 세계 최대의 목조건물 중 하나이다. 지붕은 2층 우진각지붕으로 되어 있는데 중국에서는 지붕형태 중에서 우진각을 가장 높은 품격으로 여긴다. 내부에는 24개의 기둥이 지붕을 받치고 있으며 이중 보좌양측에 반룡이 묘사된 거대한 금박기둥 6개가 서있다. 전내 중앙에는 은화수법의 금칠로 장식한 보좌가 있고 보좌 바로 상부에는 보주를 물고 있는 반용을 새긴 조정으로 되어 있다. 조정을 제외한 부분은 전부 금색룡을 도안한 우물천정(격천정)으로 되어 있다. 지붕의 잡상(주수) 수는 보통 9개인데 여기서는 행십이 추가되어 추녀마루의 잡상으로서 유일하게 제일 많다. 바닥은 0.62m 0.62m의 전을 깔았다.
② 중화전
정면 5칸, 측면 5칸의 방향평면이며 단층모임지붕으로 되어있다. 지붕정상에는 동에 금도금을 한 보정을 얹혀 놓았다. 명대초기에는 화개전이라 불렀으나 가정년간(1522 1566년)에는 중극전이라 불렀다. 그 후 청초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 되었다.
황제가 태화전으로 나가기 전 잠시 머무르면서 상소문을 열람하고 조정대신들의 배례를 받던곳이다. 청대에는 10년에 한번 황제의 계보인 옥첩 편찬을 이곳에서 하였는데 이것을 황제가 열람 할 때에는 장중한 의식이 거행 되었다.
전내에는 황제의 보좌가 있고 기둥은 태화전보다는 화려하지 않으며 모두 단홍색으로 단장되었다.
③ 보화전
명대초기에는 근신전이라 불렀고 가정년간에는 건극전이라 불렀다. 청대에 들어와서는 황제가 왕공들을 초대하여 연회를 즐기는 곳으로 사용했고 건륭5년(1789년) 이후에는 전시(과거의 최종시험)를 거행하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정면 9칸, 측면 5칸으로 오문의 중루와 칸수가 같다. 정면 중앙 5칸은 출입문이 달려있고 양측면 2칸씩은 창호로 되어있다. 양측면은 벽으로, 뒷문은 중앙 3칸을 제외하고 전부 벽으로 처리하였다.
지붕은 2층 팔작지붕이고 전내의 창호와 진열품에는 단홍색을 칠하여 화려하고 고귀한 품격을 보여주고 있다.
4) 내정
3대전 후방에는 황제와 그 가족들이 생활하는 공간이 있다. 이곳을 내정이라 하는데 여기에는 궁전, 루, 태, 정, 각 등이 밀집 배치되어 있다. 내정은 전부 여섯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①후3궁(황제,황후의 침궁) ②동서6궁(황비의 궁실) ③양심전(청의 옹정제이후 황제의 침궁) ④녕수궁(건륭제 퇴위를 대비하여 건립한 태상황 궁전) ⑤황후, 황비의 궁전 ⑥황태자의 궁실로 구성되어 있다. 내정의 중요한 건물은 건청궁과 곤령궁으로서 황제와 황후의 침궁으로 사용되는 공간이다. 이 양궁은 외조의 3대전과 같이 자금성의 중심축선에 배치되어있다. 명의 가정년간에 이 양궁사이에 정방형 평면의 모임지붕으로 된 교태전이 새로 추가되어 그 후로 후3궁이라 부른다.
① 건청궁
명대부터 청대에 걸쳐 황제가 생활하던 공간이며 명의 영락19년(1421년)에 창건되었다. 그 후 앞의 건축연혁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화재로 인한 여러번의 증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건청궁에 사용된 건축부재의 대부분은 청대 가정2년(1797년)에 재건된 것이지만 배치는 건립초기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 건물은 정면 9칸의 2층 우진각지붕으로 되어 있다. 건청궁 주위에는 40칸의 회랑이 둘러져 있는데 동회랑에는 황제가 책을 읽고 상소문을 열람하는 무근전이 있다. 남회랑 동쪽 끝에는 한림원의 책임자가 황제에게 자문하는 상서방이 있고 그 서쪽 끝에는 황태자의 독서실인 남서방이 있다. 북쪽 끝 문내에는 수약방과 총감, 태감 등 대신들의 방과 창고가 있다.
② 곤령궁
건청궁, 교태전과 함께 공자형 동일기단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건청궁보다 약간 소규모의 대전이다. 원래 이곳은 황후의 생활공간이었는데 청의 순치13년(1656년), 만주족이 만든 심양의 청령궁을 모방하여 개축한 것이다.
정면 9칸, 측면 4칸의 2층 우진각지붕으로 되어 있다. 곤령궁 동측에 있는 동난각은 황제의 신혼 궁침이며 강희제, 동치제, 광서제의 대혼때에도 이곳에서 지냈다.
자금성궁전은 남아있는 중국건축 중에서 가장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또한 건축적으로 훌륭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중 하나이다. 자금성궁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건축적 특징은 다음 몇 가지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1. 광활한 중국대륙을 지배하기 위하여 자금성궁전은 가장 권위있는 건축이어야 했으며 따라서 휴먼스케일을 압도할 수 있는 규모로 만들었던 것이다.
2. 규모와 권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건축공사를 위한 모든 수단(건축재료 및 노동력)을 동원하였다.
3. 자금성궁전의 조영은 그 어느 하나라도 의미 없이 지어진 것이 없고 조형성에 있어서도 그 어느 하나 상징성이 없는 것이 없다. 이러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는 조영물의 배경에는 오래전에 중국에서 발생하여 이어져 내려온 중국적 사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4. 궁전의 배치는 엄격한 대칭과 중측선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또한 중국적 사고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자금성궁전내의 모든 궁전들은 구획을 나누어 구획마다 문과 담을 쌓았고 반드시 증정을 설치하였다.
6. 건물의 구조체는 가능한 한 은폐시키지 않고 그대로 노출시켜 구조적 효과와 장식적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구조미를 보여주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1.0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