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언어와 삶
언어와 인간의 관계
언어의 중요성
- 소리와 뜻
다른나라의 의성어 비교
언어의 자의성
- 하나 속의 둘
소쉬르의 랑그와 빠롤
촘스키의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언어와 인간의 관계
언어의 중요성
- 소리와 뜻
다른나라의 의성어 비교
언어의 자의성
- 하나 속의 둘
소쉬르의 랑그와 빠롤
촘스키의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본문내용
국어에 대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가지고 있는 함축적인 지식을 의미한다. 언어능력은 발화자의 무의식적 언어 지식을 가리킨다. 이 무의식적 언어 지식이 있기 때문에 발화자는 어휘나 어구를 하나하나 생각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모국어를 말하고 이해한다. 즉 한 언어에 내재하는 발화의 모든 체계와 가능성에 대체로 대응되는 이 언어 능력 덕택에 발화자는 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어휘와 어구를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에 언어 수행 (language performance)은 구체적인 상황에서 언어를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의미가 있는, 실제로 산출된 어휘나 어구와 유사한 언어 수행은 언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발화자가 행하는 것, 즉 개별 발화를 실행하는 것이다.
두 학자 모두 언어 연구의 대상으로서 빠롤 보다는 랑그를, 언어 수행 보다는 언어 능력을 적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언어는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개인의 말실수, 말의 생략 등으로 완전한 형태로 실현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이상적이고 순전한 구조적 형태의 언어는 랑그요, 언어 능력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언어를 체계적인 구조체로 인식하고 이들을 과학화하여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언어가 아닌 내부의 언어가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언어학 연구는 랑그의 본질과 기호성, 언어 구조론 등의 언어의 내부적인 연구는 물론이고, 랑그가 화자에 의해 구체적인 상황 내에서 사용될 때 나타나는 발화행위, 담화이론 등도 연구되어야 하며 또한 언어와 사고, 문화, 사회, 심리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언어의 본질에 더욱 가깝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두 학자 모두 언어 연구의 대상으로서 빠롤 보다는 랑그를, 언어 수행 보다는 언어 능력을 적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언어는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개인의 말실수, 말의 생략 등으로 완전한 형태로 실현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이상적이고 순전한 구조적 형태의 언어는 랑그요, 언어 능력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언어를 체계적인 구조체로 인식하고 이들을 과학화하여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언어가 아닌 내부의 언어가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언어학 연구는 랑그의 본질과 기호성, 언어 구조론 등의 언어의 내부적인 연구는 물론이고, 랑그가 화자에 의해 구체적인 상황 내에서 사용될 때 나타나는 발화행위, 담화이론 등도 연구되어야 하며 또한 언어와 사고, 문화, 사회, 심리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언어의 본질에 더욱 가깝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