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중국의 입장
*중국의 근거
2)우리나라의 입장
*우리나라의 근거
3)나의 견해
*중국의 근거
2)우리나라의 입장
*우리나라의 근거
3)나의 견해
본문내용
맞지 않다. 결국 의례적인 조공-책봉이라는 외교 관례를 들어 고구려사를 중국의 지방사로 전락시키는 것은 논리적인 모순이다.
(3) 나의 견해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른 나라가 왜곡하는 일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특히 최근에 중국이 고구려의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서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그러나 고구려는 당연히 우리나라 역사라고 막연히 생각을 해왔지 왜 우리나라 역사라고 주장할수 있는지 그 근거를 이야기 할수 없었고, 고구려가 왜 우리의 역사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도 없었다.
항상 국사는 시험을 잘치기 위해서 공부를 했지,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알기위한 목적으로는 공부를 해 본적이 없었던 것 같다.
교수님께서 중국의 고구려 역사왜곡에 관한 레포트를 내 주셔서 잠시나마 우리의 역사에 관해 조사를 해 봤는데 중국의 동복공종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는 많이 반성했다.
중국은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에서는 고구려 뿐만 아니라 고조선, 부여, 발해는 물론 현재의 한국까지 연구하는 『동북공정』이라는 프로젝트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추진하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학자의 숫자가 적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사를 연구하기에는 중국과 북한에 비해 지리적인 한계도 안고 있다.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소수의 연구자들마저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데 급급했을 뿐 고구려의 귀속문제, 즉 고구려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작업은 등한시 되어 왔다. 궁색한 변명처럼 들리지만 고구려사가 우리나라 역사라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당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궁색한 변명을 하고 있을 수 없기에 고구려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그들의 논리를 명확히 분석하여 역사왜곡과 억지 주장들을 조목조목 반박할 대응논리를 개발해야겠다.
늦었지만 우리나라도 고구려의 정체성에 대한 진지한 학문적 성과를 축적시키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남북한 역사학자들이 학문적 공조를 바탕으로 고구려사에 대한 공동연구와 공동대응에 나서서. 이 일에 남북이 함께 협력하여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남북관계 개선 뿐만 아니라 같은 핏줄을 이어받았다는 민족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 같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교 수: 박 향미 교수님
학 과: 간 호 과
학 번: 0219069 (B)
이 름: 박 은 영
제출일자: 04.11.02
(3) 나의 견해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른 나라가 왜곡하는 일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특히 최근에 중국이 고구려의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서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그러나 고구려는 당연히 우리나라 역사라고 막연히 생각을 해왔지 왜 우리나라 역사라고 주장할수 있는지 그 근거를 이야기 할수 없었고, 고구려가 왜 우리의 역사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도 없었다.
항상 국사는 시험을 잘치기 위해서 공부를 했지,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알기위한 목적으로는 공부를 해 본적이 없었던 것 같다.
교수님께서 중국의 고구려 역사왜곡에 관한 레포트를 내 주셔서 잠시나마 우리의 역사에 관해 조사를 해 봤는데 중국의 동복공종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는 많이 반성했다.
중국은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에서는 고구려 뿐만 아니라 고조선, 부여, 발해는 물론 현재의 한국까지 연구하는 『동북공정』이라는 프로젝트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추진하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학자의 숫자가 적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사를 연구하기에는 중국과 북한에 비해 지리적인 한계도 안고 있다.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소수의 연구자들마저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데 급급했을 뿐 고구려의 귀속문제, 즉 고구려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작업은 등한시 되어 왔다. 궁색한 변명처럼 들리지만 고구려사가 우리나라 역사라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당위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궁색한 변명을 하고 있을 수 없기에 고구려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그들의 논리를 명확히 분석하여 역사왜곡과 억지 주장들을 조목조목 반박할 대응논리를 개발해야겠다.
늦었지만 우리나라도 고구려의 정체성에 대한 진지한 학문적 성과를 축적시키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남북한 역사학자들이 학문적 공조를 바탕으로 고구려사에 대한 공동연구와 공동대응에 나서서. 이 일에 남북이 함께 협력하여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남북관계 개선 뿐만 아니라 같은 핏줄을 이어받았다는 민족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 같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교 수: 박 향미 교수님
학 과: 간 호 과
학 번: 0219069 (B)
이 름: 박 은 영
제출일자: 04.11.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