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제기 (한국행정학, 왜 위기인가)
Ⅱ. 발전주의국가의 행정개혁과 행정학
Ⅲ. 신자유주의국가의 행정개혁과 행정학
Ⅳ. 한국행정개혁이론의 모색
Ⅴ. 결론
Ⅱ. 발전주의국가의 행정개혁과 행정학
Ⅲ. 신자유주의국가의 행정개혁과 행정학
Ⅳ. 한국행정개혁이론의 모색
Ⅴ. 결론
본문내용
이다. 우리 사회는 아직까지 신자유주의 정책을 적용할 수 없는 상황임을 알아야하겠다. 무비판적으로 서구에서 도입된 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우리 현실에 맞게 개선하고 개혁하려는 의지도 필요하겠다. '실용주의'라는 말이 자칫 이것도 저것도 아닌 기회주의적인 것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우리 현실에 맞게 바꾸고 사회적 합의를 얻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행정개혁의 주체는 힘있고 능력 있는 차이겠지만 그 개혁의 수혜자는 힘없고 무능한 서민들임을 잊지 말아야한다. 연대의식을 갖고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서의 개혁, 점차 커나가는 시민사회와 여타 공동체를 포함하는 개방적인 개혁, 소외된 자와 낙오된 자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개혁으로서의 행정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제3의 길을 읽고
산업복지 발달사 요약
세계화와 민주화 : 타고난 동반자인가? 사귀기 힘든 친구인가?
유럽 좌파정당들의 변화 과정과 전망에 관한 고찰
세계화와 미국 인식
신공공관리론, 뉴거버넌스론,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사회복지의 정의, 사회복지의 역사와 발달, 사회보장법과 사회복지법,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
[미국 세계패권전략][미국 세계패권주의][미국]미국의 세계패권전략, 미국 세계패권전략의 조...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강한국가의 조건
영국의 복지개혁 : 근로연계 복지를 중심으로
제7차교육과정의 의의,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도입과 발달, 제7차교육과정...
변화하는 복지국가 3장 : 유럽대륙의 사회정책 - 일자리 없는 복지국가
지역균형발전과 수도권 규제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