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모더니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포스트 모더니즘의 발생 배경

2. 포스트 모던의 의의

3. 포스트 모던교육이란?

4. 포스트 모던시대에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회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체제 혹은 학교를 위한 실험들이라고 할 수 있다.
4) 포스트모더니즘에 입각한 교육은 학생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수정할 것을 요구한다. 전통적인 교육에서 학생은 지식이나 가치를 주어지는 대로 배워나가고 수용해 나가야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세계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형성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학생 개개인이 발휘할 수 있는 능동적인 역할과 주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저해해 왔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에 볼 때, 그들이 미성숙자라고 하여 학생들의 목소리를 소외시켜서는 안 되며, 그들도 인간 주체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학생을 백지(tabula rasa)로 보거나, 미성숙을 이유로 단순히 배움의 대상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마음대로 휘둘러진 정전(正典)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 존재도 아니다. 그들은 단순히 지식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그것을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하는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기호, 사유 및 행동 양식 등에 깊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교육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그들이 지닌 비판적 능력과 창의성 그리고 상상력을 충분히 신장, 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포스트 모던시대의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포스트모던 시대의 우리 교육의 내용 중에서 비중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①문화환경교육
이것은 또 두 가지로 갈라서 생각할 수 있다. 그 하나가 지금까지 하고 있는 내용의 환경교육을 보다 강화하자는 것이다. 여기에 대한 단서들은 외국에는 공원의 돌 하나, 풀 한포기도 함부로 손대지 않는다는 사례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철저했던 우리 전통문화에서 찾아야 한다. 찾는 것 뿐 아니라 그 배경의 문화적 철학을 알아야 한다. 또 우리의 문화재를 보존, 보호하는 데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는 교육을 해야 한다.
②생활문화교육
생활문화에서, 모든 교육의 핵심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명사랑교육이다. 철저한 생명존중의 전통교육에서 생명을 지극히 경시하는 교육으로 변질되었다. 우리처럼 초등학생에게 채집 숙제를 내는 사례는 외국에서는 잘 볼 수 없다. 이는 참으로 잘못된 지난 교육의 한 부분이다. 생명존중을 핵으로 했을 때 나만 소중한 것이 아니라 상대방을, 모든 생명을 나아가 자연과 물건까지도 소중히 여기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0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