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 관리 및 예방 대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절염 관리 및 예방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관절염 (퇴행성, 류마티스성)
1) 퇴행성 관절염
2) 류마티스 관절염
2. 관절염의 예방 및 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 운동이 있는데 다리를 뻗어 침대 발치에 발바닥을 대고 그대로 다리에 힘을 주는 것이다. 아픈 무릎을 움직이지 않고 허벅지 근육(사두박근)을 강화할 수 있다.
* 쉽게 하는 등척성 운동
딱딱한 의자에 앉아 발목을 교차시킨다. 그 자세에서 뒤로 간 다리는 힘껏 앞으로 밀고 앞에 있는 다리는 힘껏 뒤로 밀어 본다. 이때 다리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10초간 자세를 유지하다가 발목을 푼다. 교차를 반대로 시켜 반복한다.
등장성 운동은 관절을 움직이며 하는 운동이다. 물속에서 등장성 운동을 하는 경우 관절에 무게를 싣지 않으면서 근육에는 필요한 저항을 줄 수 있어 아주 좋다. 하지만 등장성 운동은 때로는 관절에 무리한 부담을 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물리 치료사와 상담을 하는 것이 좋다.
* 쉽게 하는 등장성 운동
양 다리를 약간 벌리고 의자에 앉는다.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려 허벅지, 무릎, 발끝이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그 자세에서 5초를 센 후 천천히 다리를 내린다. 반대 쪽 다리로 반복한다.
3. 요통 환자를 위한 허리 근육 강화 운동
바로 누운 후 양 무릎을 가슴 쪽으로 땡기고 양손으로 무릎을 감싼 후 약 5초간 그대로 머물고 있는다. 한 번 할 때마다 이런 운동을 10번 정도 하고 하루에 여러 번 반복한다.
바로 누운 후 양손을 엉덩이 밑에 깔고 무릎을 펴고 양다리를 10~15° 정도 약간 올린 후 5초간 유지한다. 한 번 할 때마다 이런 운동을 10번 정도 하고 하루에 여러 번 반복한다.
4. 지구력 운동
지구력 운동은 심장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고 폐 기능을 증진시키며 활력을 준다. 지구력 운동을 하면 운동을 오래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 관절염 환자에게는 적절한 운동이다. 또 지구력 운동을 하면 잠이 잘 오고 체중이 줄어들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등 여러 가지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 관절염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지구력 운동은 걷기, 수영을 포함한 물속에서의 운동, 그리고 실내 자전거 타기 운동이다.
수영과 물속에서 하는 운동은 체중이 물속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관절에 체중을 싣지 않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어 이상적이다. 다만 물의 온도가 너무 차갑지 않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30℃ 내외의 온도가 적절하다. 물의 깊이는 어깨 정도까지 차는 정도가 적당하지만 얕은 물에 앉아서도 운동을 할 수 있다. 더 깊은 곳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 고무 튜브나 구명정 등을 착용해서 부력을 늘린 다음 운동하는 것이 관절에 무리가 적게 간다.
실내 자전거 타기도 무릎이나 발목에 무게를 싣지 않고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운동이다.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여 페달이 제일 밑으로 내려 왔을 때 다리를 쭉 펴고 밟을 수 있을 정도로 맞춘다. 실내 자전거 타기는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처음부터 너무 오래 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무릎이 아픈 경우는 처음에 5분 정도 천천히 타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운동량을 늘려야 운동 직후 통증이 악화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10) 환자교육
- 활동과 휴식의 적절한 균형
- 관절 보호와 에너지 보존 기법
- 투약의 적절한 사용(약명, 용량, 투여시 주의, 부작용, 독성작용)
- 의사나 물리치료사에 의해 계획된 운동의 수행계획
- 열이나 냉찜질의 적절한 적용
- 보행보조기구나 다른 보조기구의 적절한 사용
-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대책
- 부목, 보조기의 적용, 적절한 사용과 관리법
- 좋은 영양에 대한 기본 지식과 체중 증가를 피하는 것의 중요성
- 정규적인 추후 관리의 중요성
- 안위대책 : 기동성 증진, 영양공급증진, 자존감 증진
- 관절 보호법
① 체중을 줄인다.
② 아기를 업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을 피한다.
③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등산을 하는 것을 삼간다.
④ 오래 걷거나 서있거나 조깅 등 관절에 무리가 가는 운동들을 삼간다.
⑤ 수영이나 실내 자전거같이 관절을 튼튼히 하는 운동을 한다.
⑥ 관절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삼간다.
⑦ 관절염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한다.
Ⅲ. 결론
관절염은 복합적인 양상을 가진 질병으로 관절 병변 자체는 일차적이지만 그로 인해 주변조직의 약화와 더불어 계속되는 통증과 기능장애로 신체적 영향은 물론, 심리적, 사회적 영향을 끼치는 질환이다. 통증 완화를 위해서 권장되는 방법들을 이해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대상자에 적절한 방법을 찾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상 활동에 필요한 기능장애 정도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 중재 방안들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만성질환자에 대한 간호의 목표는 효과적인 자가 관리를 강화하고, 지지하는 것이다. 자가관리는 건강 증진과 유지, 질병 예방과 발견 및 관리 등으로 구성되며, 모든 인간의 요구조건으로서 개인의 자존감과 자아상에 도움이 된다. 환자에게는 자신의 건강관리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능동적인 책임이 있는 반면에, 간호사에게는 조력자로서 환자의 자가간호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교육자, 촉진자 및 지지자로서 환자가 처방된 건강 행위를 적절히 도와야 하는 책임이 있다.
관절염은 만성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관리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물리적인 방법으로 통증을 조절하고, 일상활동을 영위하는데 가능한 한 편안함을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 간호 중재의 초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제간 전문가의 협조 체계가 이루어질 때 관절염 대상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조자 외(2003). 제 2판 성인간호학 4, 현문사.
서문자외(2000). 통합적재활간호, 신광출판사.
서문자외(2000). 재활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학교출판부.
길숙영(2000). 관절염 관리효과 측정, 류마티스건강학회지, 7(1).
제 7판 Sigma Theta Tau Lambdo,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www.medcity.com
www.jointinfo.com
user.chollian.net/~ikorea
www.angelpharm.co.kr
www.bamboo.co.kr
healthguide.kihasa.re.kr
www.rheumato.org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1.12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