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성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녀 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성기의 기능과 명칭

2. 여성의 성기명칭과 기능

3. 남성의 성기명칭과 기능

4. 피임에 대해서

5. 피임의 역사

6. 피임의 방법

7. 피임의 실태

8. 인공유산

9. 성병에 대해서

10. 성병의 정의

11. 성병의 감염

12. 성병의 종류

13. 성병의 예방 법

본문내용

통해 태아에게도 전염됩니다. 하지만 조기에 치료를 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제 1기는 감염 후 3주일이 지나면 시작되는데 성기나 입에 딱딱한 종기가 생깁니다. 그러나 통증은 없습니다. 그러다가 잠시 지나면 이러한 증상들이 없어지는데 완치되어서 그런 게 아니라 병균이 몸속 깊이 파고드는 과정입니다.
제 2기는 3개월이 지나면 시작됩니다. 머리카락이 빠지고 온몸에 반점이 나타나고 성병균이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이 때는 전염성이 큰 시기여서 입안에 상처가 있으면 입맞춤만으로도 감염이 됩니다. 3년 이상이 지나면 몸 여기저기에 단단하고 탄력 있는 종기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근육이나 골격이 파괴되고 심장이나 뇌까지 침범하여 정신적, 신체적 불구를 만들거나 잘못하다가 죽을 수도 있는 무서운 병입니다.
또 매독에 걸린 여성이 임신하면 태내 감염을 일으켜 아기가 죽거나 뇌라든지 눈, 이빨 등에 이상현상을 일으켜 불구아를 낳게 되는데 거의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매독의 감염 원인은 이렇습니다. 직접 감염은 성교나 입맞춤으로 인하여, 혀, 입, 입술에 전염되거나 매독에 걸린 엄마로부터 젖을 통해 유아에게 전염되기도 합니다. 간접 감염으로 식기, 이발소의 면도, 빗, 수건, 의류 등에 이해 감염되는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문 일입니다.
선천성 매독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매독에 걸린 엄마의 자궁 속에서 매독균이 태반을 통해 전염되는 것을 말합니다.
○ 비임균성 요도염
주로 남성은 증상이 겉으로 나타나고, 여성의 경우 대부분 자궁 경부에 염증을 일으키며 요도는 침범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잠복기가 임질보다 길어서 감염된 지 2~3주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요도가 가렵고 화끈거리며 불쾌감이 있고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고 합니다. 요도 끝에 고름이 비치며 속옷에 고름이 묻어 나오는데 임질에 비하면 비임균성 요도염이 고름은 양이 적은 반면 더 끈끈합니다.
비임균성 요도염은 통증은 심하지 않지만 잘 낫지 않고 재발하기 쉬우며 만성화될 가능성이 많아 꾸준히 치료받아야 합니다.
여성의 경우 증상이 거의 없어 치료를 등한시하기 쉬운데 여성 배우자가 비임균성 요도염일 경우, 남성 배우자와 동시에 치료받아야 합니다.
치료받지 않으면 남성이 경우 방광염을 일으키거나 전립선과 부고환염을 일으켜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여성의 경우는 난관을 침입하여 불임증과 자궁외 임신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 임 질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성병으로 빠르면 2~3일, 늦으면 7일 정도에 나타나는 급성 염증입니다.
남자의 경우 요도에 심한 통증이 있고 소변을 볼 때 불에 댄 것같이 따갑습니다. 나중에는 요도에서 고름이 나오고 고름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여성이 경우에는 임질에 감염되어도 증상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보통은 질염이나 자궁내막염을 자궁내막염을 일으켜 냉이 심해지고 아랫배에 통증이 있기도 합니다.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며 소변을 자주 보고 소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습니다. 감염경로는 성교 때 직접 성기를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고름이나 분비물이 묻은 손가락, 속옷, 수건, 침구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염되는 수도 있습니다.
이 성병에 걸리면 아기를 갖지 못하게 되는 수도 있습니다.
남자의 경우 균이 부고환에 침입하여 정자의 통로를 막아 버리고 여자의 경우는 자궁의 난관이나 난소에까지 짐입하기 때문입니다.
○ 에이즈
에이즈(AIDS)란 후전성 면역결핍증을 말합니다.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체의 면역기능이 파괴되어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균에 감염이 잘 되고 한번 병에 걸리면 낫지를 않아 결국은 죽음으로 끝나는 무서운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81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화자가 발생한 이래 전세계에서 환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혈액과 남자의 정액, 여자의 질분비물 등 체액에 존재합니다다. 따라서 동성연애자나 주사바늘을 공동 사용하는 마약상용자, 혈우병 혼자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동성연애뿐만 아니라 에이즈에 감염된 이성과의 정상적인 성관계에서도 옮겨질 수 있습니다.
감염된 어머니가 임신했을 때는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염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사회생활이나 일상적인 가정내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즉 악수나 가벼운 입맞춤. 포옹, 공동목욕탕 사용,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거나 그릇이나 화장실 변기를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 에이즈에 걸리지 않으려면
잘 모르는 사람이나 윤락여성과의 성접촉을 삼가야 합니다.
부득이한 경우, 반드시 콘돔을 사용하고 위험한 성행위는 하지 않습니다.
감염이 염려가 있는 혈액이나 혈액제제, 장기이식을 받지 않습니다.
주사를 맞을 때는 1회용 주사기나 주사바늘을 사용합니다.
침을 맞거나 문신, 귓불을 뚫을 때는 멸균된 기구를 사용합니다.
외국인과 함부로 성접촉을 하지 않습니다.
매 독
비임균성 요도염
에 이 즈
임 질
■ 성병의 예방법
성병은 수두처럼 한 번 걸리고 난 뒤엔 완전히 면역되는 병이 아닙니다. 균에 접촉할 때마다 성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성병을 예방하는 백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최근에 임질의 백신이 실험단계에 들어갔습니다. 가까운 장래, 사용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성교하고 있는 상대가 성병에 걸려있으면 자신에게 옮겨지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러나, 유효한 예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① 콘돔은 꽤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쟁 중 미국 병사들은 모두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콘돔은 페니스가 상대의 질과 항문에 닿기 전에 씌울 것.
② 성병용의 모닝 애프터 필(피임용의 것과는 다른 것)은 적당한 양의 페니실린 또는 테트라사이크린을 포함한 정제로, 성병환자와 접촉한 직후 복용하면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③ 페니스의 검사. 이것도 매춘부와 군대에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페니스가 발기하기 전에 마스타 베이션(masturbation:자위행위)을 할 때처럼 꽉 쥐어 봅니다. 페니스로부터 한두 방울 물방울이 떨어지면, 감염되었다는 표시입니다. 이 때 발기한 페니스에서 나오는 정액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11.1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