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적 배경
2. 실험 목적
3. 실험 방법
4. 실험결과
5. 실험문제
6. 비고 및 고찰
2. 실험 목적
3. 실험 방법
4. 실험결과
5. 실험문제
6.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키는 조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식된 표면을 관찰해 보면
핏트가 나타난 이외의 부분은 거의 또는 전연 부식을 일으키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핏트의
직경은 작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작다. 핏트 는 서로 떨어져 있기도
하고 또 때로는 함께 가까이 있어서 거친 표 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공식은 가장 파괴적이고 무서운
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장비의 불과 몇 %의 무게감소로 인해서 사용이 불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대단히 작고 부식 생성물에 의해서 자주 가려지기 때문에 발견하기도 매우 힘들다. 더욱이
똑 같은 조 건 하에서 발생하는 핏트의 깊이와 수에 변화가 많으므로 공식을 정 량적으로 측정한다
거나 그 정도를 비교하기는 힘들다. 또한 공식은 실험실에서 측정하기가 대단히 힘들다.
Fig. 6 핏트의 발생 중에 나타나는 자동촉매과정
(2) 핏트의 형태와 성장
Fig. 7 염화제이철을 포함하고 있는 황산 용액에서의 18-8스테인레스강의 공식
Fig. 7은 염화제이철을 포함하고 있는 황산에 의해서 18-8스테인레스 강에 나타난 공식이다. 핏트의
형태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금속 표면의 다른 부분에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핏트는 항상 중력방향으로 자란다. 즉 대부분의 핏트는 금속 표면의 윗부분에서 발생하고 아래로
성장하여 금속 내부로 뚫고 들어간다. 금속 표면의 측면에서는 더 적은 수의 핏트가 생기며 아랫면에서
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핏트가 금속 표면에 나타나기까지에는 상당기간의 잠복기가 필요하다. 이
잠복기는 금속과 용액에 따라 다르며 수개월 혹은 수 년에 걸친다. 그러나 일단 핏트가 생성되고 나면
가속도적으로 성장하면서 금속 내부로 뚫고 들어간다.
; 산소 기체의 환원에 의해 hydroxyl ion 을 생성하며 음극반응이 일어나 전기의 흐름이 생기는 전지현상.
실제에서는 틈부식(crevice corrosion), 덮여있는 상태, 물과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부식이 이에 해당한다. 즉, 금속의 표면은 산소가 풍부하여 양극으로 틈 속이나 덮여있는 부분 또는 수막하에서는 산소농도가 적어 음극으로 되어 음극의 부식현상이 점차 가속화된다.
틈새 내부 용액은 외부용액과 용이하게 교환되지 않기 때문에 통기차 전기 및 기타의 농담전지가 생성되거나 틈새내부에서 부식성의 부식생성물이 축적된 결과, 틈새내부에 부식이 생긴다.
핏트가 나타난 이외의 부분은 거의 또는 전연 부식을 일으키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핏트의
직경은 작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작다. 핏트 는 서로 떨어져 있기도
하고 또 때로는 함께 가까이 있어서 거친 표 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공식은 가장 파괴적이고 무서운
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장비의 불과 몇 %의 무게감소로 인해서 사용이 불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대단히 작고 부식 생성물에 의해서 자주 가려지기 때문에 발견하기도 매우 힘들다. 더욱이
똑 같은 조 건 하에서 발생하는 핏트의 깊이와 수에 변화가 많으므로 공식을 정 량적으로 측정한다
거나 그 정도를 비교하기는 힘들다. 또한 공식은 실험실에서 측정하기가 대단히 힘들다.
Fig. 6 핏트의 발생 중에 나타나는 자동촉매과정
(2) 핏트의 형태와 성장
Fig. 7 염화제이철을 포함하고 있는 황산 용액에서의 18-8스테인레스강의 공식
Fig. 7은 염화제이철을 포함하고 있는 황산에 의해서 18-8스테인레스 강에 나타난 공식이다. 핏트의
형태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금속 표면의 다른 부분에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핏트는 항상 중력방향으로 자란다. 즉 대부분의 핏트는 금속 표면의 윗부분에서 발생하고 아래로
성장하여 금속 내부로 뚫고 들어간다. 금속 표면의 측면에서는 더 적은 수의 핏트가 생기며 아랫면에서
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핏트가 금속 표면에 나타나기까지에는 상당기간의 잠복기가 필요하다. 이
잠복기는 금속과 용액에 따라 다르며 수개월 혹은 수 년에 걸친다. 그러나 일단 핏트가 생성되고 나면
가속도적으로 성장하면서 금속 내부로 뚫고 들어간다.
; 산소 기체의 환원에 의해 hydroxyl ion 을 생성하며 음극반응이 일어나 전기의 흐름이 생기는 전지현상.
실제에서는 틈부식(crevice corrosion), 덮여있는 상태, 물과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부식이 이에 해당한다. 즉, 금속의 표면은 산소가 풍부하여 양극으로 틈 속이나 덮여있는 부분 또는 수막하에서는 산소농도가 적어 음극으로 되어 음극의 부식현상이 점차 가속화된다.
틈새 내부 용액은 외부용액과 용이하게 교환되지 않기 때문에 통기차 전기 및 기타의 농담전지가 생성되거나 틈새내부에서 부식성의 부식생성물이 축적된 결과, 틈새내부에 부식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