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 화 기 질 환
《위장관 증상 총론》
《구강, 식도, 위질환》
《소장, 대장질환》
《황달》
《바이러스성 간염》
《영아기 담즙 정체증》
《대사성 간 질환 기타 간담도 질환》
《췌장 질환, 복막 질환 기타》
《위장관 증상 총론》
《구강, 식도, 위질환》
《소장, 대장질환》
《황달》
《바이러스성 간염》
《영아기 담즙 정체증》
《대사성 간 질환 기타 간담도 질환》
《췌장 질환, 복막 질환 기타》
본문내용
otrasferase상승 ,저혈당, 뇌압 상승이 특징적
①원인 : 원인불명, 바이러스감염(특히,influenza B수두)등 발생 빈도 증가
salycylate중독과도 관계있다고 추측
②병리 기전 : 미토콘드리아의 손상(ornithine transcarbamylose OTC or CPS
③임상증상 : 전구 증상으로 5-7일전 상기도 감염,수두등이 있다가 회복기에
들어와서 갑자기 심한 구토, 의식 상태 저하, 경련, 혼수, 사망 으로 급속히 진행
뇌압 상승소견의 뇌증, 간장비대, 황달은 없을 간 기능 손상 소 견, Carbamylphosphate symthetase등 간 미토콘드리아 효소
역가 감소 → Hyper Ammonemia
④검사 소견 : ①고암모니아 혈증
②GOT, GPT,LDH,CPK상승 bilirubin, ALP는 정상
③PT지연
④저혈당
⑤뇌척수액:정상,압력상승
⑥호홉성 알카리증,대사성 산증
⑦뇌파 소견:Dffuse,slow,high voltage
⑤치료 : ①뇌압 상승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
②10-15%glucose정주
③산소 공급,hyperventilation
④Vit K ,FFP
⑤neomycin,lactulose관장:혈중 암모니아 감소
⑥경련시 dilantin투여
⑦교환 수혈 시도해 볼 수 있음
2. 문맥압 항진증, 식도 정맥류 출혈
1) 문맥압 항진증
①intrahepatic potal hypertension:L.C
②extrahepatic portal hypertension:비장 혹은 문맥 정맥의 혈전증
③suprahepatic portal hypertension:간정맥 혈전(Buddi-chiari syndrome)
2) 식도정맥류 치료 : 소아 식도 정맥류는 대체로 신선한 혈액의 수혈로 충분하며
자연히 지혈된다.
nasogastric tube를 넣어 출혈 속도를 알아보고 V/S측정과 필요
하면 CVP,PH,PaCO2,전해질등을 측정함
3) 급성장출혈의 치료: ①Vasopressin, Nitroglycerin skin patch, somatostatia analog
②Senstaken-Blakemore tube
4) 근본적 치료: ① endoscopic elostic band ligation
② shunt
③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④ propranolol
3. 간성 혼수시 치료 원칙
1) 보존적 치료 : 간세포 손상을 회복시키거나 간실질의 재생을 유발시키는 방법은 없다.
진행성 간성 혼수는 환아의 활력 징후를 계속 관찰 ICU cave.
《췌장 질환, 복막 질환 기타》
1. 췌장염
1)원인 ①전신성 질환(15%): sepsis,shock
바이러스 감염- mump가 소아에서 가장 많다.
E-B disease,Coxsckie,rubella,hepatitis A, Influenza A,
IBD, Reye 증후군, H-S자반증, H-U증후군
②손상(15%)
③선천적 기형 (10%) : 담관낭, 췌장성 협착
④대사장애(5%) : hyperlipidemia, 고칼슘혈증, 당뇨, 영양실조
⑤약물 및 중독 (5%) : valproic acid, alcohol, sulfasalazine, furosemide
⑥원인 불명(25%)
2)증상 ①복통 - 상복부에서 갑자기 시작 , 등쪽으로 방사(1/3) 오심, 구토, 식욕부진, 미열
②이학적 소견 : 복부압통, 팽창, rebound tenderness, guarding, rare 혼수, 흉수, 복수, 황달
③Flank의 반상 출혈 (Grey-Turner 징후,빼꼽주위의 반상출혈 Cullen 징후) : 심한 출혈성 췌장염(만일 나타나면 의심)
3)진단 ①비특이성 검사 : ↑ : 혈색소, Hct, 백혈구, 혈당, BUN, Cr, Bil, Lipid
↓ : Ca, Mg 동맥산소장력
②특이성 검사 : 혈청과 amylase 증가, 증상발현 12시간 내 상응, 3∼5일
내 정상, 3배 이상 증가 의미
amylase creatinine clearance ratio ↑
혈청 lipase 증가 : 후기 진단에 도움(8∼10일), 특이도 더 높다.
③방사선 검사 : i) 복부 방사선 촬영 :sentinel loop (localized ileus)
혹은 generalized ileus 석회화 (소아에서는 드물지만
hereditary pancreatitis시 존재)
ii) 초음파 : echodensity (44%)감소 , 크기 증가
iii) CT(70%)
ⅳ)ERCP에서 크기 및 음영 변화
2. 원발성 복막염과 속발성 복막염
1) 원발성 복막염 : 6세이전 발병, 성별 빈도차 없다.
①원인 - 윈인균 : pneumococcus
Group A streptococcuus
G(-) bacteria (E.coli)
신증후군이나 간경변증의 합병증
Kasai 수술후
②발열, 구역질, 구토, 복통, 설사, 복부압통, 복근 경직, 복부패만, 백혈구수 증가
③진단적 복부천자 : 단백량 ↑
백혈구 250/mm3 이상, 25%∼50%이상이 다핵구,
pH7.5 미만 동맥혈과 봇
수의 pH차이가 0.1이상 젖산이 증가
2) 속발성 복막염
①원인 : 복부내 장기 (충수돌기)의 농양, 천공
장중첩증
장축염전증(volvulus)
감돈탈장
Meckel 게실의 파열
괴사성 장염 (= 신생아에서 가장 흔함)
②고열, 복통, 담즙성구토, 심한 변비, 복막자극증상, 직장검사시 압통, 빈맥, 불안, 장음이 들리지 않음
3. 선천성 횡경막 탈장
Bochdalek공 : 횡경막 후외측 결손, 1/2,200∼5,000명, 80∼90% 좌측 호발
가장 흔하고 증상이 심하며 사망률이 높다.
10∼20% 탈장낭이 있다.
폐발육부전이 심할수록 일찍 증상이 나타나고
예후가 나쁨(좌심실 크기가 작을 때, 위장이 횡경막 위쪽에 있을 때 양수과다,
횡경막 결손 클때)
수분 ∼ 수 시간내 증상 발견 (6시간내 증상 → 50%이상 사망)
(12시간내 증상 → 100% 살수 있다)
-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 복부함몰, 흉부에서 장의 유동음을 청진.
X - 선 소견 : Bowel gas 를 흉부에서 관찰, 종격통 이동 소견
①원인 : 원인불명, 바이러스감염(특히,influenza B수두)등 발생 빈도 증가
salycylate중독과도 관계있다고 추측
②병리 기전 : 미토콘드리아의 손상(ornithine transcarbamylose OTC or CPS
③임상증상 : 전구 증상으로 5-7일전 상기도 감염,수두등이 있다가 회복기에
들어와서 갑자기 심한 구토, 의식 상태 저하, 경련, 혼수, 사망 으로 급속히 진행
뇌압 상승소견의 뇌증, 간장비대, 황달은 없을 간 기능 손상 소 견, Carbamylphosphate symthetase등 간 미토콘드리아 효소
역가 감소 → Hyper Ammonemia
④검사 소견 : ①고암모니아 혈증
②GOT, GPT,LDH,CPK상승 bilirubin, ALP는 정상
③PT지연
④저혈당
⑤뇌척수액:정상,압력상승
⑥호홉성 알카리증,대사성 산증
⑦뇌파 소견:Dffuse,slow,high voltage
⑤치료 : ①뇌압 상승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
②10-15%glucose정주
③산소 공급,hyperventilation
④Vit K ,FFP
⑤neomycin,lactulose관장:혈중 암모니아 감소
⑥경련시 dilantin투여
⑦교환 수혈 시도해 볼 수 있음
2. 문맥압 항진증, 식도 정맥류 출혈
1) 문맥압 항진증
①intrahepatic potal hypertension:L.C
②extrahepatic portal hypertension:비장 혹은 문맥 정맥의 혈전증
③suprahepatic portal hypertension:간정맥 혈전(Buddi-chiari syndrome)
2) 식도정맥류 치료 : 소아 식도 정맥류는 대체로 신선한 혈액의 수혈로 충분하며
자연히 지혈된다.
nasogastric tube를 넣어 출혈 속도를 알아보고 V/S측정과 필요
하면 CVP,PH,PaCO2,전해질등을 측정함
3) 급성장출혈의 치료: ①Vasopressin, Nitroglycerin skin patch, somatostatia analog
②Senstaken-Blakemore tube
4) 근본적 치료: ① endoscopic elostic band ligation
② shunt
③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④ propranolol
3. 간성 혼수시 치료 원칙
1) 보존적 치료 : 간세포 손상을 회복시키거나 간실질의 재생을 유발시키는 방법은 없다.
진행성 간성 혼수는 환아의 활력 징후를 계속 관찰 ICU cave.
《췌장 질환, 복막 질환 기타》
1. 췌장염
1)원인 ①전신성 질환(15%): sepsis,shock
바이러스 감염- mump가 소아에서 가장 많다.
E-B disease,Coxsckie,rubella,hepatitis A, Influenza A,
IBD, Reye 증후군, H-S자반증, H-U증후군
②손상(15%)
③선천적 기형 (10%) : 담관낭, 췌장성 협착
④대사장애(5%) : hyperlipidemia, 고칼슘혈증, 당뇨, 영양실조
⑤약물 및 중독 (5%) : valproic acid, alcohol, sulfasalazine, furosemide
⑥원인 불명(25%)
2)증상 ①복통 - 상복부에서 갑자기 시작 , 등쪽으로 방사(1/3) 오심, 구토, 식욕부진, 미열
②이학적 소견 : 복부압통, 팽창, rebound tenderness, guarding, rare 혼수, 흉수, 복수, 황달
③Flank의 반상 출혈 (Grey-Turner 징후,빼꼽주위의 반상출혈 Cullen 징후) : 심한 출혈성 췌장염(만일 나타나면 의심)
3)진단 ①비특이성 검사 : ↑ : 혈색소, Hct, 백혈구, 혈당, BUN, Cr, Bil, Lipid
↓ : Ca, Mg 동맥산소장력
②특이성 검사 : 혈청과 amylase 증가, 증상발현 12시간 내 상응, 3∼5일
내 정상, 3배 이상 증가 의미
amylase creatinine clearance ratio ↑
혈청 lipase 증가 : 후기 진단에 도움(8∼10일), 특이도 더 높다.
③방사선 검사 : i) 복부 방사선 촬영 :sentinel loop (localized ileus)
혹은 generalized ileus 석회화 (소아에서는 드물지만
hereditary pancreatitis시 존재)
ii) 초음파 : echodensity (44%)감소 , 크기 증가
iii) CT(70%)
ⅳ)ERCP에서 크기 및 음영 변화
2. 원발성 복막염과 속발성 복막염
1) 원발성 복막염 : 6세이전 발병, 성별 빈도차 없다.
①원인 - 윈인균 : pneumococcus
Group A streptococcuus
G(-) bacteria (E.coli)
신증후군이나 간경변증의 합병증
Kasai 수술후
②발열, 구역질, 구토, 복통, 설사, 복부압통, 복근 경직, 복부패만, 백혈구수 증가
③진단적 복부천자 : 단백량 ↑
백혈구 250/mm3 이상, 25%∼50%이상이 다핵구,
pH7.5 미만 동맥혈과 봇
수의 pH차이가 0.1이상 젖산이 증가
2) 속발성 복막염
①원인 : 복부내 장기 (충수돌기)의 농양, 천공
장중첩증
장축염전증(volvulus)
감돈탈장
Meckel 게실의 파열
괴사성 장염 (= 신생아에서 가장 흔함)
②고열, 복통, 담즙성구토, 심한 변비, 복막자극증상, 직장검사시 압통, 빈맥, 불안, 장음이 들리지 않음
3. 선천성 횡경막 탈장
Bochdalek공 : 횡경막 후외측 결손, 1/2,200∼5,000명, 80∼90% 좌측 호발
가장 흔하고 증상이 심하며 사망률이 높다.
10∼20% 탈장낭이 있다.
폐발육부전이 심할수록 일찍 증상이 나타나고
예후가 나쁨(좌심실 크기가 작을 때, 위장이 횡경막 위쪽에 있을 때 양수과다,
횡경막 결손 클때)
수분 ∼ 수 시간내 증상 발견 (6시간내 증상 → 50%이상 사망)
(12시간내 증상 → 100% 살수 있다)
-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 복부함몰, 흉부에서 장의 유동음을 청진.
X - 선 소견 : Bowel gas 를 흉부에서 관찰, 종격통 이동 소견
추천자료
간호사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총정리
폐렴 케이스-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실습 신생아 중환자실 NICU 케이스
아동간호학 실습 소감문 , 병동실습소감문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 폐렴(pneumonia) & 인플루엔자 케이스
[아동간호학]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 이론을 요약정리 및 보육 및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
아동간호학 컨퍼자료 케이스 - 폐렴 (Pneumonia)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황달 케이스스터디
-천식-아동간호학 간호과정 A+자료입니다.문헌고찰 제외 간호과정만 있습니다.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pneumonia unspecified Asthma unspecifie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