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 위진남북조시대
4. 수당(隋唐) 제국
4. 수당(隋唐) 제국
본문내용
4) 안사의 난 이후 제도 변화
1) 균전제→장원제
2) 부병제→모병제
3) 조용조→양세법(兩稅法)
4) 도호부체제→번진체제, 절도사체제
(5) 경제
1) 농업 발달: 신기술(관개수리), 신품종(차, 면화)
2) 상업 발달: 상설시장(장안, 낙양), 지방 정기시, 상인조합(행(行)), 지폐(비전(飛錢))
3) 무역 발달: 시박사(市舶司; 廣州)
(6) 문화
1) 특징
.국제적: 외래문화 유입, 동아시아문화권 형성(율령제, 한자, 불교, 유학)
.귀족적
2) 유학: 훈고학 집대성, 공영달(孔穎達)의 『오경정의(五經正義)』
3) 불교: 현장(玄 )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의정(義淨)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 불교 탄압, 교종 쇠퇴, 선종 발전
4) 도교: 왕실에서 숭상, 현종 도거(道擧) 실시
5) 역사: 유지기(劉知幾) 『사통(史通)』; 역사이론서
두우(杜佑) 『통전(通典)』; 제도사
6) 시: 이백(李白; 시선(詩仙)), 두보(杜甫; 시성(詩聖)), 백거이(白居易)
고문: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당송8대가
7) 미술: 산수화(이사훈(李思訓), 왕유(王維)), 문인화
서예: 구양순, 저수량 등
공예: 당삼채(唐三彩), 칠기(漆器)
1) 균전제→장원제
2) 부병제→모병제
3) 조용조→양세법(兩稅法)
4) 도호부체제→번진체제, 절도사체제
(5) 경제
1) 농업 발달: 신기술(관개수리), 신품종(차, 면화)
2) 상업 발달: 상설시장(장안, 낙양), 지방 정기시, 상인조합(행(行)), 지폐(비전(飛錢))
3) 무역 발달: 시박사(市舶司; 廣州)
(6) 문화
1) 특징
.국제적: 외래문화 유입, 동아시아문화권 형성(율령제, 한자, 불교, 유학)
.귀족적
2) 유학: 훈고학 집대성, 공영달(孔穎達)의 『오경정의(五經正義)』
3) 불교: 현장(玄 )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의정(義淨)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 불교 탄압, 교종 쇠퇴, 선종 발전
4) 도교: 왕실에서 숭상, 현종 도거(道擧) 실시
5) 역사: 유지기(劉知幾) 『사통(史通)』; 역사이론서
두우(杜佑) 『통전(通典)』; 제도사
6) 시: 이백(李白; 시선(詩仙)), 두보(杜甫; 시성(詩聖)), 백거이(白居易)
고문: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당송8대가
7) 미술: 산수화(이사훈(李思訓), 왕유(王維)), 문인화
서예: 구양순, 저수량 등
공예: 당삼채(唐三彩), 칠기(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