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 식민사관과 민족주의사관 ■
■ 2. 고대국가의 형성과 이해 ■
■ 3. 금석문을 통한 삼국시대의 조망 ■
■ 4. 불교의 전래 (원효와 의상 vs 비의상계) ■
■ 2. 고대국가의 형성과 이해 ■
■ 3. 금석문을 통한 삼국시대의 조망 ■
■ 4. 불교의 전래 (원효와 의상 vs 비의상계) ■
본문내용
조한 선종의 매력에 심취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선종은 신분적으로 제한된 상태에서 중앙으로의 진출이 어려웠던 육두품 세력이 국외로 유학한 이른바 도당유학승에 의해 전파된 것으로 선종 9산문이 대표적이다. 선종은 고려 광종 등극 이전까지 이어져 고려와 함께 더불어 발전해 나간다. 그러나 고려 광종 등극 이후의 선종은 왕권 강화를 위한 차원에서의 종교로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당시 광종은 왕권강화의 일원으로서 과거제의 실행과 함께 왕권 강화를 위한 차원에서의 종교적 기능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고려 시대의 불교는 원효와 의상 중심의 의상계와 후기에 등장한 비 의상계 불교의 모습으로 보여 지는데, 의상과 원효에 의해 주창한 화엄종에 대하여 보면, 의상의 화엄은 이른바 행동 화엄으로 전제 왕권 강화에 관련된어 연구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평등과 관련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그 내용에서 실천을 중시 하였으며, 민중에 대한 구제를 목적으로 삼았다고 할 것이다. 다른 인물 원효의 경우, 지속적으로 대립해 왔던 중관파와 유식파를 융합하였으며, 또한 학문 윤리를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고려 후대로 가면서 종래의 해동화엄은 쇠퇴하고, 학문적이고 논리적이면 이론을 중시한 법장의 현수종이 도당 유학승에 의해 전래되어 점차 발전하였다. 그리고 고려 광종때 의천의 등장과 함께 해동화엄은 완전히 쇠퇴하였다. 그러다 지눌대사 의해 해동 조계종으로 통합된다.
불교가 가지는 의의를 정리하면 고대 사회에서 평등성과 고취성을 고취시켰으며, 토착 신앙을 인정, 융합시켰으며, 고대 예술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고려 시대의 불교는 원효와 의상 중심의 의상계와 후기에 등장한 비 의상계 불교의 모습으로 보여 지는데, 의상과 원효에 의해 주창한 화엄종에 대하여 보면, 의상의 화엄은 이른바 행동 화엄으로 전제 왕권 강화에 관련된어 연구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평등과 관련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그 내용에서 실천을 중시 하였으며, 민중에 대한 구제를 목적으로 삼았다고 할 것이다. 다른 인물 원효의 경우, 지속적으로 대립해 왔던 중관파와 유식파를 융합하였으며, 또한 학문 윤리를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고려 후대로 가면서 종래의 해동화엄은 쇠퇴하고, 학문적이고 논리적이면 이론을 중시한 법장의 현수종이 도당 유학승에 의해 전래되어 점차 발전하였다. 그리고 고려 광종때 의천의 등장과 함께 해동화엄은 완전히 쇠퇴하였다. 그러다 지눌대사 의해 해동 조계종으로 통합된다.
불교가 가지는 의의를 정리하면 고대 사회에서 평등성과 고취성을 고취시켰으며, 토착 신앙을 인정, 융합시켰으며, 고대 예술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