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재 선택에는 제한이 없다
주제의 바탕 소재의 해석.
주제가 있는 시, 없는 시
주제의 바탕 소재의 해석.
주제가 있는 시, 없는 시
본문내용
렸는데
개구리 울음소리는 밤을 삼켜 버렸는데
하나 둘……등불은 개구리 울음 속에 달린다.
이윽고 주정뱅이 보름달이 빠져나와 은으로 칠한 풍경을 토한다.
-김종한 <고원의 시>
이 시는 한 세대 전의 여름밤의 어떤 시골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관념이나 사상뿐 아니라 시인 자신의 마음의 상태인 감정도 뚜렷하게 반영되어 있지 않다. 주제를 사상이나 관념이라고 볼 때는 더욱 주제가 없는 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제는 없을 지 몰라도 이 시는 사물에 대한 특수한 시각이 있다. 그것은 여름밤의 시골 풍경을 그대로의 모습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모든 사물은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그야말로 천만가지 다른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그가 알고 있는 이 마을에 대한 사실이 이 시의 주제인 것이다.
주제의식을 갖는다 해도 시의 표현이 반드시 그에 부합되는 쪽으로만 되어 간다는 보장은 없다. 주제가 바뀌는 사태가 와도 그것은 시의 실패를 뜻하지 않는다. 그때는 그때대로 바뀐 그 주제에 어울리는 최고의 표현을 얻기만 하면 그만이다. 시는 주제의 절단수단이 아니라 주제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만든 하나의 완결된 표현물인 것이다.
개구리 울음소리는 밤을 삼켜 버렸는데
하나 둘……등불은 개구리 울음 속에 달린다.
이윽고 주정뱅이 보름달이 빠져나와 은으로 칠한 풍경을 토한다.
-김종한 <고원의 시>
이 시는 한 세대 전의 여름밤의 어떤 시골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관념이나 사상뿐 아니라 시인 자신의 마음의 상태인 감정도 뚜렷하게 반영되어 있지 않다. 주제를 사상이나 관념이라고 볼 때는 더욱 주제가 없는 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제는 없을 지 몰라도 이 시는 사물에 대한 특수한 시각이 있다. 그것은 여름밤의 시골 풍경을 그대로의 모습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모든 사물은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그야말로 천만가지 다른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그가 알고 있는 이 마을에 대한 사실이 이 시의 주제인 것이다.
주제의식을 갖는다 해도 시의 표현이 반드시 그에 부합되는 쪽으로만 되어 간다는 보장은 없다. 주제가 바뀌는 사태가 와도 그것은 시의 실패를 뜻하지 않는다. 그때는 그때대로 바뀐 그 주제에 어울리는 최고의 표현을 얻기만 하면 그만이다. 시는 주제의 절단수단이 아니라 주제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만든 하나의 완결된 표현물인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