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역사학 교수라는 것과 대비된다. 죠지에 따르면 닉으로 대변되는 미래는 불균형이란 있을 수가 없고, 질병들은 사라지고, 장수가 확실시되는 시험관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과학으로 이루어내는 세상이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더 크게 부각되는 것은 그 부작용이다. 여기 있는 남자 즉 닉처럼 모든 사람들이 똑같게 될 것인데 (But Everyone will tentd to be rather the same . . . Alike. Everyone . . . and I'm sure I'm not wrong here . . . weil tend to look like this young man here. p 17), 그들의 미래에는 문화가 없다. 음악과 미술, 자유와 다양성이 사라져버릴 미래, 문화와 인류가 사라지고 오직 남는 것은 질서와 개미들이 남아 그 땅을 지배할 것이다.
카르타고가 로마인에 의해 점령되어 사라졌다면 미국의 미래는 닉이라는 젊은이로 상징되는 물질만능주의와 기회주의, 과학만능주의 등으로 인해 파괴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멸망 후에는 그 폐허 위에 개미만이 남게될 것이다.
There will be a certain . . . loss o9f liberty. I imagin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 . . but diversity will no longer be the goal. Cultures and races will eventually vanish . . . the ants will take oveR the world. p 17.
이 작품은 인물들이 엮어 내는 미국이라는 커다란 인간가족과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관계의 전개를 그려내고 있다. 원형적인 가족단위를 형상화하여 그 안에 희망과 패배 꿈과 좌절 그리고 미국이라는 사회의 가치관등을 가시적으로 압축시켜 놓았다.
마샤의 아버지와 허니의 아버지로 대표되는 구세대는 집안의 질서와 권위의 구심점으로 집안의 토대를 다지고 기본적인 부와 사회적인 위상을 구축한 인물들이다. 그들은 무대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권위의 상징으로 작용한다. 신대륙에서 아메리카라는 사회를 세워 놓은 이 구세대들은 정력적이며 독선적이며 그들이 표방하는 가치는 현실적인 것이다.
마샤와 조지 부부 그리고 닉과 허니 부부는 구세대의 영향권내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그들의 특징은 한마디로 불모로 표현될 수 있다. 물질문명을 숭상하고 보이지 않는 정신적 가치들을 외면하는 그들은 현실적인 가치를 추구하던 구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물들이다. 오히려 혼자 힘으로 무엇인가를 성취하려고 하기보다는 남에게 빌붙어서 기생하려는 이들은 구세대보다 더 왜곡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미래의 대표주자로 묘사되는 닉의 초상화는 과도한 물질에의 욕구, 사랑과 애정의 결핍, 과학에 대한 맹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성공에의 집착 등으로 얼룩져있다. 얼룩진 닉의 초상화는 미국의 일그러진 모습이며 이들의 모습을 통해 작가 올비는 일그러진 미국을 고발하고 있다.
카르타고가 로마인에 의해 점령되어 사라졌다면 미국의 미래는 닉이라는 젊은이로 상징되는 물질만능주의와 기회주의, 과학만능주의 등으로 인해 파괴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멸망 후에는 그 폐허 위에 개미만이 남게될 것이다.
There will be a certain . . . loss o9f liberty. I imagin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 . . but diversity will no longer be the goal. Cultures and races will eventually vanish . . . the ants will take oveR the world. p 17.
이 작품은 인물들이 엮어 내는 미국이라는 커다란 인간가족과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관계의 전개를 그려내고 있다. 원형적인 가족단위를 형상화하여 그 안에 희망과 패배 꿈과 좌절 그리고 미국이라는 사회의 가치관등을 가시적으로 압축시켜 놓았다.
마샤의 아버지와 허니의 아버지로 대표되는 구세대는 집안의 질서와 권위의 구심점으로 집안의 토대를 다지고 기본적인 부와 사회적인 위상을 구축한 인물들이다. 그들은 무대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권위의 상징으로 작용한다. 신대륙에서 아메리카라는 사회를 세워 놓은 이 구세대들은 정력적이며 독선적이며 그들이 표방하는 가치는 현실적인 것이다.
마샤와 조지 부부 그리고 닉과 허니 부부는 구세대의 영향권내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그들의 특징은 한마디로 불모로 표현될 수 있다. 물질문명을 숭상하고 보이지 않는 정신적 가치들을 외면하는 그들은 현실적인 가치를 추구하던 구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물들이다. 오히려 혼자 힘으로 무엇인가를 성취하려고 하기보다는 남에게 빌붙어서 기생하려는 이들은 구세대보다 더 왜곡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미래의 대표주자로 묘사되는 닉의 초상화는 과도한 물질에의 욕구, 사랑과 애정의 결핍, 과학에 대한 맹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성공에의 집착 등으로 얼룩져있다. 얼룩진 닉의 초상화는 미국의 일그러진 모습이며 이들의 모습을 통해 작가 올비는 일그러진 미국을 고발하고 있다.
추천자료
현대소설론
현대 선교학 총론
현대무역이론
현대차의 인도진출마케팅
현대카드마케팅
현대사회에서 관광의 필요성과 의의
현대 가족 기능의 변화와 문제점 및 대안
현대문학사 정리(45~50년)
현대 교육사조와 교육과정 유형을 설명 - 아동중심, 활동중심, 중핵, 학문중심 포함
현대문학 - 조수리와 소이흑의 결혼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사회문제, 빈곤노인, 노인복지, 독거노인, 장애노인)
현대 사회의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러한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제도의 변화를 ...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영유아프로그램의 전망3가지와 그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 : 영유아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