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작품의 줄거리
3. 작품 속의 자아의 의미
4. 상황설정으로 접근해보는 작품의 이해
5. 그 밖에 이 작품을 자아를 찾는 것으로 해석하게 하는 요소
1) 'a drop of water'
2) 'glass'
6. 이 작품이 갖는 현대성
7. 결 말
2. 작품의 줄거리
3. 작품 속의 자아의 의미
4. 상황설정으로 접근해보는 작품의 이해
5. 그 밖에 이 작품을 자아를 찾는 것으로 해석하게 하는 요소
1) 'a drop of water'
2) 'glass'
6. 이 작품이 갖는 현대성
7. 결 말
본문내용
p.478
이라는 것을 볼 때, 그 당시 상황을 보면 영국의 르네상스기(16세기)로 볼 수 있다. 신에 근거한 인간의 모습에서 그 인간상에 인간자신의 모습을 강조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시대의 분위기는 자아를 인간의 개체성에서 찾으려는 움직임이 가능하게 했으리라 본다. Shakespeare가 작품 속에서 드러내는 자아의 모습이 바로 그러한 개체성에 기반 했다는 것이 이를 뒷바침한다. 그리고 개인이 중심이 되는 사회라고 규정 지어지는 현대사회에서 그러한 개체성에 기반이 되는 자아의 모습은 현대에서도 통용이 된다. 400여년전의 작품들 중에서 지금까지 현대적 해석의 여지를 두는 작품들은 흔치 않을 것이다. 안상식은 이 작품의 현대성을 이야기하면서 Samuel Beckett의 Waiting for Godot와 비교한다.
......어제 왔던 소년이 오늘 처음 왔다고 한다. 여러 가지 질문 끝에 그는 형이
있다고 한다. 이 소년은 The Comedy of Errors의 Antipholus 형제나 Dromio형제
처럼 일란성 쌍둥이일까? 아니면 한 가지 형태에서 파생된 인형일까?
安相植, The Comedy of Errors연구: 주인공의 자아발견 과정을 중심으로-학위논문(석사), 1984, p.76
이렇게 현대의 작품과도 동일한 해석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는 Shakespeare의 The Comedy of Errors는 충분히 현대에서도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이해되고 있다. 안상식은 또한 다음과 같이 이 작품의 위대함을 표현한다.
Shakespeare가 세상을 떠난 지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그의 작품 속
에서 현대성을 찾아 볼 수 있다는 것은 그의 작품이 불후의 명작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해 준다.
상 동, p. 77
6. 결 말
서론에서 말했듯이 Shakespeare의 위대함은 주로 비극에서 거론된다. 하지만, 그의 희극 속에서도 그의 위대함은 드러난다. 그리고 그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희극중의 하나가 The Comedy of Errors를 들 수 있다. 이 작품 역시 Shakespeare의 다른 작품이 갖는 많은 이해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 작품을 이해하는 방식중의 하나로 작품의 내용을 자아를 찾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방식이 가능케 하는 것으로는 이 글의 상황설정이 쌍둥이라는 것과 작품 속에서 반복해서 사용되는 '물방울'의 이미지, 그리고 '거울'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쌍둥이라는 설정은 다른 이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를 가지고 있으며 쌍둥이라는 설정에서 기인하는 오해는 정체성의 불명확성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을 자아에 대한 이야기로 파악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방울'이란 이미지가 불완전하고 물에 떨어지면 퍼진다는 특성을 지닌다고 볼 때도 이 작품이 자아를 찾는 이야기라는 근거를 제공한다. '거울'의 이미지 역시 자신의 모습을 비추는 도구라는 것을 볼 때 근거가 될 수 있다. 작품 속에서 이야기하는 자아의 모습은 현대에서도 적용이 되는 모습이다. 개인주의가 특징일 수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 작품은 현대인에게 다시 금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도 있다고 본다. 수 없이 지나치는 사람들 중에 자신이 알고 살아가고 좋아하게 되고 싫어하게 되는 것 또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행위이다. 하지만, 그러한 행위에 대해 자신을 규정하지 못하거나 오해를 갖게 되면 타인들과의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 무의미하게 여겨지거나 두려운 행위가 되는 수도 있다. 셰익스피어의 이 작품은 자신의 자아를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함으로서 각각의 정체성을 다시 금 생각하게 한 것 같다.
이라는 것을 볼 때, 그 당시 상황을 보면 영국의 르네상스기(16세기)로 볼 수 있다. 신에 근거한 인간의 모습에서 그 인간상에 인간자신의 모습을 강조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시대의 분위기는 자아를 인간의 개체성에서 찾으려는 움직임이 가능하게 했으리라 본다. Shakespeare가 작품 속에서 드러내는 자아의 모습이 바로 그러한 개체성에 기반 했다는 것이 이를 뒷바침한다. 그리고 개인이 중심이 되는 사회라고 규정 지어지는 현대사회에서 그러한 개체성에 기반이 되는 자아의 모습은 현대에서도 통용이 된다. 400여년전의 작품들 중에서 지금까지 현대적 해석의 여지를 두는 작품들은 흔치 않을 것이다. 안상식은 이 작품의 현대성을 이야기하면서 Samuel Beckett의 Waiting for Godot와 비교한다.
......어제 왔던 소년이 오늘 처음 왔다고 한다. 여러 가지 질문 끝에 그는 형이
있다고 한다. 이 소년은 The Comedy of Errors의 Antipholus 형제나 Dromio형제
처럼 일란성 쌍둥이일까? 아니면 한 가지 형태에서 파생된 인형일까?
安相植, The Comedy of Errors연구: 주인공의 자아발견 과정을 중심으로-학위논문(석사), 1984, p.76
이렇게 현대의 작품과도 동일한 해석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는 Shakespeare의 The Comedy of Errors는 충분히 현대에서도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이해되고 있다. 안상식은 또한 다음과 같이 이 작품의 위대함을 표현한다.
Shakespeare가 세상을 떠난 지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그의 작품 속
에서 현대성을 찾아 볼 수 있다는 것은 그의 작품이 불후의 명작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해 준다.
상 동, p. 77
6. 결 말
서론에서 말했듯이 Shakespeare의 위대함은 주로 비극에서 거론된다. 하지만, 그의 희극 속에서도 그의 위대함은 드러난다. 그리고 그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희극중의 하나가 The Comedy of Errors를 들 수 있다. 이 작품 역시 Shakespeare의 다른 작품이 갖는 많은 이해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 작품을 이해하는 방식중의 하나로 작품의 내용을 자아를 찾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방식이 가능케 하는 것으로는 이 글의 상황설정이 쌍둥이라는 것과 작품 속에서 반복해서 사용되는 '물방울'의 이미지, 그리고 '거울'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쌍둥이라는 설정은 다른 이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를 가지고 있으며 쌍둥이라는 설정에서 기인하는 오해는 정체성의 불명확성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을 자아에 대한 이야기로 파악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방울'이란 이미지가 불완전하고 물에 떨어지면 퍼진다는 특성을 지닌다고 볼 때도 이 작품이 자아를 찾는 이야기라는 근거를 제공한다. '거울'의 이미지 역시 자신의 모습을 비추는 도구라는 것을 볼 때 근거가 될 수 있다. 작품 속에서 이야기하는 자아의 모습은 현대에서도 적용이 되는 모습이다. 개인주의가 특징일 수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 작품은 현대인에게 다시 금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도 있다고 본다. 수 없이 지나치는 사람들 중에 자신이 알고 살아가고 좋아하게 되고 싫어하게 되는 것 또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행위이다. 하지만, 그러한 행위에 대해 자신을 규정하지 못하거나 오해를 갖게 되면 타인들과의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 무의미하게 여겨지거나 두려운 행위가 되는 수도 있다. 셰익스피어의 이 작품은 자신의 자아를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함으로서 각각의 정체성을 다시 금 생각하게 한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격발달 이론
현대사회에서의 여성의 다이어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신경증론
김현승의 시세계의 일반적 특징과 시대별 특징
인간과 교육
제4장 성격과 사회성 발달
[프로이드][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 이론 주요개념, 프로이드 이론 심리적역동,방어기제,성격...
표준보육과정
조지훈 시 연구
'뚜리야'란 무엇인가
[아동발달] 장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주요개념, 발달단계, 인지발달과 교육 및 사회복지실천...
고프만에 대한 모든것,사상적 조류 상징적 상호작용론
[진로태도][진로발달이론][진로태도성숙][진로태도와 자기효능감][진로태도와 독서치료]진로...
[교육심리] 성격발달이론 - 정의적 특성의 발달 (교육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