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Styrene Monomer
1. Styrene Monomer의 특성
2. Styrene Monomer의 용도
3 . Styrene Monomer의 제법
4. Styrene Monomer의 국내 현황
Ⅱ. Polystyrerne(PS, 폴리스티렌)
1. PolyStyrene의 특성
2. Polystyrene의 용도
3. Polystyrene의 제법
4. Polystyrene의 국내 현황
Ⅲ. SM과 PS 제품의 수급현황과 전망
1. Styrene Monomer의 특성
2. Styrene Monomer의 용도
3 . Styrene Monomer의 제법
4. Styrene Monomer의 국내 현황
Ⅱ. Polystyrerne(PS, 폴리스티렌)
1. PolyStyrene의 특성
2. Polystyrene의 용도
3. Polystyrene의 제법
4. Polystyrene의 국내 현황
Ⅲ. SM과 PS 제품의 수급현황과 전망
본문내용
87.9%를 나타냈다.
이후 94년부터 1995년 상반기까지 SM은 유화업체의 최대 효자품목으로 가격은 89 년이후 최고치를 형성하며 톤당 1500달러에 육박하였고 가동률은 93%선을 유지하였다. 그러다가 95년 중반이후 중국의 수입감소와 더불어 급격히 침체기에 접어들었는데 SM 가격은 톤당 500달러이하로 떨어진 바 있다. 이처럼 95년에는 최고수준과 최저수준의 SM가격이 모두 형성되었던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충분한 조정기간을 거치고 96년 3월부터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섰다. 96년 SM가격은 톤당 500~700달러선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정기보수가 집중되어 있어 생산은 감소하고 수요는 활기를 띠는 2/4분기에는 가격이 비교적 강세를 보일 것 으로 예상되고 7,8월 비수기에는 조정국면을 보이다가 하반기 정기보수가 있고 크리스마 스 시즌을 앞두게 되는 10월경에는 다시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SM의 연중주기는 SM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PS, ABS와 맞물려 있는데 약 2개월의 간격을 두고 있다. 자동차, 장난감, 가전제품 등에 주로 사용되는 PS, ABS는 주로 명절을 전후한 시기가 성수기로 이를 대비한 SM구매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PS 동향분석
PS역시 SM과 마찬가지로 업계간 증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2001년 현재 12만톤 생산능력을 보이고 있는 제일모직에서 2003년까지 17만톤으로 확대할 방침을 보이고 있으며, LG화학에서는 현재 13만톤에서 2004년까지 17만톤 으로 증설을 추진 하는 등 업계 간 증설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스티렌계 수요성장룰은 자연 증가율에 따른 7% 내외의 성장률을 보일것으로 예 상되나 PS는 정체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공급과잉상태에 있으므로 업계에서 는 수출 지향적 마케팅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PS 80만톤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는 대만의 ChiMei영향력이 국내의 수지상가 와 가전업계에 서서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서, 6~7%의 시장을 대만 물량이 잠식하고 있으나 향후 이들 물량의 대거 유입으로 시장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 Styrene계 제품의 시황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하여 계열화(Intergration) 정도가 낮아 계열화 설비와 비계열화 설비의 수익성 차별
2001년 2/4분기부터 에틸렌/벤젠가 하락세가 시작되어 SM/PS 계열화 설비의 수익성은 상대적으로 하락폭 상쇄
▷ 세계시황수급의 중심이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나, 아시아지역의 최종완제품(전자/ 자동차 등)은 선진국으로 수출되어 선진국 경제상황에 의존도 높음
세계 가전/전자/완구산업의 중심이 아시아에 집중 (관련 세계수요의 50% 이상이 아시아에서 소비됨
중국 전자제품 수출의 미/EU비중 : 약 40%
아시아
중국
한/대만/일
기타 아시아
P S
생산능력
41%
11%
21%
9%
수요
39%
19%
13%
7%
ABS
생산능력
67%
9%
51%
7%
수요
65%
38%
19%
8%
<표 10> 세계 PS(EPS 포함)/ABS 수급에서 차지하는 아시아 비중
자료 : Tecnon을 기준으로 추정
▷세계적 Major의 시장집중도가 높고, 중동지역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적어 공급측면 의 불확실성이 낮은 수준임.
PS Top 5 생산능력 점유율 42% (Nova, BASF, Dow, Atofina, ChiMei)
ABS Top 5 생산능력 점유율 49%
(ChiMei, GE Plastic, Bayer, BASF, LG)
▷ SM은 2000년초 높은 수익에서 2/4분기 이후 중동(Sabic)과 대만(FPC), 서유럽 의 대형설비 집중가동으로 공급과잉이 재현되었으나, 2001년과 2002년 생산능력 증가가 2% 미만에 그쳐 PS/ABS 등 유도품 가동률이 평년수준으로 상승된다면 가 동률이 92~94%에 이르는 수급균형을 이이룸.
SM 1Ton 생산을 위해서는 벤젠 0.8Ton, 에틸렌 0.3Ton이 필요한데, 중동 캐 나다의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 원료로 천연가스를 사용하여 벤젠이 병산되지 않 기 때문에 벤젠공급 문제로 SM 설비건설이 활발하지 못함.
▷ 2001년 PS/ABS 수급은 세계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자급화 진전과 선진국의 전자 제품 소비 위축에 따른 수요침체로 공급과잉을 나타냈으나, 2002년 하반기 선진국 경기가 회복될 경우 전자제품 소비는 경기에 대해 높은 탄력성을 가져 수요의 빠른 회복.
EPS의 경우에도 주 용도인 건축용 단열재에서 중국 등 건축이 활성화된 일부 지 역에서는 수요가 호전을 나타냈으나, 다수의 선진국에서 EPS 포장재료 사용이 위축되 고 있어 PS와 비슷한 수준의 저성장 기록
▶ 수급현황과 전망에 따른 결론
이제 우리나라는 무섭게 성장해 가는 아시아시장에서 주요 SM 공급업체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는 곧 국내 업체들이 대외경쟁력을 확보해야함은 물론 다각적인 해외진출 방안의 모색이 필수적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은 이미 성숙한 시장으로 무리한 확대는 없을 것이며 높은 수요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지역은 수요확대만큼 자급을 위한 생산 확대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출전략은 물론 현지투자의 검토 등 국제 경쟁력 강화로 세계화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석유 화학공업
정기현
보진재
1996
화심법의 기존 화학 물질 안전성
점검 데이터 집
화학검사 협회
JETOC
1992
석유화학산업의 에너지 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유정석
인하대
2002
석유화학 : 한국의 석유화학공업
황규면
Chemworld
1995
석유화학공업 : 공정·제품 및 시장
한국화학공학회
CRI화학경제
연구원
1995
국내 화학시장 정보총람
내외정보센터
1997
2002년 석유화학산업 전망
임지수
한국석유화학
공업협회
2001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http://www.kpia.or.kr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http://www.cheric.org
씨스켐닷컴
http://www.cischem.com
Chemicalland21
http://www.chemicalland21.com
이후 94년부터 1995년 상반기까지 SM은 유화업체의 최대 효자품목으로 가격은 89 년이후 최고치를 형성하며 톤당 1500달러에 육박하였고 가동률은 93%선을 유지하였다. 그러다가 95년 중반이후 중국의 수입감소와 더불어 급격히 침체기에 접어들었는데 SM 가격은 톤당 500달러이하로 떨어진 바 있다. 이처럼 95년에는 최고수준과 최저수준의 SM가격이 모두 형성되었던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충분한 조정기간을 거치고 96년 3월부터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섰다. 96년 SM가격은 톤당 500~700달러선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정기보수가 집중되어 있어 생산은 감소하고 수요는 활기를 띠는 2/4분기에는 가격이 비교적 강세를 보일 것 으로 예상되고 7,8월 비수기에는 조정국면을 보이다가 하반기 정기보수가 있고 크리스마 스 시즌을 앞두게 되는 10월경에는 다시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SM의 연중주기는 SM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PS, ABS와 맞물려 있는데 약 2개월의 간격을 두고 있다. 자동차, 장난감, 가전제품 등에 주로 사용되는 PS, ABS는 주로 명절을 전후한 시기가 성수기로 이를 대비한 SM구매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PS 동향분석
PS역시 SM과 마찬가지로 업계간 증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2001년 현재 12만톤 생산능력을 보이고 있는 제일모직에서 2003년까지 17만톤으로 확대할 방침을 보이고 있으며, LG화학에서는 현재 13만톤에서 2004년까지 17만톤 으로 증설을 추진 하는 등 업계 간 증설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스티렌계 수요성장룰은 자연 증가율에 따른 7% 내외의 성장률을 보일것으로 예 상되나 PS는 정체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공급과잉상태에 있으므로 업계에서 는 수출 지향적 마케팅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PS 80만톤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는 대만의 ChiMei영향력이 국내의 수지상가 와 가전업계에 서서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서, 6~7%의 시장을 대만 물량이 잠식하고 있으나 향후 이들 물량의 대거 유입으로 시장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 Styrene계 제품의 시황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하여 계열화(Intergration) 정도가 낮아 계열화 설비와 비계열화 설비의 수익성 차별
2001년 2/4분기부터 에틸렌/벤젠가 하락세가 시작되어 SM/PS 계열화 설비의 수익성은 상대적으로 하락폭 상쇄
▷ 세계시황수급의 중심이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나, 아시아지역의 최종완제품(전자/ 자동차 등)은 선진국으로 수출되어 선진국 경제상황에 의존도 높음
세계 가전/전자/완구산업의 중심이 아시아에 집중 (관련 세계수요의 50% 이상이 아시아에서 소비됨
중국 전자제품 수출의 미/EU비중 : 약 40%
아시아
중국
한/대만/일
기타 아시아
P S
생산능력
41%
11%
21%
9%
수요
39%
19%
13%
7%
ABS
생산능력
67%
9%
51%
7%
수요
65%
38%
19%
8%
<표 10> 세계 PS(EPS 포함)/ABS 수급에서 차지하는 아시아 비중
자료 : Tecnon을 기준으로 추정
▷세계적 Major의 시장집중도가 높고, 중동지역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적어 공급측면 의 불확실성이 낮은 수준임.
PS Top 5 생산능력 점유율 42% (Nova, BASF, Dow, Atofina, ChiMei)
ABS Top 5 생산능력 점유율 49%
(ChiMei, GE Plastic, Bayer, BASF, LG)
▷ SM은 2000년초 높은 수익에서 2/4분기 이후 중동(Sabic)과 대만(FPC), 서유럽 의 대형설비 집중가동으로 공급과잉이 재현되었으나, 2001년과 2002년 생산능력 증가가 2% 미만에 그쳐 PS/ABS 등 유도품 가동률이 평년수준으로 상승된다면 가 동률이 92~94%에 이르는 수급균형을 이이룸.
SM 1Ton 생산을 위해서는 벤젠 0.8Ton, 에틸렌 0.3Ton이 필요한데, 중동 캐 나다의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 원료로 천연가스를 사용하여 벤젠이 병산되지 않 기 때문에 벤젠공급 문제로 SM 설비건설이 활발하지 못함.
▷ 2001년 PS/ABS 수급은 세계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자급화 진전과 선진국의 전자 제품 소비 위축에 따른 수요침체로 공급과잉을 나타냈으나, 2002년 하반기 선진국 경기가 회복될 경우 전자제품 소비는 경기에 대해 높은 탄력성을 가져 수요의 빠른 회복.
EPS의 경우에도 주 용도인 건축용 단열재에서 중국 등 건축이 활성화된 일부 지 역에서는 수요가 호전을 나타냈으나, 다수의 선진국에서 EPS 포장재료 사용이 위축되 고 있어 PS와 비슷한 수준의 저성장 기록
▶ 수급현황과 전망에 따른 결론
이제 우리나라는 무섭게 성장해 가는 아시아시장에서 주요 SM 공급업체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는 곧 국내 업체들이 대외경쟁력을 확보해야함은 물론 다각적인 해외진출 방안의 모색이 필수적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은 이미 성숙한 시장으로 무리한 확대는 없을 것이며 높은 수요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지역은 수요확대만큼 자급을 위한 생산 확대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출전략은 물론 현지투자의 검토 등 국제 경쟁력 강화로 세계화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석유 화학공업
정기현
보진재
1996
화심법의 기존 화학 물질 안전성
점검 데이터 집
화학검사 협회
JETOC
1992
석유화학산업의 에너지 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유정석
인하대
2002
석유화학 : 한국의 석유화학공업
황규면
Chemworld
1995
석유화학공업 : 공정·제품 및 시장
한국화학공학회
CRI화학경제
연구원
1995
국내 화학시장 정보총람
내외정보센터
1997
2002년 석유화학산업 전망
임지수
한국석유화학
공업협회
2001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http://www.kpia.or.kr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http://www.cheric.org
씨스켐닷컴
http://www.cischem.com
Chemicalland21
http://www.chemicalland21.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