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에 대한 모든것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마약의 정의◇
◇마약의 종류◇
<대마>
1. 대마초 (marihuana)
2. 대마수지 (hashish)
3. 관련법규
<마약>
1. 양귀비 (楊貴妃, opium poppy)
2. 아 편(opium)
3. 모르핀 (morphine)
4. 코데인 (codeine)
5. 헤로인(heroin)
6. 코카인(cocaine)
7. 관련 법규
<향정신성 의약품>
1.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
2. 엑스터시 (Ecstasy, XTC, MDMA, "도리도리", 搖頭丸)
3. 엘에스디 (LSD, lysergic acid diethylamide)
4. 야바 (Yaba)
5. GHB (Gamma-HydroxyButrate, "물뽕")
6. 관련 법규
◇마약 관련 통계 자료 (2002년 3월자료)◇
◇그 밖의 마약의 종류◇
◇스포츠와 약물◇
◇약물 오남용(drugfree)◇
<남용의 위험성>
<약물남용의 거짓과 사실>
<남용원인>
<중독자의 식별방법과 대처방안>
1. 식별방법
2. 가족들의 대처방법
3. 신고방법
4. 입원시기
<약물 남용후의 징후-청소년 위주>
<약물 남용의 과정과 대응방법>

본문내용


② 논쟁적인 행동들
③ 동기의 결여
④ 건망증, 태만, 거짓말
⑤ 혼자만의 행동 (하루종일 방에만 있는다)
⑥ 새로운 다른 친구들
⑦ 가족활동에의 불참석
4. 기타 증상
약물보관함에서 약물이 사라짐 / 와인이나 술이 없어짐 / 무단 결석 / 교통사고(음주운전) / 안약의 사용 / 옷이나 소지품의 분실 / 낯선 전화
5. 약남용으로 인한 합병증
(1) 면역기능의 저하-사소한 염증도 크게 번지고 회복이 늦어지게 됨
(2) 약물의 투여 방법에 따른 합병증 : 부탄가스 본드, 대마초 사용시 축농증, 코뼈의 뚫어짐, 만성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폐렴, 폐결핵등
(3) 근육 주사나 혈관 주사를 이용할 때 : 전염성 질환에 잘 이환되거나, AIDS에 걸리게 됨.
(4) 주사기 사용시 위생수칙을 잘 지키지 못하여 생기는 문제 : 폐렴, 정맥염, 심장내막염, 혈전증, 피부염등
(5) 기타 :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경화, 당뇨병, 고혈압, 중풍, 암, 성불구, 수태능력장애, 기형아 출산
(6) 정신과적 합병증 : 우울증 및 자살, 불안발작, 환각, 정신분열증(의심증,피해망상)
6. 약물남용 위험성이 높은 학생
(1) 가계에 술중독자가 많음
(2) 가계에 범죄나 반사회적 행동을 한 사람이 많음
(3) 가족 구조나 운영상의 문제
(4) 어린시절의 반사회적 행동 및 과잉반응
(5) 부모의 약물사용 혹은 부모의 약물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6) 낙제를 포함한 학업성적 부진
(7) 잦은 학교 결석
(8) 학교에 관련된 일에 참여할 동기 결핍
(9) 폭력을 비롯한 소외된 행동 혹은 반사회적 행동
(10) 육체적, 성적, 심리적 학대
(11) 정신건강문제를 포함하는 건강문제
(12) 빈곤, 거주할 곳이 없는 것 등과 관련된 문제
(13) 범죄가 잦거나 약물사용이 빈번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
7. 약물남용 청소년의 징후
(1) 결석, 숙제를 잘 안한다.
(2) 집에서 생활방식의 변화
(3) 신체적 쇠약감 호소
(4) 주변에서 약물이 발견되며 남의 눈치를 살핀다.
(5) 동공이 커져 있거나 작아져 풀려있다.
(6) 친구에게 돈을 자주 빌리며 부모에게 많은 돈을 요구한다.
(7) 집에 있는 물건 내다 팔고 돈을 훔친다.
(8) 약물사용을 음침한 곳을 자주 찾으며 방문을 자주 닫아 걸고 방에 서 나오지 않는다.
<약물 남용의 과정과 대응방법>
약물을 남용하는 이유가 다양하고 복잡한 것과 마찬가지로 약물을 남용하는 과정이 반드시 똑같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느정도 일정한 양상이 있기 때문에 이런 양상에 적합하게 대응할 때 약물남용 문제를 보다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1. 마약류 및 약물남용과정과 단계
가. Wilford의 약물남용 5단계 진행과정
1) 약물사용에 대한 호기심
2) 약물사용으로 인한 좋은 경험(high)
3) 다시 한번 좋은 경험을 얻기 위해 약물을 찾는다(의존성)
4) 좋은 경험을 느끼기 위해 약물에 집착(내성)
5) 좋은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 약물남용(금단현상)
나. Nizama의 코카인 중독 진행과정
1) 호기심
2) 사용으로 인한 좋은 경험(high)
3) 또래집단에의 소속감과 집단 명예, 이에 따라 가족관계가 멀어짐
4) 성격애적 행동이 발생하고 습관성
5) 약물의존 및 내성형성
6) 신체적으로 쇄퇴하고 인격 붕괴
다. 일반적인 약물남용 진행과정
호기심 → 약물 첫사용 → 쾌감 → 동료집단의 소속감 → 집단명예 → 가족과 멀어짐 → 성격 장애적 행동 → 습관성 → 약물의존 및 내성 형성 → 신체적 쇠퇴 → 심한 사회질병 적 인격붕괴
라. 청소년의 약물남용 심화과정
담배 → 술 → 본드 → 가스 → 약품 → 대마초 → 마약(필로폰)
각 단계에서는 약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마. 청소년의 약물남용단계
(1) 1단계 : 실험적 사용단계
약물이 감정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되는 단계로서 부모를 이용하거나 하여 약물에 쉽게 접근하게 된다. 예) 엄마에게 용돈을 자주 요구한다거나 부모님이 안계실때를 이용해서 약물을 하는 아이들
(2) 2단계 : 사회적 사용단계
지역사회에서 약물로 인한 감정변화 양상을 노출하는 단계로서 또래들과 함께 사용한다.
(3) 3단계 : 지속적인 사용단계
약물에 몰두하는 단계로 점차 중독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단계이다. 인생의 일차적인 목표는 약물에 취하는 것이 된다.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약물이 없으면 자신을 주체할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의존이 생기는 단계이다.
(4) 4단계 : 중독(addiction)단계
약물을 강박적으로 사용하는 단계로 신체적 심리적 피폐상태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3, 4,단계의 남용자를 외래나 통원치료로 치료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따라서 입원치료를 통해 먼저 약물의 금단증상을 없애고, 약물남용의 폐해 및 직업적 재활 등 복합적인 재활프로그램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재발 가능성은 매우 높으므로 가족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 그리고 노력이 요하다.
2. 단계별 대응방법
가. 초기단계(몇개월에 1,2회 이하/ 1년이하)
본인이 스스로 미안해하고 아직 어른의 타이름에 귀기울일 수 있는 때이다. 부모, 형제, 자매, 친구, 선생님 등이 열심히 설득하면 약물사용의 행위자체를 포기시킬 수가 있다. 조기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약물교육을 받는다.
나. 중기단계
비행이나 폭력을 동반하지 않으나 학업성적 저하되고 친구들과 자주 어울려 약물을 남용한다면 학교상담교사, 청소년상담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선도가 가능하다. 비행이나 폭력을 동반한 경우에는 성격이 과격해지고 비행이나 폭력의 흔적이 여기저기 보이므로 교정 및 사법당국에 의뢰할 수 있다.
다. 중독단계
약물사용의 정도가 심해져 중단이 안되고 혼자 사용하게 되며 학교나 가정의 생활변화가 심하고 본인은 중단하려고 노력하는데 계속 실패로 돌아갈 경우는 중독의 단계이다. 그때는 하루빨리 청소년의 약물남용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관에 의뢰하여 전문상담가를 통해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11.2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